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lantation == 개요 == 재식 농업, 식경, 재식경, 재식 기업, 재식 농원이라고도 한다. [[기업농]], [[집단농장]] 사례에도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자본·기술을 가진 선진국 및 거대기업이 자국이 아닌 [[식민지]], [[제3세계]]권 나라에서 해당 기후의 노동에 견딜 수 있는 원주민이나 이주노동자의 저렴한, 혹은 강제적으로 동원된 노동력을 이용해서 단일경작(單一耕作)을 하는 기업적 농업경영을 말한다. 농작물은 해당 지역에서 주로 소비할 목적으로 경작되는 작물이 아닌, 상품으로서 가치가 큰 향신료나 기호품, 산업원료, 해당 기후에서만 재배가능한 농작물 등이다. 역사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플랜테이션은 [[포도주]]와 [[올리브유]]의 거대한 수요를 공급하던 [[고대 로마]]의 [[라티푼디움]]이라 할 수 있다. 이후 16~17세기 부터 유럽의 식민제국들은 식민지의 토지와 기후, 노동력을 이용하여 유럽권에서 고부가가치를 지닌 작물들을 경작해 왔다.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콩키스타도르]]의 정복 이후에 엔코미엔다 제도[* 콩키스타도르에게 영지와 원주민 통치권을 본토에서 위임하고 간접통치 및 가톨릭 개종, 세금 수취 및 납부를 맡긴 제도.]를 거쳐 대농장인 아시엔다/파젠다가 자리잡으며 플랜테이션 농장이 생겼고, 19세기 아프리카에도 식민지를 확보하면서 플랜테이션이 도입되었다. 그러다가 2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지가 독립하면서 농장의 경영권이 국유화되어 현지인이 경영하게 되었다. 재배작물 중 대체소재가 개발되어 수요가 줄어든 마, 목화 등의 섬유, 염료 및 고무같은 작물들은 상당수 줄어들었다. 하지만 아직도 세계적으로 경제성이 있는 상품작물들은 이런 농업방식이 유지되고 있다. 덕분에 과거 값비싼 작물들이 세계 시장에서 저렴한 시장가격을 유지한다. 그러나 경영주체가 달라졌을 뿐 경영방식이 여전히 과거와 같은 불공정한 저임금, 착취노동에 의존하는 문제가 남아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정무역]]과 같은 사회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불법적이고 폐쇄적이기 때문에 [[마약]]과 불법작물 역시도 이런 방식으로 경작되어 범죄조직과 엮여 경영된다. [[미국]]도 [[남북전쟁]] 전후까지 자국 내(미국 남부지방)에서 [[흑인]][[노예]]노동을 이용한 플랜테이션 농업으로 [[면화]]를 재배했었다. [[하와이]] 등도 [[사탕수수]]농장으로 재편되어 노동이민자들이 건너간 역사가 있다. 농작물은 아니지만 [[염전]]에서 [[섬노예]] 사건이 드러날때마다 플랜테이션이라고 비꼬기도 한다. 놀랍게도 플랜테이션 농업과 그 구조가 비슷하다. == 플랜테이션의 일반적인 특징 == 생산물은 일반적인 상품시장이 되는 나라의 기후조건에서 재배할 수 없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열대성 혹은 아열대성의 특산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부터 세계시장을 지향한 상품작물이다. 현지의 기본적인 생활과는 관계 없는 상품작물인 고로 한 토지에 단일작물만을 재배하는 경향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대부분 전근대적 대토지소유제 및 경영자 감독하에 현지인 조장을 두는 집단적 노동양식인 갱 시스템(gang system)을 기초로 하고 있다. 노동력은 저임금 혹은 강제노동력에 의존하여 마진을 높인다. 단일재배의 특성상,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른 가격의 불안정, 흉작(기후변화 및 병충해 등)에 취약하다. 이전부터 행해지던 현지 고유의 농업 및 경제적인 순환이 망가져 자발적이든 강제적이든 플랜테이션 농업에 엮여 생활을 의존하는 현지인들은 더욱 크게 피해를 입는다. 이게 더 심해지면 아예 국가의 경제 자체가 해당 농업의 상태에 좌지우지되는 식민지 수준으로 전락하기도 한다.[* 애당초 자국 수요보다는 해외수요를 대상으로 만든 경제구조이므로 수요국에서 보이콧 등으로 얼마든지 해당국의 경제를 뒤흔들수 있다. 좋든 싫든 따라갈수밖에.] 특히 플랜테이션 작물들은 대부분 극소수의 [[다국적 기업]]들이 전세계의 유통망을 장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플랜테이션 농업의 상징인 [[바나나]]는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치키타]], [[Dole]], 노보아[* 에콰도르의 플랜테이션기업], [[델몬트]], 스미후루[* 스미토모 후르츠. 일본 [[스미토모 그룹]]의 전 계열사이다. 회사는 [[싱가포르]]에 있다. "감숙왕"이라는 바나나 브랜드 광고를 라디오에서 보내고 있다.]라는 단 5개의 기업이 전세계 시장을 통제하고 있으며 바나나 생산국들은 을의 신세이다. 이런 플랜테이션 농업의 비참한 현실을 잘 보여주는 용어가 [[바나나 공화국]]이다. 자연히 [[아동노동]]과 같은 노동착취 및 [[인권]]문제의 온상이 되기도 하며 토지 황폐화나 단일종 경작에 따른 생물 [[다양성]] 문제, [[서식지 파괴]] 등 [[환경파괴]] 문제도 거의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의 [[팜유]] 플랜테이션, 미취학 아동 노동력 착취와 [[아무다리야 강]]과 [[시르다리야 강]] 수자원 파괴로 잘 알려진 [[우즈베키스탄]]의 [[목화]] 플랜테이션 산업 문제가 있다. 일부 좌파 운동가들이 이에 반발하여 [[공정무역]] 등 이익재분배나 환경운동을 벌이고 있으나, 돈이 모든 것을 지배하는 자본주의의 특성상 영향력은 미미하고 이 시스템으로 이익을 보고 있는 선진국들은 오히려 해당 산업을 더욱 지원하는지라, 인공지능 기술 등 인건비 절감을 위한 기술만 계속 발전하는 현실 등을 고려하면 미래에는 아예 현지인을 이용하지 않고 로봇을 사용해 모든 이익을 경영주가 독점하는 쪽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된다.[* 물론 진짜 그랬다가는 폭동이나 아니면 혁명이 일어날 지 모르기 때문에 최소한이나마 현지인들에게 뭔가를 쥐어주려고 노력한다. 예를 들면 나이지리아에 진출한 서방 석유 회사들이 [[한상기]] 박사의 신품종 카사바 보급을 적극적으로 도왔는데, 안 그러면 기근과, 그에 따르는 사회불안정으로 회사가 작살날까봐...] == 대표적인 플랜테이션 작물 == * [[고무]] * [[담배]] * [[마]] * [[면화]] * [[바나나]] * [[사탕수수]] * [[차]] * [[카카오]] * [[커피]] * [[코카인]], [[아편]]등의 일부 마약작물 * [[후추]], [[바닐라]], [[육두구]]등의 향신료 * [[종이]], [[목재]]용 나무 * [[팜유]] [[분류: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