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분류:카드파이트!! 뱅가드]] == 플랜트 == === 개요 === ==== V 스탠다드 ==== || [[파일:veb03_067.png|width=100]] || [[파일:veb03_068.png|width=100]] || [[파일:veb10_074.png|width=100]] || || [[파일:veb10_075.png|width=100]] || [[파일:dvs06_T03.png|width=100]] || [[파일:veb10_076.png|width=100]] || ||한글판 명칭 ||<-6>'''플랜트''' || ||일본판 명칭 ||<-6>'''プラント''' || ||<-7> {{{#GREEN 토큰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클랜 || 종족 || 크리티컬 || 국가 || || 0(부스트) || 5000 || - || - || 플랜트 || 1 || - || ||<-7>{{{#gray (이것은 플랜트 토큰을 나타내는 카드이며, 메인덱에 넣을 수 없다.)}}} || ||한글판 명칭 ||<-6>'''플랜트''' || ||일본판 명칭 ||<-6>'''プラント''' || ||<-7> {{{#GREEN 토큰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클랜 || 종족 || 크리티컬 || 국가 || || 0(부스트, 인터셉트) || 10000 || 10000 || - || 플랜트 || 1 || - || ||<-7>{{{#gray (이것은 특별한 능력으로 콜된 강화후의 플랜트 토큰을 나타내는 카드이며, 메인덱에 넣을 수 없다. 부스트와 인터셉트를 동시에 갖는다)}}} || ==== D 스탠다드 ==== || [[파일:dbt05_T02.png]] || [[파일:dpr_516.png]] || ||한글판 명칭 ||<-6>'''플랜트''' || ||일본판 명칭 ||<-6>'''プラント''' || ||<-7> {{{#GREEN 토큰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클랜 || 종족 || 크리티컬 || 국가 || || 0(부스트) || 5000 || - || - || 플랜트 || 1 || - || ||<-7>{{{#gray (이것은 플랜트 토큰을 나타내는 카드이며, 메인덱에 넣을 수 없다.)}}} || === 설명 === [[ULTRARARE MIRACLE COLLECTION]]과 [[The Mysterious Fortune]]에서 나온 네오 넥타르의 스킬로 나오는 플랜트 토큰를 나타내는 카드. 어떠한 클랜, 국가에 소속되어 있지 않다. 그 탓에 네오 넥타르의 스킬로 나오지만 네오 넥타르 클랜은 아니기 때문에 G 시즌의 <맹주> 스킬을 가지고 있는 유닛은 플랜트 토큰이 있을때 공격할 수 없다. 토큰이 필드에서 벗어날 때 그 존으로 보내지고 나서 게임판에서 제거한다. 따라서 수라인룡 쿠지키리콘고가 있을 때 플랜트 토큰이 패로 돌아가면 패로 돌아가고 나서 게임판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그 턴 중 그레이드 0를 가디언 서클에 콜할 수 없다. [[알보로스 드래곤 성수#s-1.1|알보로스 드래곤 “세피로트”]]나 [[The Mysterious Fortune#s-4.2|알보로스 드래곤 “팀버”]] 등 플랜트 토큰을 강화시키는 효과도 나왔다. D시즌의 신규 부스터 팩 5탄인 [[군웅개선]]에서는 다른 일러스트로 등장. 라이드라인 [[로로와(카드파이트!! 뱅가드)]]쪽의 카드들이 토큰을 콜하는 스킬을 갖고 있다. 이후 9탄 용수침공에서 플랜트 토큰을 활용하는 라이드라인인 그랜피어가 등장하는 등 여러모로 공식에게 사랑받고 있는 토큰이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ULTRARARE MIRACLE COLLECTION]] || V-EB03/T01 || - || 일본 || 세계 최초 발매 || || [[ULTRARARE MIRACLE COLLECTION]] || V-EB03/T02 || - || 일본 || 세계 최초 발매 || === 관련 카드 === ==== [[용수침공/스토푸리#s-3|스토푸리 코론]] ==== ==== [[용수침공/스토푸리#s-4|스토푸리 사토미]] ==== ==== [[용수침공/스토푸리#s-5|스토푸리 루토]] ==== ==== [[용수침공/스토푸리#s-6|스토푸리 리누]] ==== == 아샤의 꽃요정 == === 개요 === [[파일:veb14_093.png]] === 효과 === ||한글판 명칭||<-6>'''아샤의 꽃요정''' || ||일본판 명칭||<-6>'''アーシャの花妖精(はなようせい)'''|| ||<-7> 토큰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클랜 || 종족 || 크리티컬 || 국가 || || 0 || 13000 || - || - || 플랜트 || 1 || - || ||<-7>{{{#gray (이것은 아샤의 꽃요정 토큰을 나타내는 카드이며, 덱에 넣지 않는다)}}} {{{#red '''【영속】'''}}}【리어가드 서클】: 「아샤」 를 포함한 자신의 뱅가드와 같은 이름이 된다. {{{#green '''【자동】'''}}} 【리어가드 서클】:어택했을 때, 「아샤」 를 포함한 자신의 뱅가드를 1장 선택해, 그 배틀 중, 이 유닛의 파워와 크리티컬을 그 유닛과 같아질 때까지 증감한다.|| === 설명 === [[라넌큘러스의 꽃소녀 아샤]]와 [[꿈을 자아내는 라넌큘러스 아샤]]의 효과로 나오는 아샤의 꽃요정을 나타내는 카드. 인터셉트도 부스트도 할 수 없지만, 뱅가드의 아샤랑 같은 파워와 크리티컬을 얻을 수 있어서 화력은 플랜트 토큰보다 훨씬 강하다. 부스트를 받아도 자동 능력때문에 부스트 받은 파워는 사라지지만, 부스트 한 리어가드의 효과가 파워를 올리는 효과라면, 자동 능력 발동 순서를 임의로 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유닛의 파워 상승을 적용하고 부스트 한 리어가드의 파워 상승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후 2023년 8월 부터 부스트시 파워 증감에 관한 재정이 변경되면서 부스트 받는 파워의 추가 타이밍이 특정 값만큼 파워를 증감시는 과정 이후가 되면서 효과 때문에 부스트 파워가 사라지는 단점이 사라졌다.[* 같은 재정으로 인해 [[오버 트리거#s-4|브랜트 게이트의 오버 트리거들]]도 파워 2배 후 부스트 받는 걸로 수정되었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Ahsha]] || V-TD12/T01 ||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The Next Stage]] || V-EB14/T01 || - || 일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