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로그 누락 문서]][[분류:로그 누락 문서]] [목차] == [[순우리말]] == === [[피]], [[혈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 === [[피(식물)|피]], 식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식물))] == 1자 한자어 == === 피([[皮]]), 겉 부분 === 가죽을 뜻하는 글자이며 외피, [[만두]]피, [[수통]]피 등 기존 단어 뒤에도 붙어 겉 부분을 나타낸다. === 피([[鈹]]), 무기 === [[파일:external/bronzeschinois.files.wordpress.com/01200000012881119669533505112.jpg|height=300]] [[춘추전국시대]]의 [[대검]], [[폴암]], 사진과 같은 날을 대에 끼워서 사용하였다. [[진시황]]의 무덤에서 발굴된 유물로 미루어 보아 전체 길이는 3.8m에 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찌르는 용도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통일을 이룬 [[진(통일왕조)|진]](秦)에서 주로 사용하였으며 담(錟)이라고도 불렀다. 오늘날에는 이 무기를 가르키던 한자는 중화권에서 [[베릴륨]]을 가리키는 용례로 바꿔 쓰고 있다. [[주기율표/중국어]] 문서 참조.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107~308)] [[교육용 한자]] 중 '피'로 읽는 글자는 다음 5자이다. 성부로 皮가 들어간 글자들이 많다. * [[彼]] (저 피) * [[皮]] (가죽 피) * [[疲]] (지칠 피) * [[被]] (입을 피) * [[避]] (피할 피) [[일본의 상용한자]]로는 [[피로연]], [[창피함]] 등에 쓰이는 [[披]](헤칠 피)가 더 들어가 있다. 일본 한자음은 모두 [[ひ|ヒ]]이다. == 은어/전문용어 == === 피, 고스톱 === [[고스톱]]에서 띠, 열끗, 광 등을 제외하고 점수로 계산되는 일반적인 패를 이르는 말. 10장 모으기 전까지는 빵점이고 10장 째부터는 1점씩 계산하지만 특별히 2점으로 계산되는 피도 몇 장 있어 특별히 "쌍피"라고 부른다. === 피, 게임 용어 === [[HP]] 게이지 혹은 그것을 회복시켜주는 [[포션]] 아이템을 피라고 한다. [[피]]가 생명의 근원이어서 그럴 수도 있고, 게임에서 HP를 주로 빨갛게[* [[연두색]]으로 표시하는 게임들도 있다.] 표시해서일 수도 있다. === fi, 음악 용어 === 음악 용어로서, [[계이름]] 중 하나인데, 파(Fa. F)와 솔(Sol. G) 사이에 있는 [[반음]]이다. 주로 F#이나 Gb로 적는다. === P, 부동산 용어 === [[프리미엄#부동산 은어]], 즉 분양권을 획득하자마자 예상되는 시세 차익만큼의 웃돈을 얹어서 분양권을 파는 행위를 할 때, 그 웃돈을 뜻한다. == 외국어 == === fee === 요금이라는 뜻이 있다. 순우리말 [[피]]와 연관지어 속어로 전문가들이 상담 수익 챙기는 것을 '피 빨아먹고 산다'라고도 한다. === pi/fi, 문자 이름 === [[그리스 문자]] [[π]]/[[Φ]]의 이름이다. 영어식으로는 '[[파이]]'([paɪ], [faɪ])라고 한다. 로마자 [[P]]의 영어식 발음이다. === 기타 === * pie: [[까치]]를 뜻하는 [[프랑스어]]. 프랑스어식으로는 "피"라고 발음한다. == 인명 == === 이름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야구선수 [[피 위 리즈]](Pee Wee Reese) * [[플라네테스]]의 등장인물 [[피 카마이켈]] * [[피(천년전쟁 아이기스)]] * [[궤적 시리즈]]의 [[피 클라우젤]] * [[파이어 엠블렘 성전의 계보]]: [[피(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 [[피(성씨)|피씨]](皮), 성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성씨))] == 노래 == * [[플라이 투 더 스카이]] - [[피 (避)]] [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 [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기여자 내역, 문서명=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