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이번 시즌, rd1=프리메이라 리가/2023-24 시즌)] [include(틀:유럽의 주요 축구리그(남유럽))] [include(틀:포르투갈의 축구 리그)] [include(틀:프리메이라 리가)] ||<-2> '''{{{+1 {{{#fff Liga Portuga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20013; font-size: .9em" {{{#fff '''Betclic'''}}}}}}}}}}}}[br]{{{#fff 리가 포르투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20013; font-size: .9em" {{{#fff '''벳클릭'''}}}}}}}}}''' || ||<-2> [br][[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webp|width=230]][br][br] || || '''{{{#fff 정식 명칭}}}''' ||프리메이라 리가 [br] (Primeira Liga) || || '''{{{#fff 창설 연도}}}''' ||[[1934년]] - 프리메이라 리가 [br] [[1938년]] - 프리메이라 디비장 [br] [[1999년]] - 프리메이라 리가 || || '''{{{#fff 운영 기관}}}''' ||[[리가 포르투갈]] || || '''{{{#fff 진출 팀 수}}}''' ||[[틀:프리메이라 리가|18개 팀]] || || '''{{{#fff 하위 리그}}}''' ||[[리가 포르투갈 2]] || || '''{{{#fff 최근 우승팀}}}''' ||[[파일:SL 벤피카 로고.svg|width=20]] [[SL 벤피카]] ^^(2022-23)^^ || || '''{{{#fff 최다 우승팀}}}''' ||[[파일:SL 벤피카 로고.svg|width=20]] [[SL 벤피카]] ^^(38회)^^ || || '''{{{#fff UEFA 랭킹}}}''' ||'''7위''' [[https://www.uefa.com/nationalassociations/uefarankings/country/#/yr/2024|#]] || || '''{{{#fff 공식 웹사이트}}}''' ||[[https://www.ligaportugal.pt/pt/homepage/| [[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webp|width=24]]]] || || '''{{{#fff 공식 SNS}}}''' ||[[https://youtube.com/@LigaPortugalOfficial/abou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instagram.com/ligaportug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igaportugal, 크기=24)] | [[https://www.facebook.com/ligaportug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s://twitch.tv/ligaportugal|[[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linkedin.com/company/11088756/|[[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d3MZkg-5UE)]}}} || ||<#00225b> {{{#fff '''2023-24 프리메이라 리가 bwin 인트로 영상'''}}} || [[포르투갈]]의 프로 축구 1부 리그다. '리가 포르투갈' 이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있다. == 상세 == 1934년부터 전국적인 토너먼트 형태로 경기가 출범했고, 1938년에 지금과 같은 리그전으로 개편되어 오늘날까지 이른다. 이 때 이후로 단 한 번도 중단되는 일 없이 쭉 리그를 이어오고 있다. 심지어 [[제2차 세계 대전]]이나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 [[코로나 19]] 때도 리그는 계속되었다. 18개 팀 중 17위~18위는 [[리가 포르투갈 2]]로 강등되며, 16위는 [[리가 포르투갈 2]] 3위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잔류 또는 강등을 결정하게 된다. 초창기에는 포르투갈의 해외 식민지에서도 많은 선수들이 건너와 활약했다. 대표적인 선수가 [[모잠비크]] 태생으로 포르투갈의 축구 영웅이 된 [[에우제비우]]. 그러나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독립한 후에는 식민지 태생도 물론 뛰지만, 주로 언어가 같은 [[브라질]] 선수들이 대규모로 건너와서 활약한다. 그 중에는 [[데쿠]]처럼 포르투갈로 귀화해서 대표팀에 발탁된 사례도 있을 정도. 물론 당연히 포르투갈 출신 선수들의 비중이 더 높다. 리그의 선수 수급 및 생태가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와 전반적으로 비슷한 편인데, 리그 소속 빅클럽[* 프리메이라 리가의 FC 포르투, 벤피카, 스포르팅 리스본 / 에리디비시의 아약스, PSV, 페예노르트 등]들이 유스를 키워내거나 비유럽 리그 혹은 유럽내 변방 리그[* 프리메이라 리가는 주로 남미권 리그, 에레디비시는 동/북유럽 리그]에서 유망주를 발굴하면, 그 빅 클럽들은 상위 4대 리그[* 라리가, EPL, 세리에 A, 분데스리가. 여기에 리그 1의 PSG, 리옹, 모나코까지 해당된다.]에 장사해서 재정을 유지하는 구조가 거의 일치한다. 이런 빅클럽이 주로 2, 3개 클럽으로 한정되었다는 점도 역시 그렇다. 다만 2000년대 이후 에레디비시가 급격하게 몰락하며 2010년대에 들어선 아예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에 비해 프리메이라 리가는 꾸준히 UEFA 리그 순위 6~8위를 오가며 선전 중에 있다. 심지어 2011년부터 2016까지 무려 5년 동안은 리그순위가 프랑스의 [[리그 1]]를 한단계 뛰어넘은 5위를 유지해왔을 정도였다. 그리고 소위 5대 리그 바로 다음 자리를 두고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와 경쟁하고 있었는데, 인구 1억 5,000만이 넘는 러시아에 비해 재정적 규모에선 밀리지만 유럽 대항전에서의 성적이 더 좋은 편이다.[[https://www.fmkorea.com/3121855846|포르투갈 리그의 발전 원동력에 대해 다룬 글]] 2022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가 유럽 대항전 성적 하락에 이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국가가 일으킨 전쟁]]으로 유럽 대항전 무기한 출전 정지 처분을 받은 여파로 리그 랭킹이 대폭 하락하면서 과거의 일이 되었다. 리그가 가진 장점은 언어적으로 크게 다를 게 없는 이웃 [[라리가]]가 바로 곁에 있다는 점으로 언어나 지리적 요소로도 라리가에 진출할 길도 높다는 점이 있다. 언어적으로 통하는 브라질 선수들 수급도 여전하고 이전 장점으로 실력을 갖춘 선수들이 많이 채워진다. 이렇기에 2020년대 와서는 리그 랭킹이 더 올라서 유럽 리그 5위 [[프랑스]] [[리그 1]]을 추격하고 있다. 네덜란드 에레디비시도 2020년대 들어 유럽 대항전에서 대약진을 하면서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와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이 둘을 벨기에 리그가 뒤쫓고 있다. 대표적인 포르투갈의 빅3는 [[FC 포르투]], [[SL 벤피카]], [[스포르팅 CP]]로 꼽힌다.[* 그와 동시에 다른 유럽 리그에서는 [[셀링 클럽]]의 3대장으로도 알려져있다.] [[SC 브라가]] 등의 약진이 있긴 하나 여전히 빅3 체제는 견고한 편으로[* 10여년전 즈음부터 약진하여 가장 꾸준하게 4,5위권과 가끔 챔스권에 진입하고 있는 SC 브라가를 포함하여 프리메이라 리가 빅4로 부르기도 한다.], 1938년부터 시작된 리그 체제에서 빅3 외의 팀이 우승한 것은 단 두 번뿐이다.[* 1946년 '''[[CF 우스 벨레넨스스]]''', 2001년 '''[[보아비스타 FC]]'''][* 지금까지 [[리스본]]과 [[포르투]] 이외의 도시에서 우승팀이 나온적은 한번도 없다.] 이러한 빅3의 독주는 포르투갈의 인구나 경제력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소수 빅 클럽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나머지 클럽들의 성장을 담보할 인구나 경제력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빚어진 현상이다. 대신 그런 빅 클럽의 대외 경쟁력은 나쁘지 않아서 포르투갈 리그는 2000년대 이후 리그 랭킹이 대부분 7위 안에는 들었다.[* 다만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처럼 빅클럽과 약팀의 실력차가 크기 때문에 elo랭킹으로 볼 경우 순위가 낮아진다.] 과거 빅 리그의 영향력이 크지 않던 시절에는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맹활약했고, 빅 리그의 영향력이 커진 지금에도 유럽 대항전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전력과 실적을 내고 있다. 단적인 예가 2003-04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FC 포르투가 우승한 것과 2010-11 [[UEFA 유로파 리그]]에서 4강에 포르투갈 클럽 3팀이 올라가서 그 중 포르투가 우승을 차지한 것이다. 포르투 외에도 벤피카 등이 유럽 대항전에서 준우승을 하는 등 좋은 성적을 내었고, 2014-15 시즌 부터는 참가팀이 2개 늘어 [[분데스리가]], [[에레디비시]], [[쉬페르리그]]처럼 18개팀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실력 면에서는 분명 뒤질 것이 없는 리그이지만, 유럽에서 중위권에 속하는 포르투갈의 경제력과 1000만을 겨우 넘는 인구 한계가 더 큰 규모로 성장하는데 제약이 되고 있다.[* 다른 이야기인데 [[포르투갈어]]조차 이렇게 되었다. 1000만이 겨우 넘는 인구로 인하여 본고장 포르투갈어보다도 옛 식민지인 [[브라질]]이 인구 2억 1천만을 넘어가며 여기에서 쓰이는 [[브라질 포르투갈어]]가 인구가 21배나 많은 브라질에게 밀려나서 브라질 포르투갈어가 국제적으로 쓰임새가 많아지고 있다. 포르투갈어 항목에서 이런 사례가 나와있다.] 그래서 프리메이라 리가보다 실력이 떨어지는 [[쉬페르리그]][* 리그 랭킹으로 쉬페르리그는 10위권 초반이지만 터키 인구는 포르투갈의 8배에 가깝고 인구증가률 또한 포르투갈보다 압도적이다.]가 자국시장만으로도 중계권료가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의 2.5배에 달하며 유럽에서 5위에 해당하는 것과 달리 프리메이라 리가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게도 뒤처져 10위 안팎을 맴돈다. 다만, 2018년부터 3개의 빅클럽인 벤피카, 포르투, 스포르팅은 독자적인 TV중계권 계약으로 최대 4,000만유로(약 514억원)의 중계권료 수입을 올리게 된다. 이는 바이에른 뮌헨의 중계권료 수입인 4,300만 유로와 큰 차이가 없는 수준으로, 이들 세 팀이 유럽 대항전에서 다른 6~10위권 리그 팀들을 압도하는 원동력이 된다. 문제는 나머지 팀들은 중계권비가 저조하고 종합적인 수입 면에서 변방 리그와 다름없는 수준으로 뒤떨어진다는 것이다. 유럽의 5대 리그 중계권료는 모두 균등분배+성적에 따른 차등분배라서 팀들간 중계권료 수익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 균등분배 때문에 리그 우승팀과 강등팀간의 중계권료 수입은 보통 두 배 정도 차이난다. 중계권료 개별협상 방식으로 악명높던 스페인 [[라 리가]]조차 2015년부터는 중계권료의 50%는 균등 분배하기로 바뀌었다. 그런데,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는 아직도 개별협상 방식이라 빅클럽과 하위팀간 중계권료 차이가 수십배씩 난다. 요컨대 프리메이라 리가 빅클럽의 중계권료 수익이 바이에른 뮌헨과 비슷한건 구시대적 중계권료 배정방식 때문이지 시장성과 인기가 바이에른 뮌헨과 비슷하다는 뜻이 절대로 아니다. 현재 후원사는 통신회사 [[NOS]]로, 이에 따라 중계 등에서 Liga NOS(NOS 리그)라는 이름을 써왔다가 21-22 시즌부터는 [[오스트리아]] 도박업체인 bwin를 후원사로 변경되어서 리그 이름도 Liga Portugal Bwin로 변경된다. 리그 외 컵대회로는 FA컵인 [[타사 드 포르투갈]](Taça de Portugal), [[리그컵]]인 [[타사 다 리가]](Taça da Liga)[* 현재 후원사가 CTT([[우체국]])이라서 중계 등에서 Taça CTT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슈퍼컵]]인 수페르타사(Supertaça)가 있다. == 유럽 대항전 == 2020-2021 시즌부터 프리메이라 리가 팀들에게 부여되는 유럽 대항전 티켓은 다음과 같다. 이번 시즌은 리그 랭킹이 6위로 올랐고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출범 전 시즌이라 변화가 좀 있다. 1, 2위는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에[* 우승 팀은 1번 시드 부여], 3위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4, 5위는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예선에 진출한다. [[타사 드 포르투갈]] 우승 팀은 유로파 리그 본선으로 간다.[* 만약 이 대회 우승 팀이 리그 3위 이상이면 4위 팀이 양도 받는다.] == 역대 시즌 == === 2023-24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리메이라 리가/2023-24 시즌)] == 프리메이라 리가와 대한민국 == 현역 프리메이라 리거는 볼드체로 표시. ||<-4>
[[프리메이라 리가|[[파일:리가 포르투갈 벳클릭 로고 가로.png|width=200]]]] || || '''{{{#ffffff 순서}}}''' || {{{#ffffff 이름}}} || {{{#ffffff 클럽}}} || '''{{{#ffffff 기간}}}''' || || '''1''' || [[정재권]] || [[비토리아 FC]] || (1998) || || '''2''' || --[[김동현(1984)|김동현]]-- || [[SC 브라가]] || (2006) || || '''3''' || [[김병석(축구선수)|김병석]] || [[비토리아 FC]] || (2007~2008) || || '''4''' || [[석현준]] || [[CS 마리티무]] [br] [[CD 나시오날]] [br] [[비토리아 FC]] [br] [[FC 포르투]] || (2013) [br] (2014~2015) [br] (2015~2016) [br] (2016~2018) || || '''5''' || [[황문기]] ||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 || (2015~2016)[* 2016년부터 팀이 [[포르투갈 세군다 리가]]로 강등.] || || '''6''' || [[이승우]] || [[포르티모넨스 SC]] || (2021) || || '''7''' || '''[[김용학(축구선수)|김용학]]''' || [[포르티모넨스 SC]] || (2022~) || || '''8''' || [[박지수(축구선수)|박지수]] || [[포르티모넨스 SC]] || (2023) || || '''9''' || '''[[황인택]]''' ||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 (2023~) || || '''10''' || '''[[이예찬(2005)|이예찬]]''' || [[포르티모넨스 SC]] || (2023~) || 정재권 선수가 처음 [[비토리아 FC]]에서 뛰면서 프리메이라 리가와 인연을 맺기 시작하였다. 이후 ~~[[김동현(1984)|김동현]]~~, 김병석을 거쳐 [[석현준]] 선수가 [[FC 포르투]]에서 뛰었다. 15-16 시즌부터 아카데미카 유스팀 소속이던 [[황문기]]가 1부 리그 본팀으로 올라오면서 5번째로 프리메이라 리가에 데뷔한 한국인 선수가 되었다. 2020년 여름 이적 시장부터는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대표팀 멤버였던 [[김정민(1999)|김정민]] 선수도 프리메이라 리가 비토리아 SC로 이적하기도 했다. [* 하지만 김정민은 이후 국내로 임대를 돌다가 2023년 FC 안양으로 이적하였고 프리메이라 리가는 단 한 경기도 뛰지 못 했다. 그래서 역대 프리메이라 리거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이후 2021년 [[신트트라위던 VV]]에서 뛰던 [[이승우]]가 임대로 포르티모넨스에서 반년 동안 있었다. 이 가운데 [[석현준]]이 리그에서 넣은 9골 및 컵대회 2골로 시즌 11골을 기록한 것이 한국 선수로 가장 잘한 성적이다. 2015-16 시즌 한국 내 방송 중계권은 [[JTBC3 FOX Sports]]가 가져갔다. 여담인데 아시아 선수가 제법 많이 오는 유럽 리그이기도 하다. [[나카지마 쇼야]]는 이 리그에서 리그 10골 이상을 넣었으며, [[석현준]]도 리그 9골을 기록했던 바 있다. [[말레이시아]] 선수인 [[사파위 라시드]]도 이 리그에 임대되었으나, 여러 사정으로 제대로 뛰지도 못했다. 아시아 선수 중에서 가장 큰 족적을 남긴 선수는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로, 2020~21 시즌 리그 18골을 넣으며 아시아 국적으로 처음인 공동 득점 1위[* 경기 출전시간이 많아 출전시간이 더 적은 [[카를로스 비니시우스]]가 단독 득점왕을 차지했다.]를 차지했으며 2020-21 시즌에도 리그 16골 15도움으로 리그 3위, 도움왕을 기록하며 전체 공격포인트 23골 18도움으로 22골 17도움인 [[손흥민]]을 제치고 아시아 유럽리거로 유일하게 통산 40공격 포인트를 넘어섰다. 덤으로 2021-22 시즌에도 전체골로 22골을 기록하여 자신의 기록을 경신하였으며 2022-23 시즌에는 단독 득점왕이 되었는데 이는 아시아 선수 역사상 처음으로 유럽리그에서 4개 시즌 연속 20골 이상을 기록하여 동시에 3시즌 연속 40공격 포인트를 기록하며 종전의 본인의 기록을 또 한번 갈아치웠다. 이는 [[차범근]]과 [[손흥민]][* 4대 리그 중 두 곳에서 3회 연속 리그 10골 이상을 기록했다.], [[막심 샤츠키흐]][* 아시아 국적 최초 유럽리그 득점왕 및 리그 최다골 기록]도 이루지 못한 기록이다. 이승우 이후 한동안 뜸했던 포르투갈의 한국인 선수는, 2022-23 시즌 1군에 올라와 등번호 10번을 받으며 초고속 성장중인 [[김용학(축구선수)|김용학]]이 등장하면서 다시 이어지게 되었다. 김용학은 시즌 개막전 교체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예열을 마쳤으나 주전으로는 기용되지 않고 있다. 반면 2023년 겨울에 이적한 [[박지수(축구선수)|박지수]]는 입단하자마자 주전 센터백 자리를 차지하며 빠르게 연착륙했고, 리그 하반기 14경기 출전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1부리그 잔류에 큰 힘을 보탰다. 2023-24 시즌을 앞두고 박지수가 중국 리그로 이적했으나, 김용학은 완전 이적에 성공했고 김용학과 함께 U-20 월드컵에 다녀온 수비수 [[황인택]]이 이스토릴로 임대된 데다 [[이예찬(2005)|이예찬]]까지 포르티모넨스에 합류하면서 한국인 선수의 수는 3명으로 늘어났다. 영등포공고 출신의 김태원이 포르티모넨스와 링크가 났고 메디컬 테스트만이 남았다는 기사가 떴다.--이번 년도에 또 포르티모넨스와 유망주가 링크났다.-- 거기에 2부 리그 소속의 [[CD 나시오날]] 소속의 훈련생이던 배현웅이 [[CF 이스트렐라 다 아마도라]] U-23에 들어감으로서 새로운 프리메이라 리가 선수가 생긴 것이나 다름 없어졌다. == 참가 클럽 == [include(틀:프리메이라 리가)] || 참가 클럽 || 전시즌 순위 || 특이사항 || 1부 첫 참가 || 최근 승격 시즌 || || [[SL 벤피카]] || 우승 ||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조별리그 진출 ||<-2> 1934-1935[*A 프리메이라 리가 출범 이후 '''한번도 강등 되지 않은 팀'''] || || [[FC 포르투]] || 준우승 ||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조별리그 진출 ||<-2> 1934-1935[*A 프리메이라 리가 출범 이후 '''한번도 강등 되지 않은 팀'''] || || [[SC 브라가]] || 3위 ||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예선 진출 || 1947-1948 || 1975-1976 || || [[스포르팅 CP]] || 4위 || [[UEFA 유로파 리그]] 본선 조별리그 진출 ||<-2> 1934-1935[*A 프리메이라 리가 출범 이후 '''한번도 강등 되지 않은 팀'''] || || [[FC 아로카]] || 5위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3차예선 진출 || 2013-2014 || 2021-2022 || || [[비토리아 SC]] || 6위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 1941-1942 || 2007-2008 || || [[GD 샤베스]] || 7위 || - || 1985-1986 || 2022-2023 || || [[FC 파말리캉]] || 8위 || - || 1946-1947 || 2019-2020 || || [[보아비스타 FC]] || 9위 || - || 1935-1936 || 2014-2015 || || [[카사 피아 AC]] || 10위 || - || 1938-1939 || 2022-2023 || || [[FC 비젤라]] || 11위 || - || 1984-1985 || 2021-2022 || || [[히우 아브 FC]] || 12위 || - || 1979-1980 || 2022-2023 || || [[질 비센트 FC]] || 13위 || - || 1990-1991 || 2019-2020 || ||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 14위 || - || 1944-1945 || 2021-2022 || || [[포르티모넨스 SC]] || 15위 || - || 1976-1977 || 2017-2018 || || [[모레이렌스 FC]] || - || [[리가 포르투갈 2]] 1위[* 1년만의 승격] || 2002-2003 || 2023-2024 || || [[SC 파렌스]] || - || [[리가 포르투갈 2]] 2위[* 2년만의 승격] || 1970-1971 || 2023-2024 || || [[CF 이스트렐라 다 아마도라]] || - || [[리가 포르투갈 2]] 3위, 승강 플레이오프 승자[* 창단 첫 승격][* 해체가 아닌 계승으로 기준을 했다면 14년만의 승격이였다.] ||<-2> 2023-2024 || == 클럽별 감독 == [include(틀:프리메이라 리가 감독)] == 우승 트로피 == [[파일:attachment/Primeiraligatrophy.png|width=300&align=center]] == 기록 == === 역대 우승 클럽 === ||
<:>1934-35||<:>1935-36||<:>1936-37||<:>1937-38||<:>1938-39||<:>1939-40||<:>1940-41||<:>1941-42||<:>1942-43||<:>1943-44|| ||<:>[[FC 포르투]]||<-3><:>[[SL 벤피카]]||<-2><:>[[FC 포르투]]||<:>[[스포르팅 CP]]||<-2><:>[[SL 벤피카]]||<:>[[스포르팅 CP]]|| ||<:>1944-45||<:>1945-46||<:>1946-47||<:>1947-48||<:>1948-49||<:>1949-50||<:>1950-51||<:>1951-52||<:>1952-53||<:>1953-54|| ||<:>[[SL 벤피카]]||<:>'''[[CF 오스 벨레넨스스]]'''||<-3><:>[[스포르팅 CP]]||<:>[[SL 벤피카]]||<:><-4>[[스포르팅 CP]]|| ||<:>1954-55||<:>1955-56||<:>1956-57||<:>1957-58||<:>1958-59||<:>1959-60||<:>1960-61||<:>1961-62||<:>1962-63||<:>1963-64|| ||<:>[[SL 벤피카]]||<:>[[FC 포르투]]||<:>[[SL 벤피카]]||<:>[[스포르팅 CP]]||<:>[[FC 포르투]]||<:><-2>[[SL 벤피카]]||<:>[[스포르팅 CP]]||<:><-2>[[SL 벤피카]]|| ||<:>1964-65||<:>1965-66||<:>1966-67||<:>1967-68||<:>1968-69||<:>1969-70||<:>1970-71||<:>1971-72||<:>1972-73||<:>1973-74|| ||<:>[[SL 벤피카]]||<:>[[스포르팅 CP]]||<:><-3>[[SL 벤피카]]||<:>[[스포르팅 CP]]||<:><-3>[[SL 벤피카]]||<:>[[스포르팅 CP]]|| ||<:>1974-75||<:>1975-76||<:>1976-77||<:>1977-78||<:>1978-79||<:>1979-80||<:>1980-81||<:>1981-82||<:>1982-83||<:>1983-84|| ||<:><-3>[[SL 벤피카]]||<:><-2>[[FC 포르투]]||<:>[[스포르팅 CP]]||<:>[[SL 벤피카]]||<:>[[스포르팅 CP]]||<:><-2>[[SL 벤피카]]|| ||<:>1984-85||<:>1985-86||<:>1986-87||<:>1987-88||<:>1988-89||<:>1989-90||<:>1990-91||<:>1991-92||<:>1992-93||<:>1993-94|| ||<:><-2>[[FC 포르투]]||<:>[[SL 벤피카]]||<:>[[FC 포르투]]||<:>[[SL 벤피카]]||<:>[[FC 포르투]]||<:>[[SL 벤피카]]||<:><-2>[[FC 포르투]]||<:>[[SL 벤피카]]|| ||<:>1994-95||<:>1995-96||<:>1996-97||<:>1997-98||<:>1998-99||<:>1999-2000||<:>2000-01||<:>2001-02||<:>2002-03||<:>2003-04|| ||<:><-5>[[FC 포르투]]||<:>[[스포르팅 CP]]||<:>'''[[보아비스타 FC]]'''||<:>[[스포르팅 CP]]||<:><-2>[[FC 포르투]]|| ||<:>2004-05||<:>2005-06||<:>2006-07||<:>2007-08||<:>2008-09||<:>2009-10||<:>2010-11||<:>2011-12||<:>2012-13||<:>2013-14|| ||<:>[[SL 벤피카]]||<:><-4>[[FC 포르투]]||<:>[[SL 벤피카]]||<:><-3>[[FC 포르투]]||<:>[[SL 벤피카]]|| ||<:>2014-15||<:>2015-16||<:>2016-17||<:>2017-18||<:>2018-19||<:>2019-20||<:>2020-21||<:>2021-22||<:>2022-23||<:>2023-24|| ||<:><-3>[[SL 벤피카]]||<:>[[FC 포르투]]||<:>[[SL 벤피카]]||<:>[[FC 포르투]]||<:>[[스포르팅 CP]]||<:>[[FC 포르투]]||<:>[[SL 벤피카]]||<:>|| === 클럽별 우승 횟수 === || 클럽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벤피카 || 38 || 1936, 1937, 1938, 1942, 1943, 1945,[br]1950, 1955, 1957, 1960, 1961, 1963,[br]1964, 1965, 1967, 1968, 1969, 1971,[br]1972, 1973, 1975, 1976, 1977, 1981,[br]1983, 1984, 1987, 1989, 1991, 1994,[br]2005, 2010, 2014, 2015, 2016, 2017,[br]2019, 2023 || || 포르투 || 30 || 1935, 1939, 1940, 1956, 1959, 1978,[br]1979, 1985, 1986, 1988, 1990, 1992,[br]1993, 1995, 1996, 1997, 1998, 1999,[br]2003, 2004, 2006, 2007, 2008, 2009,[br]2011, 2012, 2013, 2018, 2020, 2022 || || 스포르팅 CP || 19 || 1941, 1944, 1947, 1948, 1949, 1951,[br]1952, 1953, 1954, 1958, 1962, 1966,[br]1970, 1974, 1980, 1982, 2000, 2002,[br]2021 || || 벨레넨스스 || 1 || 1946 || || 보아비스타 || 1 || 2001 || === 시즌별 올해의 팀 === ||<:><-3>
'''{{{#9acc33 2016-17 올해의 팀}}}''' || ||<:> [[젤송 마르틴스]][br]([[스포르팅 CP]]) ||<:> [[조나스 올리베이라]][br]([[SL 벤피카]]) ||<:> [[야신 브라히미]][br]([[FC 포르투]]) || ||<:> [[피찌]][br]([[SL 벤피카]]) ||<:> [[윌리엄 카르발류]][br]([[스포르팅 CP]]) ||<:> [[다닐루 페레이라]][br]([[FC 포르투]])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알렉스 텔리스]][br]([[FC 포르투]]) ||<:> [[세바스티안 코아테스]][br]([[스포르팅 CP]]) ||<:> [[펠리페 몬테이루]][br]([[FC 포르투]]) ||<:> [[넬송 세메두]][br]([[SL 벤피카]]) ||}}} || ||<:><-3> [[후이 파트리시우]][br]([[스포르팅 CP]]) || ||<:><-3> '''{{{#9acc33 2017-18 올해의 팀}}}''' || ||<:> [[젤송 마르틴스]][br]([[스포르팅 CP]]) ||<:> [[조나스 올리베이라]][br]([[SL 벤피카]]) ||<:> [[무사 마레가]][br]([[FC 포르투]]) || ||<:> [[피찌]][br]([[SL 벤피카]]) ||<:> [[엑토르 에레라]][br]([[FC 포르투]]) ||<:> [[브루노 페르난데스]][br]([[스포르팅 CP]])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알렉스 텔리스]][br]([[FC 포르투]]) ||<:> [[세바스티안 코아테스]][br]([[스포르팅 CP]]) ||<:> [[펠리페 몬테이루]][br]([[FC 포르투]]) ||<:> [[히카르두 페레이라]][br]([[FC 포르투]]) ||}}} || ||<:><-3> [[후이 파트리시우]][br]([[스포르팅 CP]]) || ||<:><-3> '''{{{#9acc33 2018-19 올해의 팀}}}''' || ||<:> [[하파 실바]][br]([[SL 벤피카]]) ||<:> [[하리스 세페로비치]][br]([[SL 벤피카]]) ||<:> [[무사 마레가]][br]([[FC 포르투]]) || ||<:> [[주앙 펠릭스]][br]([[SL 벤피카]]) ||<:> [[엑토르 에레라]][br]([[FC 포르투]]) ||<:> [[브루노 페르난데스]][br]([[스포르팅 CP]])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알렉스 텔리스]][br]([[FC 포르투]]) ||<:> [[제레미 마티유]][br]([[FC 포르투]]) ||<:> [[에데르 밀리탕]][br]([[스포르팅 CP]]) ||<:> [[알렉스 그리말도]][br]([[SL 벤피카]]) ||}}} || ||<:><-3> [[이케르 카시야스]][br]([[FC 포르투]]) || ||<:><-3> '''{{{#9acc33 2019-20 올해의 팀}}}''' || ||<:> [[메흐디 타레미]][br]([[히우 아브 FC|히우 아브]]) ||<:> [[파울리뉴(1992)|파울리뉴]][br]([[SC 브라가]]) ||<:> [[헤수스 코로나]][br]([[FC 포르투]]) || ||<:> [[피찌]][br]([[SL 벤피카]]) ||<:> [[페드루 곤살베스]][br]([[스포르팅 CP]]) ||<:> [[오타비우(1995)|오타비우]][br]([[FC 포르투]])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알렉스 텔리스]][br]([[FC 포르투]]) ||<:> [[후벵 디아스]][br]([[SL 벤피카]]) ||<:> [[페페(축구선수)|페페]][br]([[FC 포르투]]) ||<:> [[히카르두 이스가이우]][br]([[SC 브라가]]) ||}}} || ||<:><-3> [[아구스틴 마르체신]][br]([[FC 포르투]]) || ||<:><-3> '''{{{#FFD700 2020-21 올해의 팀}}}''' || ||<:> [[메흐디 타레미]][br]([[FC 포르투]]) ||<:> [[하리스 세페로비치]][br]([[SL 벤피카]]) ||<:> [[카를루스 주니오르]][br]([[CD 산타 클라라|산타 클라라]]) || ||<:> [[세르지우 올리베이라]][br]([[FC 포르투]]) ||<:> [[주앙 팔리냐]][br]([[스포르팅 CP]]) ||<:> [[페드루 곤살베스]][br]([[스포르팅 CP]])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누누 멘데스]][br]([[스포르팅 CP]]) ||<:> [[세바스티안 코아테스]][br]([[스포르팅 CP]]) ||<:> [[페페(축구선수)|페페]][br]([[FC 포르투]]) ||<:> [[페드로 포로]][br]([[스포르팅 CP]]) ||}}} || ||<:><-3> [[안토니오 아단]][br]([[스포르팅 CP]]) || ||<:><-3> '''{{{#FFD700 2021-22 올해의 팀}}}''' || ||<:> [[다르윈 누녜스]][br]([[SL 벤피카]]) ||<:> [[메흐디 타레미]][br]([[FC 포르투]]) ||<:> [[히카르두 오르타]][br]([[SC 브라가]]) || ||<:> [[마테우스 누네스]][br]([[스포르팅 CP]]) ||<:> [[비티냐]][br]([[FC 포르투]]) ||<:> [[오타비우(1995)|오타비우]][br]([[FC 포르투]])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마테우스 헤이스]][br]([[스포르팅 CP]]) ||<:> [[샹셀 음벰바]][br]([[FC 포르투]]) ||<:> [[페페(축구선수)|페페]][br]([[FC 포르투]]) ||<:> [[페드로 포로]][br]([[스포르팅 CP]]) ||}}} || ||<:><-3> [[디오구 코스타]][br]([[FC 포르투]]) || ||<:><-3> '''{{{#FFD700 2022-23 올해의 팀}}}''' || ||<:> [[히카르두 오르타]][br]([[SC 브라가]]) ||<:> [[곤살루 하무스]][br]([[SL 벤피카]]) ||<:> [[메흐디 타레미]][br]([[FC 포르투]]) || ||<:> [[주앙 마리우]][br]([[SL 벤피카]]) ||<:> [[마누엘 우가르테]][br]([[스포르팅 CP]]) ||<:> [[오타비우(1995)|오타비우]][br]([[FC 포르투]])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알렉스 그리말도]][br]([[SL 벤피카]]) ||<:> [[니콜라스 오타멘디]][br]([[SL 벤피카]]) ||<:> [[페페(축구선수)|페페]][br]([[FC 포르투]]) ||<:> [[안토니우 실바]][br]([[SL 벤피카]]) ||}}} || ||<:><-3> [[디오구 코스타]][br]([[FC 포르투]]) || === 역대 강등 클럽 === || 시즌 || 클럽명 || ||<|2><:>10/11 || [[포르티모넨스 SC]] || || [[아소시아상 나발 1º 드 마이우]] || ||<|2><:>11/12 || [[CD 페이렌스]] || || [[UD 레이리아]] || ||<|2><:>12/13 || [[모레이렌스 FC]] || || [[S.C. 베이라-마르]] || ||<|1><:>13/14 || [[SC 올랴넨스]] || ||<|2><:>14/15 || [[질 비센트 FC]] || || [[FC 페나피엘]] || ||<|2><:>15/16 || [[CF 우니앙]] || ||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 || ||<|2><:>16/17 || [[FC 아로카]] || || [[CD 나시오날]] || ||<|2><:>17/18 || [[FC 파수스 드 페헤이라]] || ||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 ||<|3><:>18/19[* 이번 시즌부터는 3팀이 2부 리그로 강등됐다.] || [[GD 샤베스]] || || [[CD 나시오날]] || || [[CD 페이렌스]] || ||<|2><:>19/20 || [[비토리아 FC]] || || [[CD 아베스]] || ||<|3><:>20/21 || [[히우 아브 FC]][*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 || || [[CD 페이렌스]] || || [[CD 나시오날]] || == 관련 문서 == * [[리가 포르투갈 2]] * [[타사 드 포르투갈]] * [[타사 다 리가]] * [[수페르타사]] * [[http://ligaportugal.thankyoutv.net|프리메이라 리가 중계]] == 둘러보기 == [include(틀:포르투갈의 축구 대회)] [각주] [[분류:프리메이라 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