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ey 애니메이션)] [include(틀:프리마 돌)]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1 프리마 돌}}}''' (2022)[br]プリマドール[br]{{{-2 [math(Prima~Dol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ima_doll_anime_kv.jpg|width=100%]]}}} || ||<-2> {{{#ffebc0,#ffebc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ebc0,#ffebc0 장르}}}''' ||[[일상물|일상]], [[드라마]], [[스팀펑크]], [[디젤펑크]] || || '''{{{#ffebc0,#ffebc0 원안}}}''' ||[[Key(브랜드)|VISUAL ARTS / Key]] || || '''{{{#ffebc0,#ffebc0 원작}}}''' ||[[Key(브랜드)|VISUAL ARTS / Key]][br][[바이브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 '''{{{#ffebc0,#ffebc0 감독}}}''' ||[[타나카 모토키|텐쇼]](天衝) || || '''{{{#ffebc0,#ffebc0 시리즈 구성}}}''' ||<|2>[[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丘野塔也)[br][[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魁) || || '''{{{#ffebc0,#ffebc0 각본}}}''' || || '''{{{#ffebc0,#ffebc0 캐릭터 원안}}}''' ||[[Na-Ga]][br][[후지 초코]][br][[하라 유이]][br][[모리쿠라 엔]][br][[lack]] || || '''{{{#ffebc0,#ffebc0 서브 캐릭터 원안}}}''' ||스기하라 미나미(杉原みなみ) || || '''{{{#ffebc0,#ffebc0 메카닉 원안}}}''' ||이시와타리 마코토(石渡マコト) || || '''{{{#ffebc0,#ffebc0 캐릭터 디자인}}}''' ||<|2>[[야노 아카네]] || || '''{{{#ffebc0,#ffebc0 총 작화감독}}}''' || || '''{{{#ffebc0,#ffebc0 미술 감독}}}''' ||미야케 마사카즈(三宅昌和) || || '''{{{#ffebc0,#ffebc0 미술 설정}}}''' ||아라이 카즈히로(荒井和浩)[br]사나미 유리(佐南友理) || || '''{{{#ffebc0,#ffebc0 색채 설계}}}''' ||오오타 유이하(太田ゆいは) || || '''{{{#ffebc0,#ffebc0 CG 디렉터}}}''' ||미노와 료지(箕輪綾二) || || '''{{{#ffebc0,#ffebc0 촬영 감독}}}''' ||카이 유키(甲斐勇冴) || || '''{{{#ffebc0,#ffebc0 편집}}}''' ||타케미야 무츠미(武宮むつみ) || || '''{{{#ffebc0,#ffebc0 음향 감독}}}''' ||츠치야 마사노리(土屋雅紀) || || '''{{{#ffebc0,#ffebc0 음향 제작}}}''' ||닥스 프로덕션 || || '''{{{#ffebc0,#ffebc0 음악 제작}}}''' ||[[비주얼 아츠]][br]{{{-2 [[NBC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 || || '''{{{#ffebc0,#ffebc0 프로듀서}}}''' ||타카하시 카즈아키(髙橋和彰)[br]아오이 히로유키(青井宏之)[br][[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br]스즈키 토시히로(鈴木寿広)[br]카시무라 에미(鹿志村絵美)[br]아키타 신고(秋田真吾)[br]야마시타 료헤이(山下良平)[br]마츠이 유코(松井優子)[br]사이토 히로오(齋藤宙央) || || '''{{{#ffebc0,#ffebc0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바타 마사히로(小幡正博) || || '''{{{#ffebc0,#ffebc0 애니메이션 제작}}}''' ||[[바이브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 '''{{{#ffebc0,#ffebc0 제작}}}''' ||'''{{{#823f49,#823f49 프리마 돌}}}''' [[제작위원회]] || || '''{{{#ffebc0,#ffebc0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2년 7월|2022. 07. 09.]] ~ 2022. 09. 24. || || '''{{{#ffebc0,#ffebc0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토) 00: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수) 01:00[* 1, 2화에 한해 7/20 00:30~01:30 연속방영] || || '''{{{#ffebc0,#ffebc0 스트리밍}}}''' ||[include(틀:애니플러스 표시)] [[https://www.aniplustv.com/items/2735|▶]][br][include(틀:Laftel 표시)] [[https://laftel.net/item/40948|▶]][br][include(틀:네이버 시리즈온 표시)]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514836|▶]] || || '''{{{#ffebc0,#ffebc0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ebc0,#ffebc0 화수}}}''' ||12화 || || '''{{{#ffebc0,#ffebc0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폭력성)}}}}}} || || '''{{{#ffebc0,#ffebc0 관련 사이트}}}''' ||[[https://primadoll.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rimadoll_pr)] | [[https://www.youtube.com/channel/UCOdB774aNvvb5ulmqrwvfP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래와 함께, 세계는 깨어난다──''' >'''(歌と共に、世界は目覚める──)''' 일본의 미디어 믹스 [[프리마 돌]]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타나카 모토키|텐쇼]],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2년 7월|2022년 7월]]. [[AbemaTV]]에서 매주 지상파보다 6일 일찍 선행으로 송신한다. == 공개 정보 == 2021년 연말 [[전격 G's magazine]], [[Key(브랜드)|Key]] 생방송 등에서 2022년 1월 28일 프리마 돌 관련 중대발표를 예고하였고, 예고 당일 애니메이션 공식 홈페이지와 티저 PV가 공개되었다. 제작사로 [[바이브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선정되었는데, 바이브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는 해당 문서에 서술돼 있듯이 Key의 모회사인 [[비주얼 아츠]]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고 있는 제작사로, 제작사의 대표이사이자 본작의 감독을 맡게 된 [[타나카 모토키|텐쇼]] 역시 Key의 전작 [[Rewrite/애니메이션|Rewrite 애니]]에 감독으로서 참가한 경력이 있다. 또한 텐쇼 감독은 전 분기 방영작인 [[BLACK★★ROCK SHOOTER DAWN FALL]]에 이어 바로 본작의 감독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2D+3D의 하이브리드로 제작되었던 BLACK★★ROCK SHOOTER DAWN FALL과 달리 본작은 2D 작화 베이스로 제작된다. Key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3부작이었던 [[Angel Beats!]], [[Charlotte]], [[신이 된 날]]은 [[마에다 준]]이 원작자의 지위에서 참여하는 형태였는데[* 다만 마에다 준은 비주얼 아츠 소속이기에 원작의 권리는 회사에 귀속되었다.], 이번에는 Key와 바이브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공동 원작으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마에다가 빠진 시리즈 구성과 각본에는 원작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맡았고, 현 비주얼 아츠 소속이자 Key의 주축으로 활동하고 있는 [[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와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가 참여한다. 둘은 [[카기나도 시리즈]]의 각본으로 함께 참여한 경력이 있고 카이는 추가로 [[극장판 쿠드 와후타]]의 각본 경력이 있는데,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각본가로서는 모두 데뷔작이 된다. 카이는 애니메이션 방영 전 공식 트위터 인터뷰에서, 본작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으로 ''''노래가 갖는 의미'''', '[[서비스신|목욕]]', '[[바니걸]]'을 꼽았다.[* 주역 5인방이 모두 흑묘정에 합류하는 시점인 6화에서 이 세 가지가 한꺼번에 등장했다. --즉 6화부터가 본편이라는 소리--] 또한 애니메이션은 방영 전 먼저 공개한 키네틱 노벨 Light '프리마 돌 앵콜'과 [[전격 G's magazine]]에서 연재한 '프리마 돌 interlude'을 아우르는 이야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https://twitter.com/primadoll_pr/status/1534822608667025409|#]] 마찬가지로 오카노 토야도 인터뷰에서 애니메이션이 외전과 시계열이 어긋나 있지만, 큰 시점에서 프리마 돌 세계관을 즐길 수 있는 이야기로 구성했다고 한다.[[https://twitter.com/primadoll_pr/status/1534460278158823424|#]] 캐릭터 디자인과 총 작화감독인 [[야노 아카네]]는 텐쇼 감독이 바이브리에 전용 작업실까지 만들어주는 파격 조건으로 직접 스카웃 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와 [[애니맥스 코리아]] 모두 첫 동시방영작 공개 당시 목록에 빠져 있었으나 [[애니플러스]]에서 판권을 들여와 7월 20일부터 방영한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zgxiK_pf1s, width=100%)]}}}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R1uHiosEdk8, width=100%)]}}}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bIPCXaPTu0, width=100%)]}}} || || '''본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rfQ4PrL15Qw, width=100%)]}}} || || '''애니플러스 PV'''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primadoll_teaser_visual.jpg|width=100%]]}}} || || '''{{{#ffebc0,#ffebc0 티저 비주얼}}}''' || == 줄거리 == >찻집 흑묘정. >그곳은 황도 5구의 구석에 덩그러니 있는 찻집. >그곳에서 일하는 것은 기술의 정수를 모아서 만들어진 자율인형(오토마타) 소녀들. > >수년 전에야 겨우 끝난 대전쟁. >그곳에서 병기로써 만들어진 소녀들. > >이윽고 맞이한 전후의 평화. >새것과 다름 없이 수리되어 반짝반짝 새 옷을 입고 >새로운 역할을 찾아서 노랫소리를 드높인다. > >당신도 그녀들과 멋진 한때를 보내지 않으시겠습니까? >---- >[[https://www.aniplustv.com/items/2735|애니플러스스]] == 특징 == [[프리마 돌]]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되는 애니메이션이다. 처음부터 음악과 애니메이션에 맞춰서 계획한 프로젝트이며, 이전까지 외전 소설 연재를 제외하고는 본격적인 전개를 하지 않았기에, 본작이 프로젝트의 중심 전개이자 사실상 원작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과 다름 없으며, 공식적으로도 TV 애니메이션화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라는 용어를 동시에 사용하며 홍보하고 있다. [[초단편 애니메이션]]인 [[카기나도 시리즈]]를 제외한다면 본 작품은 Key의 네 번째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자, [[마에다 준]]이 원작 및 각본에 참여하지 않은 첫 번째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 된다. [[노래]]와 [[오토마타]][* 여기서는 [[오토마톤]], [[안드로이드]]와 유사 개념으로 쓰였다.]를 주테마로 소개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주역을 모두 가수를 겸직하는 성우로 캐스팅하였다. 실제로 많은 노래가 삽입될 것이라고 예고했으며, 원작의 메인 테마를 작사·작곡하기도 한 마에다 역시 음악에 참여한다. 기존 Key 애니메이션이 Key에서 만든 음악을 주로 사용한 것과 다르게, [[NBC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과 함께 음악을 담당한다. 애니메이션 제작 시 비주얼 아츠에서 '당사의 음악만을 사용할 것'이라는 지침을 언제나 고수했지만[* Key 작품의 애니메이션화와 관련해 [[비주얼 아츠]] 대표 이사 [[바바 타카히로]]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리마 돌은 Key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작품으로 생각하는 만큼 작품에 다른 음악 스타일을 넣기 위해 공동으로 작업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상기한 부분은 프리마 돌 기획과 함께 공개한 티저 곡 [[프리마 돌/음반#기계장치의 찬가|기계장치의 찬가]]와 SHOW UP 캐릭터 송 음반 수록곡을 비교하면 분위기 차이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다. 기계장치의 찬가는 프리마 돌 기획 초반에 만들어진 곡으로 마에다 준이 작품이 가진 '동양풍' 테마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작곡했다. 하지만 기획이 진행되면서 '흑묘정에서 인형들이 일하는 활기찬 이미지의 곡'처럼 작중에서 기존 Key의 음악성과 다른 작곡가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비주얼 아츠 음악 프로듀서 [[돈마루]]와 NBC유니버설 애니메이션 제작부 소속 음악 프로듀서인 후지하라 나오타카(藤平直孝)가 공동으로 작곡을 프로듀스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후지하라 나오타카는 프리마 돌에 참가하기 전부터 Key를 알고 좋아했지만, 이번 작품이 새로운 음악성을 필요로 하는 만큼 기존 Key 음악을 참고 음악으로 제공하지 않았다고 한다. 오히려 비주얼 아츠 측에 Key에게 있어 낯설 수 있는 아이돌 노래와 같은 방향성이 괜찮은지 질문했을 때조차 OK라는 답변을 받았다. 게다가 대체로 캐릭터 송 녹음에서 성우들에게 담당 캐릭터 연기를 의식하면서 부르게 한 이전 방식과 다르게, 노래에 캐릭터 연기보다도 성우 자신의 간절한 마음을 담아 불러 달라는 지시를 하였다. 이러한 지시를 한 이유는 인형에게 있어서 노래가 존재 그 자체에 해당하는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성우도 진심을 담아서 노래를 불러주길 바랐기 때문이다. == [[프리마 돌#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리마 돌, 앵커=등장인물)] [include(틀:흑묘정)] == [[프리마 돌/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리마 돌/설정)] == [[프리마 돌/음반|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리마 돌/음반)] === 주제가 === ==== [[프리마 돌/음반#Tin Toy Melody|O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OP[* 12화 ED으로도 사용][br][[프리마 돌/음반#Tin Toy Melody|{{{#ffebc0 Tin Toy Melod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hSycE-wFCI,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x3nvcC54Hc,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샤 누아르(シャノワール) || || '''작사''' ||<|2> [[마에다 준]] || || '''작곡''' || || '''편곡''' || [[MANYO]]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3> URA || || '''연출''' || || '''편집''' || || '''작화감독''' || [[야노 아카네]]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e8d94 ●}}}=[[하이자쿠라]]([[와키 아즈미]]) {{{#965aa0 ●}}}=[[카라스바(프리마 돌)|카라스바]]([[쿠스노키 토모리]]) {{{#f9a901 ●}}}=[[겟카]]([[토미타 미유]]) {{{#686ccc ●}}}=[[호키보시]]([[나카시마 유키]]) {{{#bda767 ●}}}=[[레첼]]([[키토 아카리]]) 없음=전원 || || {{{#965aa0 ブリキは軋み}}} 브리키와 키시미 양철은 삐걱대며 {{{#686ccc 音を奏でた}}} 오토오 카나데타 소리를 연주했어 {{{#ee8d94 花びらの舞う季節へと向かう}}} 하나비라노 마우 키세츠에토 무카우 꽃잎이 흩날리는 계절을 향해 {{{#965aa0 輪廻する}}} 린-네스루 윤회하는 {{{#f9a901 万華鏡}}} 만-게쿄- 만화경 {{{#965aa0 ずっと回った}}} 즛-토 마왓-타 쭉 돌고 있었어 {{{#686ccc きらきらと輝いてた}}} 키라키라토 카가야이테타 반짝반짝 빛나고 있었어 {{{#ee8d94 ●}}}{{{#f9a901 ●}}} それは素晴らしい日々で 소레와 스바라시이 히비데 그것은 멋진 나날들이고 {{{#bda767 ●}}}{{{#686ccc ●}}} 眩しすぎるほど光る 마부시스기루 호도 히카루 눈부실 정도로 빛나는 {{{#ee8d94 ●}}}{{{#965aa0 ●}}} 思い出だ 오모이데다 추억이야 {{{#686ccc ●}}}{{{#f9a901 ●}}} 何もかもが消え去り 나니모카모가 키에사리 모든 것이 사라지고 {{{#965aa0 ●}}}{{{#ee8d94 ●}}} 残された土に芽吹く 노코사레타 츠치니 메부쿠 남겨진 흙에 싹트는 {{{#f9a901 ●}}}{{{#686ccc ●}}} 希望の生命と 키보-노 이노치토 희망의 생명이 {{{#bda767 ●}}}{{{#965aa0 ●}}} なるよう捧げる 나루요- 사사게루 되도록 받쳐 주자 {{{#ee8d94 古いラジオに}}} 후루이 라지오니 낡은 라디오에 {{{#686ccc 合わせ唄った}}} 아와세 우탓-타 맞추어 노래했어 {{{#965aa0 それを切り裂く}}} 소레오 키리사쿠 그것을 갈라 버리는 {{{#f9a901 雷鳴の音が}}} 라이메이노 오토가 천둥소리가 울려 {{{#bda767 ●}}}{{{#965aa0 ●}}} ずっと眠ってた 즛-토 네뭇-테타 쭉 잠들어 있던 {{{#ee8d94 ●}}}{{{#686ccc ●}}} 幾千年も 이쿠센- 넨-모 수천 년의 시간도 {{{#f9a901 ●}}}{{{#bda767 ●}}} 木々のざわめきで 키기노 자와메키데 나무들의 술렁임에 {{{#965aa0 ●}}}{{{#ee8d94 ●}}} 目を覚ます 메오 사마스 눈을 떠 {{{#f9a901 エンジンが火を噴いた}}} 엔-진-가 히오 후이타 엔진이 불을 뿜었어 {{{#bda767 ずっと踊った}}} 즛-토 오돗-타 쭉 춤추고 있었어 {{{#686ccc きらきらと煌めいてた}}} 키라키라토 키라메이테타 반짝반짝 반짝이고 있었어 {{{#bda767 ●}}}{{{#ee8d94 ●}}} 時には雨に打たれて 토키니와 아메니 우타레테 때로는 비에 젖고 {{{#965aa0 ●}}}{{{#686ccc ●}}} 時には涙も零し 토키니와 나미다모 코보시 때로는 눈물도 흘리며 {{{#bda767 ●}}}{{{#f9a901 ●}}} 弱音を吐くような日も 요와네오 하쿠 요-나 히모 나약한 소리를 내뱉던 날도 {{{#686ccc ●}}}{{{#ee8d94 ●}}} ありがとうって讃え合おう 아리가톳-테 타타에 아오- 고맙다며 함께 칭송하자 {{{#bda767 ●}}}{{{#965aa0 ●}}} ぼくらは 보쿠라와 우리들은 {{{#f9a901 ●}}}{{{#686ccc ●}}} かけがえのない出会いに満ちてる 카케가에노 나이 데아이니 미치테루 둘도 없이 소중한 만남에 감싸여 있어 {{{#965aa0 ●}}}{{{#ee8d94 ●}}} だから今日もフィナーレまで 다카라 쿄-모 피나-레마데 그러니까 오늘도 피날레까지 {{{#bda767 ●}}}{{{#686ccc ●}}} 舞って歌ってる 맛-테 우탓-테루 춤추며 노래해 {{{#f9a901 ●}}}{{{#ee8d94 ●}}} 朽ちゆく時まで 쿠치유쿠 토키마데 녹슬 그 날까지 ブリキは軋み 브리키와 키시미 양철은 삐걱대며 音を奏でた 오토오 카나데타 소리를 연주했어 それが仮初めと知りながらも 소레가 카리소메토 시리나가라모 그것이 한순간이란 걸 알면서도 ブリキは軋み 브리키와 키시미 양철은 삐걱대며 命を燃やす 이노치오 모야스 생명을 불태워 花びらの舞う季節へと向かう 하나비라노 마우 키세츠에토 무카우 꽃잎이 흩날리는 계절을 향해 || }}}}}}}}} || ==== [[프리마 돌/음반#옅은 벚꽃|1화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1화 ED[br][[프리마 돌/음반#옅은 벚꽃|{{{#ffebc0 薄花桜}}}]][br][[프리마 돌/음반#옅은 벚꽃|{{{#ffebc0 옅은 벚꽃}}}]]}}}'''}}}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sCf3LdFWD0,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ntZrexBgx8,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하이자쿠라]] (CV: [[와키 아즈미]]) || || '''작사''' || [[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 || || '''작곡''' || [[오리토 신지]] || || '''편곡''' || 신페이 나스노(奈須野新平) (Rebrast)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일러스트''' || [[Na-Ga]]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프리마 돌/음반#보름 전날의 달|2화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2화 ED[br][[프리마 돌/음반#보름 전날의 달|{{{#ffebc0 待宵月}}}]][br][[프리마 돌/음반#보름 전날의 달|{{{#ffebc0 보름 전날의 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bdBuHoOlCs,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MPxQgckfk8,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겟카]] (CV: [[토미타 미유]]) || || '''작사''' || Soflan Daichi || || '''작곡''' ||<|2> 야마구치 타코(山口たこ)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일러스트''' || [[하라 유이]]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프리마 돌/음반#별의 길잡이|3화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3화 ED[br][[프리마 돌/음반#별의 길잡이|{{{#ffebc0 星導~ホシシルベ~}}}]][br]별의 길잡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FAlOe8HAYA,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t_YSnry-FU,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호키보시]] (CV: [[나카시마 유키]]) || || '''작사''' || 오카와 시게노부(大川茂伸) || || '''작곡''' ||<|2> 무츠미 스미요(六ツ見純代)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일러스트''' || 모리쿠라 엔(森倉 円)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프리마 돌/음반#누덕누덕|4화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4화 ED[br][[프리마 돌/음반#누덕누덕|{{{#ffebc0 ツギハギ}}}]][br]누덕누덕}}}'''}}}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0Uvb9ewPuU,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카라스바(프리마 돌)|카라스바]] (CV: [[쿠스노키 토모리]]) || || '''작사''' || Soflan Daichi || || '''작곡''' ||<|2> [[이우치 마이코]]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일러스트''' || [[후지 초코]]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프리마 돌/음반#빗속의 길 잃은 고양이|5화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5화 ED[br][[프리마 돌/음반#빗속의 길 잃은 고양이|{{{#ffebc0 雨の迷い猫}}}]][br]빗속의 길 잃은 고양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mH533OZGtM,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하이자쿠라 (CV: 와키 아즈미)[br][[레첼]] (CV: [[키토 아카리]]) || || '''작사''' || 오카노 토야 || || '''작곡''' ||<|2> [[bermei.inazawa]]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엔딩 일러스트''' || [[lack]]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프리마 돌/음반#꿈이 꽃피는*화려한 무대|6화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6화 ED[br][[프리마 돌/음반#꿈이 꽃피는*화려한 무대|{{{#ffebc0 夢咲*ハレ舞台}}}]][br]꿈이 꽃피는*화려한 무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fTORWBRsKU,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wYRQNDNcyU,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샤 누아르(シャノワール)[br](와키 아즈미, 쿠스노키 토모리, 토미타 미유, 나카시마 유키, 키토 아카리) || || '''작사''' || 무츠미 스미요(六ツ見純代) || || '''작곡''' ||<|2> 무츠키 슈헤이(睦月周平)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타나카 모토키|텐쇼]](天衝) || || '''연출''' || 소가 메구미(ソガメグミ)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7~11화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7~11화 ED[br]想歌灯[br]생각하는 노래의 등불}}}'''}}}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RtBfX19iDE,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rME1BEiBVw,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샤 누아르[br](와키 아즈미, 쿠스노키 토모리, 토미타 미유, 나카시마 유키, 키토 아카리) || || '''작사''' ||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 || || '''작곡''' || [[오리토 신지]] || || '''편곡''' || 야마구치 타코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연출''' ||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삽입곡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1화 삽입곡[br]カミツレの歌[br]캐모마일의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uJ0dV457Yw,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하이자쿠라]] (CV: [[와키 아즈미]])[br][[치요(프리마 돌)|치요]] (CV: [[쿠노 미사키]])[br][[유기리(프리마 돌)|유기리]] (CV: [[코마츠 미카코]]) || || '''작사''' || [[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 || || '''작곡''' ||<|2> [[rionos]]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4화 삽입곡[br]華羽織[br]꽃날개옷}}}'''}}}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8ziSf7NEDQ,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하이자쿠라]] (CV: [[와키 아즈미]])[br][[카라스바(프리마 돌)|카라스바]] (CV: [[쿠스노키 토모리]]) || || '''작사''' ||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 || || '''작곡''' ||<|2> [[MANYO]]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7화 삽입곡[br]月來香[br]달에서 온 향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5QOLmR4TBg,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겟카]] (CV: [[토미타 미유]]) || || '''작사''' || Soflan Daichi || || '''작곡''' ||<|2> 오스미 토모타카(大隅知宇)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8, 9화 삽입곡[br]祝彩歌[br]갈채의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8hnwGSl9CA,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하이자쿠라 (CV: 와키 아즈미) || || '''작사''' || 무츠미 스미요 || || '''작곡''' ||<|2> 오카와 시게노부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10화 삽입곡[br][[아이스크림의 노래|{{{#ffebc0,#ffebc0 アイスクリームの歌[br]아이스크림의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5L61_zjxM,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하이자쿠라&치요 || || '''작사''' || 오카노 토야 || || '''작곡''' ||<|2> [[미즈츠키 료]]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11화 삽입곡[br]時のゆりかご[br]시간의 요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DJ2GnLNfZY,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오카(프리마 돌)|오카]] (CV: [[나카하라 마이]]) || || '''작사''' || 무츠미 스미요 || || '''작곡''' ||<|2> 와타나베 키요시(渡辺剛) || || '''편곡'''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3), rgba(255, 235, 192,.3)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repeating-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2), rgba(255, 235, 192,.2) 1px, transparent 5px, transparent 60px), linear-gradient(6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linear-gradient(120deg, rgba(255, 235, 192,.1)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75%, rgba(255, 235, 192,.1) 75%, rgba(255, 235, 192,.1)); background-size: 14px 25px; background-color:#846f62;" '''{{{#ffebc0,#ffebc0 12화 삽입곡[br]機械仕掛けの賛歌[br]기계 장치의 찬송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ka-tBWvoik, width=100%)]}}} || ||<-2> '''{{{#ffebc0,#ffebc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qkxQoHtZTk, width=100%)]}}} || ||<-2> '''{{{#ffebc0,#ffebc0 Full ver.}}}''' || || '''노래''' || 샤 누아르 || || '''작사''' ||<|2> 마에다 준 || || '''작곡''' || || '''편곡''' || MANYO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제1화}}} || {{{-3 はじめての旋律[br]첫 번째 선율}}} ||<|5> {{{-3 [[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br](丘野塔也)}}} || {{{-3 [[타나카 모토키|텐쇼]][br](天衝)}}} ||<|3> {{{-3 아오키 you이치로[br](青木youイチロー)}}} || {{{-3 히라카 유키에[br](平鹿幸恵)[br]오치아이 료스케[br](落合良亮)}}} ||<|9> {{{-3 [[야노 아카네]]}}} || {{{-3 日^^선행^^: 2022.07.03.[br]日^^방송^^: 2022.07.09.[br]韓: 2022.07.20.}}} || || {{{-3 제2화}}} || {{{-3 月と奏でる[br]달과 연주하다}}} || {{{-3 [[카미키타 코마리(일러스트레이터)|카미키타 코마리]]}}} || {{{-3 미즈사키 켄타[br](水崎健太)[br]유키 시즈쿠[br](ユキシズク)}}} || {{{-3 日^^선행^^: 2022.07.10.[br]日^^방송^^: 2022.07.16.[br]韓: 2022.07.20.}}} || || {{{-3 제3화}}} || {{{-3 星空の鎮魂歌[br]별하늘의 진혼가}}} || {{{-3 아오키 you이치로}}} || {{{-3 요코마츠 유마[br](横松雄馬)[br]카미우토 타츠오[br](上宇都辰夫)[br]Joao[br][[사카이 사토시]]}}} || {{{-3 日^^선행^^: 2022.07.17.[br]日^^방송^^: 2022.07.23.[br]韓: 2022.07.27.}}} || || {{{-3 제4화}}} || {{{-3 羽音は巡る[br]날갯소리는 맴돈다}}} || {{{-3 카미키타 코마리[br]텐쇼}}} || {{{-3 하사코 카이[br](羽迫 凱)[br]야마모토 타카노리[br](山本貴則)}}} || {{{-3 오치아이 료스케[br]모리야마 타케시[br](森山剛史)[br]스튜디오 그램[br](スタジオグラム)}}} || {{{-3 日^^선행^^: 2022.07.24.[br]日^^방송^^: 2022.07.30.[br]韓: 2022.08.03.}}} || || {{{-3 제5화}}} || {{{-3 雨に歌えば[br]비에게 노래하면}}} || {{{-3 카미키타 코마리}}} || {{{-3 코시 시게오[br](腰 繁男)}}} || {{{-3 키타지마 유키[br](北島勇樹)[br]코토쿠 마미[br](古徳真美)[br]후쿠시마 토요아키[br](福島豊明)}}} || {{{-3 日^^선행^^: 2022.07.31.[br]日^^방송^^: 2022.08.06.[br]韓: 2022.08.10.}}} || || {{{-3 제6화}}} || {{{-3 黒猫亭の音楽会[br]흑묘정의 음악회}}} || {{{-3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br](魁)}}} || {{{-3 아오키 you이치로[br]텐쇼}}} ||<|2> {{{-3 아오키 you이치로}}} || {{{-3 오치아이 료스케}}} || {{{-3 日^^선행^^: 2022.08.07.[br]日^^방송^^: 2022.08.13.[br]韓: 2022.08.17.}}} || || {{{-3 제7화}}} || {{{-3 夢想の日々[br]몽상의 나날}}} || {{{-3 오카노 토야}}} || {{{-3 신타니 켄토[br](新谷研人)}}} || {{{-3 오치아이 료스케[br]미즈사키 켄타[br]유키 시즈쿠[br]Nguyen Trang_찬[br](Nguyen Trang_チャン)}}} || {{{-3 日^^선행^^: 2022.08.14.[br]日^^방송^^: 2022.08.20.[br]韓: 2022.08.24.}}} || || {{{-3 제8화}}} || {{{-3 常冬のロンド[br]한겨울의 론도}}} ||<|3> {{{-3 카이}}} ||<|2> {{{-3 야마모토 류타[br](山本隆太)}}} || {{{-3 카토 아키라[br](加藤 顕)}}} || {{{-3 아카오 료타로[br](赤尾良太郎)[br]네리마구[br](ネリマク)[br]무무신[br](木木欣)[br]리바이벌[br](リバイバル)[br]원오더[br](ワンオーダー)[br]성월동화[br](星月動画)[br]시드[br](シード)}}} || {{{-3 日^^선행^^: 2022.08.21.[br]日^^방송^^: 2022.08.27.[br]韓: 2022.08.31.}}} || || {{{-3 제9화}}} || {{{-3 ひとときの六重奏[br]한때의 6중주}}} || {{{-3 야마모토 류타[br]아오키 you이치로}}} || {{{-3 타테오카 치아키[br](舘岡千明)[br]모리야마 타케시[br]토나리 애니메이션[br](隣アニメーション)}}} || {{{-3 日^^선행^^: 2022.08.28.[br]日^^방송^^: 2022.09.03.[br]韓: 2022.09.07.}}} || || {{{-3 제10화}}} || {{{-3 斉唱は終わらない[br]제창은 끝나지 않아}}} ||<-2> {{{-3 야마모토 타카노리}}} || {{{-3 타테오카 치아키[br]미즈사키 켄타[br]모리야마 타케시[br]토나리 애니메이션}}} || {{{-3 오치아이 료스케}}} || {{{-3 日^^선행^^: 2022.09.04.[br]日^^방송^^: 2022.09.10.[br]韓: 2022.09.14.}}} || || {{{-3 제11화}}} || {{{-3 戦歌万雷[br]전가 만뢰}}} ||<|2> {{{-3 오카노 토야}}} || {{{-3 시미즈 사토시[br](清水 聡)}}} || {{{-3 세키 아키코[br](関 暁子)}}} || {{{-3 오치아이 료스케[br]타테오카 치아키}}} ||<|2> {{{-3 야노 아카네}}} || {{{-3 日^^선행^^: 2022.09.11.[br]日^^방송^^: 2022.09.17.[br]韓: 2022.09.21.}}} || || {{{-3 제12화}}} || {{{-3 この想い、響かせて[br]이 마음, 울려 퍼지게 해줘}}} || {{{-3 텐쇼}}} || {{{-3 아오키 you이치로}}} || {{{-3 야노 아카네[br]오치아이 료스케[br]나가타 유카[br](永田有香)}}} || {{{-3 日^^선행^^: 2022.09.18.[br]日^^방송^^: 2022.09.24.[br]韓: 2022.09.28.}}} || == [[/엔드 카드|엔드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리마 돌/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평가 ==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40948, user=4.7)] === 방영 전 === [[Key(브랜드)|Key]] 팬들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진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공존한다. 먼저 감독은 [[타나카 모토키|텐쇼]]가 맡았는데, 텐쇼는 [[그리자이아 시리즈]], [[금빛 모자이크/애니메이션|금빛 모자이크 시리즈]] 등 수작을 만들어내다가 2010년대 중반부터 슬럼프가 찾아와 2016년에 감독한 [[Rewrite/애니메이션|Rewrite 애니판]]이 팬들의 기대에 못미치는 졸작으로 나왔고 무엇보다 2019년 감독한 [[아주르 레인 THE ANIMATION]]을 [[벽람항로]] 팬들조차 외면하는 망작으로 만들어내면서 우려를 샀다. 다만 텐쇼 감독의 감독 복귀작인 전 분기 작품 [[BLACK★★ROCK SHOOTER DAWN FALL]]은 비록 높은 선정성 소재 문제는 있었지만 무난한 근미래 [[포스트 아포칼립스]]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아 왕년의 실력이 회복되고 있다는 청신호가 있다. 또한 캐릭터 디자인과 총 작화감독은 [[야노 아카네]]가 담당했는데, 이전에도 캐릭터 디자이너 및 작화감독으로 명성이 있었고 이번 캐릭터 디자인도 원안의 화풍을 적극 살린 디자인으로 나왔으며 PV에서 보인 작화 퀄리티도 높았기 때문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직전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었던 [[신이 된 날]]로 크게 비판을 받은 [[마에다 준]] 대신 시리즈 구성과 각본에 참여한 [[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와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는 게임 업계에서 20년 넘게 활동하며 실력을 인정받은 베테랑 [[게임 시나리오 라이터|시나리오 라이터]]지만, [[애니메이션 각본가]]로서는 마에다와 마찬가지로 신인이나 다름 없기 때문에 시나리오 라이터 출신 각본가가 미디어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를 답습하지 않을까 걱정하는 시선이 있다. 다만 둘은 근래에 각종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현장 경험을 쌓아 왔고, 기획자로서도 프로듀서와 디렉터 콤비로 Key의 최신작 [[Summer Pockets]]의 성공을 이끌며 기획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특히, 카이의 경우 [[극장판 쿠드 와후타]]에서 각본 데뷔작임에도 짜임새 있고 준수한 전개를 보여주며 당시에도 마에다를 대신할 Key의 애니메이션 각본가로서 기대를 받았기에 Key의 팬들이 거는 기대가 상당하다. 성우진에 대해서는 사전에 공개가 되어 있긴 했지만 호화 캐스팅이라는 데에 이견이 없다. 주역 5인방 성우인 [[와키 아즈미]], [[쿠스노키 토모리]], [[토미타 미유]], [[나카시마 유키]], [[키토 아카리]]는 가수를 겸직하고 있는 90년대 중후반생 젊은 성우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다들 차례로 유명 작품들의 주역을 꿰차며 차세대 또는 현 시점의 스타로 꼽히는 성우들이다. [[오리토 신지]], 마에다 준 등을 필두로 하여 정평이 나 있는 Key의 음악 제작 실력[* [[마이니치 방송|MBS]] 아오이 프로듀서가 Key 브랜드의 뛰어난 작곡 실력을 앞세운 작품을 제안하고, 이 제안에 맞춰서 음악을 주제로 탄생한 작품이 바로 프리마 돌이다.]이 인기 성우들과 결합하여 어떤 시너지를 보여줄지 주목된다. === 방영 후 === 영상미에 대한 평가는 좋은 편. 방영 전의 기대에 부합하는 퀄리티였다는 호평이 많다. 특히 [[야노 아카네]]가 디자인과 총 작화감독을 담당해 작화 퀄리티가 좋게 나왔고, 미술 배경과 촬영의 퀄리티도 높아 본작의 다이쇼 풍 SF 세계관을 잘 묘사하고 있다는 호평이 나왔다. 간간히 연기가 필요한 장면에는 [[WEB계 애니메이터]]도 기용하는 등 작화 관리의 완급조절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전반적인 스토리는 전쟁 이후 전쟁병기로서 만들어진 오토마타들의 일상 이야기를 통해 전쟁에서의 아픔과 상처를 치유하는 전후 치유물의 양상을 띄고 있다. 전쟁의 고통과 희생 역시 다뤄지기는 하지만 전쟁의 어두운 부분보다는 치유와 성장의 초점을 맞추는 점에서 [[바이올렛 에버가든/애니메이션|바이올렛 에버가든 시리즈]]를 연상시킨다는 평도 있다. 초반은 인형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옴니버스식으로 구성되며 기존 [[Key(브랜드)|Key]]의 시나리오인 극적인 전개를 통한 최루계식 감동보다는 잔잔한 감동 연출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전개에 관해서는, 하이텐션 만담 등의 개그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왁자지껄하게 일상을 묘사하던 기존의 Key 원작 애니메이션들과는 달리, 만담을 개그 소재로 쓰지 않고 전체적으로도 분위기가 톤다운되어 있어, 여타 Key 작품에 비해 일상이 잔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특히 Key를 전두지휘하던 [[마에다 준]] 특유의 만담 위주 전개는 Key 작품의 핵심 요소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마에다가 관여한 작품뿐만이 아니라, 마에다가 원작 시나리오에 참여하지 않은 [[Rewrite]]와 [[Rewrite/애니메이션|그 애니화]]도 이런 특징을 상당 부분 공유한다.] 90~00년대의 [[미소녀 게임]] 작법을 그대로 고수하는 이런 전개가 최근에는 [[신이 된 날]]에서와 같이 애니메이션 시청자들에게 주된 호불호 요소로 여겨졌던 만큼, 진입 장벽을 낮췄다고 할 수 있다. 일상 파트와 드라마 파트 사이의 분위기 간극이 크지 않은 것도, 두 파트를 큰 분위기 낙폭을 통해 뚜렷이 구별하며 감정의 울림을 유도하던 전작들과는 사못 다른 특징이다. 기존의 방식이 긴 템포로 이야기를 끌어가는 게임 원작과 이를 충분한 분량으로 애니화했던 케이스에서는 주효하게 먹혀들었지만, 마에다 준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3부작([[Angel Beats!]], [[Charlotte]], [[신이 된 날]])이나 본작의 [[타나카 모토키|텐쇼]] 감독이 맡은 [[Rewrite/애니메이션|Rewrite의 애니판]]에서와 같이 분량이 제한적이었던 경우에는 시청자들에게 후반부의 분위기 급변이 오히려 급전개로 비춰지며 평가가 반감되었던 것에서 반성점을 찾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실제로 앞서 짧은 분량 속에서 일상 파트를 잔잔하게 가져간 후 후반부 감동 파트를 성공적으로 그려낸 사례로 [[planetarian/애니메이션|애니판 planetarian]]과 [[극장판 쿠드 와후타]]가 있었다. 완결 시점에서 스토리 구성은 Key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중에서 가장 깔끔했다는 평이 많다. 우선 메인 떡밥과 반전 요소가 잘 해소되었고, 후반부에 무리하게 세계관을 확장시키는 식의 급전개를 하는 대신 기존의 주제 속에서 잘 매듭을 짓고 후속 전개의 여지를 남겼다. 그 외에도 지난 분기 [[BLACK★★ROCK SHOOTER DAWN FALL]]에 이어 [[타나카 모토키|텐쇼]] 감독의 이어지던 슬럼프가 어느 정도 극복되었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많다. 아쉬운 부분으로는 라이브신을 비롯해 종종 몰입을 해치는 어색한 연출이 나온다는 점, 감동 파트 연출의 임팩트나 완급 조절이 다소 부족하다는 점 등이 꼽힌다. 이는 감동 애니메이션이라는 새로운 장르에 도전한 신생 제작사 [[바이브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경험 부족과 미숙함에 따른 한계라고도 볼 수 있어, 후속작이 나온다면 제작 경험을 토대로 이런 부분들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반응이 있다. == 기타 == * [[타나카 모토키|텐쇼]] 감독은 [[Rewrite/애니메이션|Rewrite]]를 통한 Key와의 인연 외에, 캐릭터 원안을 맡은 [[하라 유이]]가 작가를 담당한 [[금빛 모자이크]]의 [[금빛 모자이크/애니메이션|애니화]] 감독으로 참여한 인연이 있다. 해당 작품은 텐쇼의 감독 데뷔작이자 커리어 대표작으로 꼽히고, 본인이 설립한 바이브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사명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 텐쇼 감독의 트윗을 보면, 하라 유이에게 프리마 돌 참여를 종용한 것이 텐쇼인 듯하다.[[https://twitter.com/tensho_tw/status/1486717095282839555|#]] * 공개된 티저 일러스트 배경은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레이아웃은 감독인 텐쇼, 작화는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감독을 맡은 [[야노 아카네]]가 담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imadoll_teaser_visual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imadoll_teaser_visual_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imadoll_teaser_visual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imadoll_teaser_visual_4.jpg|width=100%]]}}} || * OP 주제가인 [[프리마 돌/음반#Tin Toy Melody|Tin Toy Melody]]는 [[마에다 준]]이 오래 전에 이미 만들어 둔 곡이지만, 다른 기획에서 사용하려고 할 때마다 "아까워요! 프리마(돌)를 위해 쓰지 말고 보관해 주세요."라는 [[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의 만류에 의해 애니메이션 OP으로 빛을 보게 되었다. 그만큼 오카노 토야가 마음에 들어 한 곡임을 알 수 있다. * 2022년 4월 2일부터 매일 공식 트위터와 유튜브 채널에서 3D 하이자쿠라가 프리마 돌의 짧막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오늘의 흑묘정'을 연재하고 있다.[[https://youtube.com/playlist?list=PLzlR4ojTSLlq4xgOVUuiC2mT4bm9yL6E4|#]] * 2022년 만우절 장난으로 흑묘정 [[우버이츠]] 서비스 사이트를 공개했다.[[https://twitter.com/primadoll_pr/status/1509546062607958018?s=20&t=zERzlkkwElvmRi_gZQs52w|#]] ||
[[파일:prima_doll_2022_april_fool.jpg|width=100%]] || [[분류:프리마 돌]][[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2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