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프테라노돈}}}[* 어원인 그리스어 발음을 따라 프테라노돈으로 부르는 것이 옳으나, 영어로는 p를 묵음 처리하여 테라노돈으로 발음한다.][br]Pteranod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teranodon_cat.jpg|width=340%]]}}} || ||<-2> [[백악기 후기]] ^^{{{-1 산토니움절}}}^^[br]86,000,000 년 전~84,500,000 년 전[br][[북아메리카]] || ||<-2> {{{#000 '''학명''' }}} || ||<-2> ''' ''Pteranodon longiceps'' '''[br][[오스니얼 찰스 마시|Marsh]], 1876 || ||<-2><#F96> {{{#000 '''분류''' }}}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척삭동물문^^Chordata^^]] || ||<#fc6> {{{#000 '''미분류'''}}} ||[[석형류|석형류^^Sauropsida^^]] ||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익룡|익룡목^^Pterosauria^^]]|| ||<#FC6> {{{#000 '''아목'''}}} ||†프테로닥틸루스아목^^Pterodactyloidea^^|| ||<#FC6> {{{#000 '''하목'''}}} ||†에웁테로닥틸루스하목^^Eupterodactyloidea^^|| ||<#FC6> {{{#000 '''미분류'''}}} ||†프테라노돈토이데아^^Pteranodontoidea^^||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프테라노돈과^^Pteranodontidae^^||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프테라노돈속^^''Pteranodon''^^'''||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프테라노돈 롱기켑스(''P. longiceps'')^^{{{-1 [[모식종]]}}}^^ * †[[게오스테른베르기아|프테라노돈 스테른베르기]]?^^(''P. sternbergi'')^^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teranodon_longiceps_mmartyniuk_wiki.png|width=100%]] || || 복원도 || || [[파일:external/static.squarespace.com/Pteranodon.jpg|width=100%]] || || 골격도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teranodon_amnh_martyniuk.jpg|width=100%]] || || 골격 표본 || [목차] == 개요 == [[백악기]] 후기 산토눔절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익룡]]이며 속명의 뜻은 '이빨 없는 날개'. 머리에 난 기다란 볏이 특징이다. == 연구사 == 최초로 발견된 화석은 1870년 [[미국]] [[캔자스]]에서 [[오스니얼 찰스 마시]]에 의해 발굴된 날개뼈 일부분이었다. 다만 발견 당시에는 [[프테로닥틸루스]]의 일종으로 여겨졌는데, 해당 화석과 함께 발견된 거대 육식성 [[경골어류]]인 [[크시팍티누스]]의 이빨 화석을 이 녀석의 것으로 잘못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이후 1876년에 두개골 화석이 발견되고서야 현재의 학명을 부여받아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될 수 있었다. 긴 목과 부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몸통을 지녔으나 날개를 활짝 펴면 그 길이가 수컷의 경우 대략 5~6m 정도에 암컷은 그보다 다소 작은 4m 정도에 이를 정도다. 한 거대한 표본의 익장은 6.25~6.5m에 몸길이는 2.6m로 [[트로페오그나투스]]와 [[아즈다르코]]류 익룡들이 알려지기 이전까지는 익룡 중에서 가장 거대한 크기였다.[* 익장이 7.25m에 달하는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에 비해 몸무게는 최대 50kg 남짓으로 매우 가벼운 편이었으리라 추정된다. 날개 끝은 전체적으로 끝이 둥글었고 꼬리는 매우 짧았는데, 꼬리뼈 마지막 마디는 가늘고 길며 두 갈래로 갈라져 있었다. 앞발은 바위절벽 등에 매달리기 좋은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으며, 속명에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이빨이 없는 부리를 갖고 있었다. 이로 미루어보건대 해안가에서 살았던 어식성 익룡으로 추정된다. 한때는 [[제비갈매기]]처럼 수면 가까이 날면서 부리로 물을 갈라 [[어류]]를 사냥하거나 [[독수리]] 등의 맹금류처럼 육상동물을 발톱으로 낚아채는 방식으로 사냥하는 묘사가 많았다. 그러나 실제 프테라노돈과 그 친족들의 다리는 매우 부실해 뒷다리로 뭘 잡기는커녕 육지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것 자체를 선호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며, 부리로 물을 가르며 사냥했을 것이라는 가설은 신체 구조상 불가능하다고 판명되어 폐기되었다.[* 사실 '부리로 물을 가르며 사냥하는' 기술은 상상 이상으로 어렵다. 조류학자 Zusi는 1962년 이런 사냥 기술을 가진 가위부리제비갈매기속 조류 3종이 26가지나 되는 고유 특징을 지녔다는 점을 정리했다.]익룡 전문가 마크 위튼에 따르면 이들의 적당히 견고하고 유체역학적인 두개골 구조로 미루어 보건대 [[사다새]]나 [[가넷#s-2|가넷]] 등의 물새들처럼 낮은 고도에서 물로 뛰어드는 사냥방식을 택했을 것이라고 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Pteranodonts.png]] 프테라노돈, 게오스턴버기아, 다운드라코의 개체 비교도 수컷과 암컷 간에는 크기 차이 외에도 성적 이형이 있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모식종 화석 표본들을 토대로 경향성을 분석해보면 수컷은 볏이 길게 늘어나있고 암컷은 수컷의 것보다 더 짧았으며 개체가 성장할수록 길어지는데, 이는 이 볏이 이성 개체에게 구애하기 위한 과시용이었음을 암시하며 같은 과에 속하는 친척들도 비슷했으리라 여겨진다. 과거 프테라노돈속에는 넓고 휘어진 볏이 특징적인 스테른베르기(''P. sternbergi'')종이 있었지만 현재 이 종은 게오스턴버기아라는 다른 속으로 분류된 상태이며, 그 외에도 프테라노돈의 일종으로 여겨진 몇몇 개체들이 다운드라코(''Dawndraco'')라는 별개의 속으로 재동정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다운드라코속은 프테라노돈속에 다시 흡수된 상태이며, 게오스턴버기아도 다시 프테라노돈의 한 종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주장이 점점 대두되는 상황이라 프테라노돈의 볏 모양이 어느 정도의 다양성을 보였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듯하다. 2023년 4월 기준으로 영문 위키백과에선 게오스테른베르기아를 프테라노돈의 종으로 통합하였다. [[지질박물관]] 중앙 홀 천장에 [[중가립테루스]]와 함께 [[https://fbcdn-sphotos-g-a.akamaihd.net/hphotos-ak-ash3/t1/1897844_673196932727024_1773025944_n.jpg|전시골격]]으로 매달려 있다. [[크립티드]] 중 하나로 [[아프리카]] 중남부 밀림 지대에서 발견된다는 [[콩가마토]]가 살아남은 프테라노돈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프테라노돈은 북아메리카에 살았기 때문에 가능성은 희박하다. == 등장 매체 == 가장 인지도가 높은 익룡인 덕분에 [[공룡]]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익룡과 [[어룡]], [[장경룡]] 등은 공룡이 아니다.] 공룡을 소재로 한 창작물에선 [[티라노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 등과 함께[* 이들과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다는 공통점이 있긴 하지만 실제로 공존하지는 않았다. 프테라노돈은 백악기 후기 중반 무렵인 코냑절에서 산토눔절 사이에 생존했고, 나머지 둘은 백악기 후기의 거의 막바지인 마스트리히트절에 생존했다.]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이 녀석에 버금갈 정도로 공룡 소재 창작물에 많이 등장하는 공룡이 아닌 파충류로는 [[장경룡]]인 [[플레시오사우루스]] 정도를 꼽을 수 있을 듯.] 호리호리한 생김새 때문인지, 주로 히로인이나 히로인의 파트너로 많이 등장하는 편이다. 하늘을 나는 익룡이라는 점에서 주인공을 태우고 비행하기도 하며 [[티라노사우루스]]나 [[트리케라톱스]]가 공격형이나 방어형, 파워형을 맡는다면 이쪽은 스피드형을 맡아 다른 공룡캐릭터를 보조하는 조력자 역할로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티라노사우루스와는 다르게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매체는 드물다. * 대중매체에서 처음으로 출연한 작품은 [[코난 도일]]의 소설 [[잃어버린 세계]]. 이 작품을 기점으로 대중매체에서의 익룡의 이미지가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 [[디즈니]]의 음악 애니메이션 [[환타지아(애니메이션)|환타지아]] 1부의 마지막 구성 요소인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에 출연했다. 머리 부분의 색깔이 꽤나 다채롭게 묘사되는 편으로[* 주황색을 띄는 볏과 부리에 눈은 노란색이고 그 주위에 푸른색의 주름진 피부가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사실 사지형 어류가 등장하는 장면 이후에 등장하는 고생물들이 죄다 풍경과 비슷한 색으로 단조롭게 그려진 편이라 더 돋보이는 것이지만.] 해안가 절벽에 무리지어 앉아있는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몇 마리는 마치 '''현생 [[박쥐]]처럼 다리의 힘만으로 바위에 거꾸로 매달려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후 하나씩 절벽에서 뛰어내려 상승기류를 타고 활강하다가 수면 가까이에서 물고기와 [[오징어]]를 사냥하는데, 그 중 한 마리는 갑자기 튀어나온 [[모사사우루스과]]로 추정되는 [[해양 파충류]]에게 [[인도미누스 렉스|머리를 물려 산 채로 바닷속으로 끌려들어간다]]. *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도 등장한다. 자세한건 [[프테라노돈(쥬라기 공원 시리즈)|해당 문서]] 참조. * 다큐멘터리에선 [[Sea Monsters]] 챕터 7에서 등장한다. * [[프라이미벌]]에서도 등장. 시즌1에서 골퍼를 죽인 범인으로 지목되었으나 배설물에서는 물고기와 소형 파충류의 뼈밖에 발견되지 않아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시즌2에서는 헬렌이 단백질 보충하려고 이 녀석의 알을 훔치다가 걸려서 공격당한다. 시즌3에서는 백악기로 도망친 헬렌을 먹이로 인식해 덮치려 했다. *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도 전시 가능한 익룡으로 나온다. 가장 유명한 익룡이라서 그런지 '전설' 등급으로 나온다. * [[ARK: Survival Evolved]]에서도 길들일 수 있는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익룡 및 조류#s-3.2|생물]]로 등장한다. 공중 생물 중 가장 빠르고 가장 먼저 안장을 달 수 있지만 체력이 종잇장이라는게 흠. 특이한 점으로는, 길들이면 '''배럴 롤'''을 시전할 수 있으며 심지어 '''낚아채기'''도 가능하다. * [[KKND2]]에서 이 익룡이 돌연변이의 전투기로 등장한다. * [[Beasts of Bermuda]]에서 플레이 가능한 생물로 등장한다. 모델링은 원래 롱기켑스종을 기반으로 했으나, 현재는 스테른베르기종을 기반으로 한다. * [[마블 코믹스]]에서 지구-66에서의 [[피터 파커]]가 프테라노돈이었다. 그러나 피터를 사냥하려던 티라노사우루스인 [[노먼 오스본|노라노 오사우르만]]와 같이 외계 거미가 가득 찬 운석에 맞아 육체가 뒤바뀌어 프테라노돈이 된 노라노 오사우르만이 [[그린 고블린]]이 되었다. [[https://m.fmkorea.com/5923398527|#]] * [[디 아일]] 에서도 등장. 실제 프테라노돈과 달리 [[디 아일]]에서는 육지에서 벗어나 하늘을 날아 다른 생물들의 맹공을 피할 수 있다는 절대적 장점 때문에 여러가지 너프를 먹었다. 먼저 성체가 되어도 사람보다 작은 크기의 익룡으로 격하되었으며 상당히 약해 직접 사냥할 수 있는 생물은 물고기나 토끼등의 소형 동물들로 한정되어 있고 성체가 되어서야 사슴 정도의 동물을 사냥할 수 있게 되었다. 플레이어블 생물과 싸운다면 중소형 공룡의 새끼나 힙실로포돈이 아니면 이길 수 있는 상대가 없다. 다만 익룡이라는 엄청난 장점 때문에 새끼 시절의 유저들이 잘못 만나면 사신이나 다름 없다. === 이 익룡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 * [[얼음별 대모험]] - 공날이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초대)|가면라이더]] - [[쇼커 괴인#프라노돈|프라노돈]] * [[가면라이더 오즈]] - [[프트티라 콤보]], [[프테라노돈야미]]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 [[가면라이더 리바이]], [[가면라이더 바이스]] [[가면라이더 리바이스/게놈/기본 폼#프테라 게놈|프테라 게놈]] * [[강철전기 C21]]과 [[코즈믹 브레이크]] - [[프테란]], [[레드 프테란]], [[라노드]] * [[고지라 시리즈]] - [[라돈(고지라 시리즈)]] * [[고고 다이노]] - 리틀핑 * [[공룡 100만년 똘이]] - 프테라 * [[공룡메카드]] - 프테라 * [[공룡시대]] - [[공룡시대 시리즈/등장인물#피트리(Petrie)|피트리]], 테라노, 에타 * [[난다 난다 니얀다]] - [[삐돌이]] * [[다라이어스 시리즈]] - MEGALOPROS * [[다이노스터: 공룡수호대]] - 다이노수트 프테라 모드, 프테라 윙 * [[다이노 코어]] - 프테라노돈 * [[디지몬 시리즈]] - [[프테라몬]](프테라노돈+ 제트기) * [[드래곤 리그]] - 쿠테라(프테라) * 뿌요뿌요!! 퀘스트 Arcade - 쁘띠라 * [[마동왕 그랑조트]] - 프테란다 * [[무카무카 파라다이스]] - 록큰 * [[사우르스 팡팡]] - 팡팡 * [[샤크토퍼스(영화)|샤크토퍼스 시리즈]] - [[프테라쿠타]](프테라노돈+ 바라쿠다) * [[슈퍼전대 시리즈]][* 이전까지는 다른 매체의 프테라들처럼 [[메이(공룡전대 쥬레인저)|여성]] [[이츠키 란루|대원]]에게 간 반면, 쿄류저에서는 [[우츠세미마루|남성 대원]]에게 갔다.][* 메카 합체 시 다소 찬밥 대우를 많이 받는 편. 아바레인저에서는 아예 프테라가 빠진 버전의 [[아바렌오]]를 아바렌오지라 하여 등장시켰을 정도. 다만 쿄류저에서는 신전사 버프로 인해 [[프테라이덴오|단독으로 인간 형태로 변형해서 전투가 가능한 수준]]까지 올라갔다.] * [[대전대 고글파이브]] - [[합성 괴수#25화 프라테노 모조|프라테노 모조]], [[콩(대전대 고글파이브)#25화 프라테노콩|프라테노콩]] * [[공룡전대 쥬레인저]] - [[메이(공룡전대 쥬레인저)|프테라레인저]], [[수호수#s-2.5|수호수 프테라노돈]]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 [[이츠키 란루|아바레 옐로]], [[폭룡#폭룡 프테라노돈|폭룡 프테라노돈]] * [[천장전대 고세이저]] - [[고세이 헤더#스카익 브라더 헤더|프테라 헤더]] * [[수전전대 쿄류저]] - [[우츠세미마루#쿄류 골드|쿄류 골드]], [[수전룡#프테라고돈|수전룡 프테라고돈]] *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 - [[파워 다이노(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프테라볼트|프테라볼트]]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 [[기사룡#프테라돈 (피땅) / (피딴)|프테라돈]] * [[스타크래프트]] - [[카카루]] * [[시공탐정 겐시군]] - [[프테라#s-2|프테라]] * [[아기공룡 버디]] - [[타이니(아기공룡 버디)|타이니]], [[샤이니(아기공룡 버디)|샤이니]], [[돈(아기공룡 버디)|돈]], [[프테라노돈 부인]], [[프테라노돈 씨]], [[프테라노돈 할머니]], [[프테라노돈 할아버지]], 테란스, 투티 * [[아머드 사우루스]] - [[리오(아머드 사우루스)|리오]], 루시 * [[열혈최강 고자우라]] - '''[[마하 프테라]](한국명: 마하루스)''' * [[용자 엑스카이저]] - [[가이스터|프테라 가이스트]] * 우주용사 다이노서 - 테러블 닥틸 * [[원피스(만화)|원피스]] - [[용용 열매 모델 프테라노돈]](작중 능력자는 [[킹(원피스)|킹]]) * [[유희왕]] - [[쁘띠라노돈]], [[블랙 프테라#s-1|블랙 프테라]], [[다이너미스트#s-3.1.3|다이너미스트 프테란]] * [[저, 트윈 테일이 됩니다]] - 프테라 길디 * [[조이드]] - [[프테라스#s-1|프테라스]], [[스톰 소더]], 스나이프테라 * [[쥬라기 원시전 2]] - [[프테라스#s-2|프테라스]] * [[지오메카 비스트가디언]] - 프테라스톰 * [[토이 스토리 시리즈|토이 스토리: 공룡들의 도시]] - [[토이 스토리 시리즈/등장인물#s-8.4|클레릭]] * [[트랜스포머 시리즈]] * [[다이노봇(G1)|다이노봇]] - 스우프 * [[트랜스포머 빅토리]] - 요쿠류 * [[비스트 워즈]] - [[테러소어]] * [[비스트 워즈 네오]] - [[하이드라(비스트 워즈 네오)|하이드라]][* 테러소어의 색놀이 버전이다.] * [[포켓몬스터]] - [[프테라(포켓몬스터)|프테라]][* 정작 이빨이 달린 주둥이와 기다란 꼬리 때문에 오히려 [[람포링쿠스]] 계열 익룡을 연상시킨다. 그나마 [[메가진화]]를 시키면 머리 뒤의 뿔이 더욱 길어지면서 조금 나아지지만...] * [[폭투선언 다이건더]] - [[데스펙터]] * [[헬로 카봇]] - [[테라제트]] * [[쿵푸 공룡 수호대]] - 제트 [[분류:프테라노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