[목차] == 개요 == feedback 한국어로는 '[[되먹임]]'이라는 표준어로 대체할 수 있고 학술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지만 어감 때문인지 공과 계열 교과서 등에서는 피드백이나 [귀환,궤환]으로 쓰고 있다. 한자로는 귀환(歸還),궤환(饋還)이다. 일례로 후술할 [[스타크래프트]]의 기술 '[[환류]]'의 영어명이 피드백인데, 스타크래프트2 베타 시절 초기 한국어 번역을 "[[되먹임]]"으로 제시했다가 반응이 좋지 않아 지금의 것으로 바꾼 적이 있다. == 생물학, 의학 == [[호르몬]]과 관련된 피드백은 크게 양성 피드백(+, positive feedback)과 [[음성 피드백]](-, negative feedback)이 있는데, 양성 피드백은[* 신체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증폭 작용들은 양성 피드백 덕분에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시로 [[출산]]이 있다. 옥시토신(자궁 수축)이 출산할 때에 분비량이 계속 촉진되므로,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것이다.] 결과가 원인을 촉진하는 경우이고, 음성 피드백은 결과가 원인을 억제하는 경우다.[* 대표적인 예시로, 티록신 분비. 티록신 분비가 촉진될 수록, 이를 분비하도록 자극하는 호르몬(TSH, TRH)의 분비가 억제된다.] 음성 피드백에 대한 설명은 [[항상성 #s-2|항상성]] 문서를 참조하자. == 공학 == [include(틀:기계공학)] 공학에서 피드백은 초기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을 입력값에 넣고[* 이는 출력값=입력값이 된다는 것이 아닌, 출력값이 입력값(즉, 독립변수) 중 하나로 작용하도록 변화함을 의미한다.]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목표값에 도달하게 만드는 과정을 의미한다.[* 가장 단순한 예로 나눗셈을 생각하면 쉽다. 큰 자릿수를 먼저 나누고, 남은 부분을 다시 더 낮은 자릿수로 나누고 이를 반복하여 나머지가 0이되는 목표값을 찾는 과정이 피드백과 유사하다.] 먼저 과거에 로켓를 발사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1. 로켓이 떨어질 방위에 각도를 맞춘다. 2. 버튼을 누른다. 3. BOOM! 처음 각도(initial value)에 따라서 로켓이 떨어지는 위치가 바뀌며, 예상밖의 상황인 외란(disturbance)을 대처할 수 없다. 다음으로 유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과정을 보자. 1. 미사일이 떨어질 방위에 각도를 맞춘다. 2. 버튼을 누른다. 3. [[자동제어]]←──────────┐ 4. 목표물에 외란이 있는가? ──── 있음 ↓없음 5. BOOM! 피드백제어는 4번에서 3번으로 되먹이는 화살표와 같이 목표물이 외란에 영향을 받는다면 자동조정으로 되먹이는 과정을 피드백(feedback)이라고 한다. 위의 피드백제어로 더 정확하고 안전하게 목표물을 맞힐 수 있다. 현재 프로세스제어, 서보기구, 자동조정 같은 자동화의 대부분이 피드백을 사용한다. 더 쉬운 예로 선박이나 비행기의 자동조타를 생각하자. 물의 저항이나 공기의 저항같은 외란에 영향 받는 출력을 자동조정으로 목표값에 비교하며 맞춰준다. == 비공학적 의미 == 두 개 이상의 주체에서, 한 쪽의 활동에 의한 영향을 다른 쪽이 받고 그 결과에 대한 반응을 원래 쪽으로 돌려주어 새로운 활동에 반영시키는 순환적 활동을 의미한다. 제조자의 제품/서비스를 사용한 뒤 제조자에게 다시 전달되는 소비자 의견이라는 의미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학술적, 정치적인 부분에서도 흔히 사용되는 용어이다. * 정치적인 분야 국민 여론을 수집한다(원인). 여론을 바탕으로 정책을 만든다(결과). 다시 그 정책에 대해 여론을 수집한다(원인). 정책을 보수한다(결과). * 학술적인 분야 특정 결과물을 제시한다(결과). 결과물에 대해 조언을 듣는다(원인). 결과물을 보충한다(결과). 또 그 결과물에 대해 조언을 듣는다(원인). [[여성시대]]나 [[외방커뮤니티]]와 같은 여초 사이트들에서는 이 단어를 '해명'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잘못된 용례'''에 해당한다. 두 가지 내표된 의미를 갖는다. 내부적으로 사용될 경우 '잘못에 대한 자기변호'(이 경우 타인이 호출하여 '피드백하라' 라고 공개적으로 발언을 요구하는 경우 주로 사용된다)의 뜻으로 쓰이고, 외부에 대해서는 '문제점이나 대외 입장표명이 필요한 사건에 대해 게시물을 작성한다' 라는 의미로 쓰인다. 이 경우 '피드백 했음' 이 '사과 했음'과 동의어로 사용되거나 '면죄받을 모든 조치를 마쳤음'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잦다. 커뮤니티에 글을 올린 당사자가 타인의 댓글을 보고 추가 댓글을 달거나 토론 경과에 따라 본문을 수정하는 행위 자체를 피드백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딱히 틀린 용례라 보기 어렵다. == 대중문화에서 ==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암흑 집정관]]과 [[고위 기사]]의 기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환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벤10 옴니버스]]에 등장하는 에일리언 [[피드백(벤10 옴니버스)|피드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드백(벤10 옴니버스))] === [[매직 더 개더링]]에 등장하는 카드 === || '''영어판 명칭''' || '''Feedback''' ||<|5>[[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11134_1.jpg|width=230px]]|| || '''한글판 명칭''' || '''피드백''' || || '''마나비용''' || {2}{U}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부여마법 - 마법진 || ||<-2>부여마법에게 부여[br]피드백이 부여된 부여마법의 조종자의 유지단 시작에, 피드백은 그 조종자에게 1점의 피해를 입힌다.||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Alpha~5th Edition || 언커먼 || [[역마살]]의 부여마법 버전. 이쪽은 부여마법에다 거는 마법진이다. 물론 장단점 역시 역마살과 비슷. === MSX2용 게임 [[피드백(게임)|피드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드백(게임))] 테크노 소프트에서 [[MSX]]2용으로 만든 [[슈팅 게임]]. === 2019년 스페인 영화 [[피드백(영화)|피드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드백(영화))] == 음악계에서 == === [[자넷 잭슨]]의 곡 [[Feedback(자넷 잭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eedback(자넷 잭슨))] ===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Feedback(BEMANI)]]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eedback(BEMANI))] === [[레이디스 코드]]의 디지털 싱글 [[FEEDBACK(레이디스 코드)|FEEDBACK]]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EEDBACK(레이디스 코드))] [각주] [[분류:영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