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수상함)]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함선)]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Ognevoy.jpg|width=85%]] || [[파일:external/www.navypedia.org/ru_dd_75.gif|width=100%]] || ||<-2> {{{#d81e05,#fa4027 '''Эскадренные миноносцы проекта 30-К'''}}} || [목차] == 제원 == [[파일:external/i1293.photobucket.com/30k_zpsa2993bf3.gif]] ||||||||||<:>프로젝트 30(-K)형급 구축함(오그네보이급) || || 선행함 ||[[프로젝트 7U형 구축함]](스따라졔보이급) || || 후계함 ||[[프로젝트 30-bis형 구축함]](스멜리급) || || 배수량 ||2,240톤(기준)[* 프로젝트 30-K형은 2,125톤] [br] 2,767톤(만재)[* 프로젝트 30-K형은 2,860톤] || || 전장 ||115.5m[* 프로젝트 30-K형은 117.0m] || || 전폭 ||10.15m || || 흘수선 ||4.68m || || 출력원 ||2축 기어드(Geared) 터빈, KV-30 보일러 4기[* 러시아쪽 문서에서는 2축 증기 터빈, TV-6(ТВ-6-키릴문자)이라고 표기되어있다.] (45,000Kw) || || 속도 ||37노트[* 프로젝트 30-K형은 36.7노트] || || 항속거리 ||18노트로 3,060해리 || || 승무원 ||293명[* 프로젝트 30-K형은 301명] || || 주포 ||130mm/50구경장 B-2LM 2연장 포탑 2기 (총 4문) || || 대공포 ||76mm/52구경장 39K 2연장 포탑 1기[* 프로젝트 30-K형은 85/52 92K 2연장 포탑 1기] [br] [[37mm 61-K|37mm/63구경장 70K]] 6기 [br] [[DShK|12.7mm 기관총]] 4기[* 프로젝트 30-K형은 장착하지 않음] || || 어뢰 ||533mm 3연장 [[어뢰]]관 2기 (총 6문) || || 그외 ||[[기뢰]] 60개, [[폭뢰]] 30개 || == 개발 == 1937년 11월, [[소련]]은 [[프로젝트 7형 구축함]], 그리고 7형을 개량한 [[프로젝트 7U형 구축함]]을 건조했는데, 나쁘게 말하면 '''빌어먹을 능파성'''이 큰 문제였고[* 원래 7U형 에서 손보기로 했으나 시간부족과 기술부족을 이유로 [[없그레이드|사실상 개량되지 못했다]].] 갑판도 단장포탑 4개를 달아서 무장강화 및 추가를 하기에 불편했다. 그러자 프로젝트 7형의 원본인 [[마에스트랄레급 구축함]]처럼 연장포탑을 달고 선수와 선체를 손봐서 능파성을 향상시키려고 했으며 이에 따라 설계된 것이 프로젝트 30형 구축함이다. 무장은 [[타슈켄트급 구축함]](프로젝트 20 I형)에 쓸려고 한 130mm B-2 LM 연장포탑을 전후로 하나씩 달고 후방 X포탑자리에 대공포탑을 달기로 했다. 총 24척을 건조하려고 했으나 [[독소전쟁]]의 발발로 전부 건조가 중단되었다.[* 이후 30-K형을 계획하면서 좀더 늘어나기도 했지만 건조된 것은 별로 없다.][* 다만 24척은 영어문서에서 나온 수치고, 러시아어문서에서는 총 31척을 만들려 했다고 한다. 프로젝트 30을 처음 만들때 24척이었던건지 아니면 러시아에서 프로젝트 30과 그 연관 프로젝트 30-A, 36, 30-K를 전부 포함 한건지 알 수 없다.] 결국 1945년, 우크라이나를 해방시킨 뒤 오그네보이(1939년 건조 시작시 함명은 아파스니(опа́сный-위험한) 였다.)가 취역하면서 프로젝트 30이 간신히 건조된다. 이때 필요한 포탑은 무려 '''가라앉은 타슈켄트'''의 포탑을 뜯어서 달았다. 소련이 독소전쟁동안 프로젝트 7형, 7U형을 여기저기 굴리면서 대공능력의 부족이나 [[소나]] 및 [[레이더]]의 설치가 꼭 필요하다고 느꼈고 이에 따라 프로젝트 30형을 개량한 프로젝트 30-K형을 만들기로 했다. 기반은 프로젝트 30형으로 기초적인 선체는 내버려두고 무장의 개량을 하게 되었다. 30-K형은 1947년, [[태평양]] 함대 소속인 브누쉬텔니(Внушительный- 인상적인)를 시작으로 10척이 건조되었다. == 특징 == 프로젝트 30형과 30-K형은 기존 함의 개량에 가까웠다. 동시기 건조된 타국의 구축함과 비교해서 우수한 점이 없다. 당장 [[프로젝트 7형 구축함]]의 원형인 [[마에스트랄레급 구축함]]의 후계함인 [[솔다티급 구축함]]과 비교시 배수량이 500톤정도 차이나는데 실질적인 성능차이는 항속거리정도뿐 이라고 표현해도 좋을 정도이다.[* 함포 성능은 소련제가 더 좋지만(구경이 10mm나 더 크다.) 사통이나 함체의 성능등에서 약간의 화력 우위라는 이점을 많이 까먹는다.] 좀 극단적인 비교를 하자면 소련과 같이 막 해군을 키우던 독일 [[크릭스마리네]] 구축함과 비교시에도 마냥 우위라 하기도 힘들다.[* 예를 들자면 소련이 전후 배상함으로 사용해본 1934A형 구축함은 자국제 구축함보다 모자람이 없다고 표현했고(항해안정성은 더 뛰어났다고 한다.) 1936A형 구축함(나르비크급)은 순수한 수상화력만 따지면(15cm포 4-5개를 달고있다.) 어지간한 구축함보다 우수하다라고 했다.] 소련도 이점을 인식했고 이를 개량한 함급이 [[프로젝트 30-bis형 구축함]]이다. 다만 30-bis형인 스코리급 또한 [[기어링급 구축함]]이나 [[데어링급 구축함]]과 비교할 경우 또한 모자란 성능이 발목을 잡는다. == 자매함 목록 == 프로젝트 30형 구축함은 거의 독소전 종말시점에 첫 취역을 해서 실전 활약은 없다.[* 다만 건조 시작시 함명이 중간에 변경된 경우는 많다.] 자잘한 특징은 각함 주석에 설명한다. ||'''함명'''||'''조선소'''||'''취역'''||'''경력'''|| ||'''아그네보이'''(Огневой-불같은)[* 원래 함명은 아파스니(опа́сный-위험한)였다.]||니콜라예프 코뮤나르||1945년 4월 5일||유일한 프로젝트 30형. 1956년에 표적함으로 사용했다가 1960년, 스크랩|| ||'''아자르노이'''(Озорной-장난치는, 난폭한)||니콜라예프 코뮤나르||1949년 1월 9일||1950년, [[불가리아 해군]]에 증여, 함명을 그리고리 드미트로프(Георги Димитров)로 변경, 1963년 스크랩|| ||아트멘니(Отменный-우수한)||니콜라예프 코뮤나르|| - ||1941년, 건조 중지|| ||아부첸니(Обученный-교육받은, 훈련된)[* 원래 함명은 압하드노이(Обходной-우회의- обхо́дный의 구어체)]||니콜라예프 코뮤나르|| - ||1941년, 건조 중지|| ||압시텔니(Общительный-사교성 있는)[* 원래 함명은 아뜨리비스띠(Отрывистый -단속적인)]||니콜라예프 코뮤나르|| - ||1941년, 건조중지|| ||아챠얀니(Отчаянный-필사의)||니콜라예프 코뮤나르|| - ||1941년, 건조중지|| ||'''아뜰리치니'''(Отличный -특수한,훌륭한)||레닌그라드 즈다노프,레닌그라드 오르조니키제||1948년 10월 31일||1960년, 표적함으로 사용했다가 스크랩|| ||'''아뜨바즈니'''(Отважный-대담한)||레닌그라드 즈다노프,레닌그라드 마르띠||1950년 3월 2일||1958년, 손상 1960년 스크랩|| ||'''아다룐니'''(Одарённый -타고난)||레닌그라드 즈다노프,레닌그라드 마르띠||1950 6월 28일||1958년, 훈련함이 됨, 1960년 스크랩|| ||'''아브라스쪼비'''(Образцовый-모범적인)||레닌그라드 즈다노프||1949년 9월 29일||1959년, 표적함으로 사용, 1960년 스크랩|| ||오그넨니(Огненный-번쩍이는)||레닌그라드 즈다노프|| - ||1941년, 건조중지 자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필요한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아제스따쵼니(Ожесточённый-격렬한)||레닌그라드 즈다노프|| - ||1941년, 건조중지 자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필요한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오스뜨리(Острый-날카로운)||레닌그라드 즈다노프|| - ||1941년, 건조중지 자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필요한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아슬레피뗄니(Ослепительный-눈부신)||레닌그라드 즈다노프|| - ||1941년, 건조중지 자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필요한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아스따로즈니(Осторожный-신중한)||레닌그라드 즈다노프|| - ||1941년, 건조중지 자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필요한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아쵸뜰리비(Отчётливый-똑똑한)||레닌그라드 즈다노프|| - ||1941년, 건조중지 자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필요한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아르가니조반니(Организованный-조직적인)[* 원래 함명은 아포르니(Опорный-의지가 되는)]||레닌그라드 오르조니키제|| - ||1941년, 건조중지 자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필요한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아따라자유쉬(Отражающий-비치는)[* 원래 함명은 아그네디샤쉬이(Огнедышащий-불을 뿜는)]||레닌그라드 오르조니키제|| - ||1941년, 건조중지 자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필요한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아뜨보르니(Отборный-정선된, 뛰어난)||레닌그라드 오르조니키제|| - ||1941년, 건조중지 자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필요한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아스마뜨리텔니'''(Осмотрительный-세심한)||몰로토프스크 402번||1947년 9월 29일||1958년, 그냥 항구에 보존|| ||'''[[스탈린]]'''(Сталин)[* 원래 함명은 아호뜨니크(Охотник-사냥꾼)]||몰로토프스크 402번||1948년 9월 28일||1958년 손상, 1960년 스크랩|| ||자르끼(Жаркий-더운)[* 원래 함명은 아푸스따시뗄니(Опустошительный-파괴적인)]||몰로토프스크 402번|| - ||1941년, 건조중단, 자재는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지보이(Живой-살아있는)[* 원래 함명은 아스나숀니(Оснащённый-장비의)]||몰로토프스크 402번|| - ||1941년, 건조중단, 자재는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줏끼(Жуткий-무서운, 소름 끼치는)[* 원래 함명은 아자보첸니(Озабоченный-근심하고 있는)]||몰로토프스크 402번|| - ||1941년, 건조취소, 자재는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즈구치(Жгучий-불타는)[* 원래 함명은 아브지가유쉬이(Обжигающий-태우는, 굽는)]||몰로토프스크 402번|| - ||1941년, 건조취소, 자재는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제스또키(Жестокий-잔혹한)[* 원래 함명은 아흐랴나유쉬이(Охраняющий-방위의)]||몰로토프스크 402번|| - ||1941년, 건조취소, 자재는 무기생산을 위해 사용됨|| ||'''브누쉬텔니'''(Внушительный-인상적인)||콤소몰스크나아무레 199번||1947년 12월 29일||1958년 표적함으로 사용, 1960년 스크랩|| ||'''븨노슬리비'''(Выносливый-인내력이 강한)||콤소몰스크나아무레 199번||1948년 12월 5일||1959년 표적함으로 사용, 1960년 스크랩|| ||'''블라스뜨니'''(Властный-권력이 강한)||콤소몰스크나아무레 199번||1948년 12월 27일||1959년 표적함을 사용, 1960년 스크랩|| ||베두쉬이(Ведущий -지도하는)||콤소몰스크나아무레 199번|| - ||1941년 건조취소|| ||브네자프니(Внезапный-돌연한)||콤소몰스크나아무레 199번|| - ||1941년 건조취소|| == 미디어에서의 등장 == [[파일:external/shipcomrade.com/Ognevoi.jpg]] [[월드 오브 워쉽]] 소련 8티어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워 썬더]]에서 소련 대양함대 1랭크 함선으로 등장한다. BR은 4.0. [[전함소녀]]에서 [[오그네보이(전함소녀)]]가 등장한다. [[분류:구축함]] [[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 [[분류:소련군/장비]] [[분류:1945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