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Проспект Вернадского / Prospekt Vernadskogo}}} ||<-3> {{{+2 '''프로스펙트 베르나츠코보역'''}}} || ||<-3> [[소콜니체스카야선|[[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width=30]]]] || || [[불바르 로코소브스코보 역|{{{#!html
불바르
로코소브스코보 방면
}}}]]{{{-1 [[우니베르시테트 역|우니베르시데트]]}}}[br]← -.- ㎞ || [[소콜니체스카야선|{{{#!html
1호선
(018)
}}}]] || [[콤무나르카 역|{{{#!html
콤무나르카 방면}}}]][[유고-자파드나야 역|{{{-1 유고-자파드나야}}}]][br]-.- ㎞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Prospekt Vernadskogo station, 너비=100%, 높이=100%)]}}}|| ||<-3> '''다국어 표기''' || || [[러시아어]] ||<-2> Проспе́кт Верна́дского || || [[영어]] ||<-2> Prospekt Vernadskogo || ||<-3> '''주소''' || ||<-3> {{{-1 모스크바 서부 행정구 프로스펙트 베르나츠코보 지구}}} || ||<-3> '''운영 기관''' || || [[소콜니체스카야선|{{{#ffffff 1호선}}}]] ||<-2> [[모스크바 지하철|[[파일:모스크바 지하철 로고.svg|width=140]]]] || ||<-3> '''개업일''' || ||<-3> 1963년 12월 30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스크바 지하철]] 1호선 [[소콜니체스카야선]]의 역. 섬식 승강장이다. 역의 깊이는 -8m. '베르나츠키 대로[* 정확히는 '베르나츠키의 대로' Вернадский라는 형용사가 생격(일종의 소유격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다르지만)으로 변화하면 Вернадского로 바뀐다.]' 아래에 역이 있기 때문에 대로의 이름이 역명으로 지어졌다. [[러시아어]]의 발음을 최대한 살려서 적으면 '''쁘라스뼥뜨 비르나츠카버'''가 된다[* 철자 그대로 '베르나드스코고'라고 적는 경우도 있지만 д 다음에 바로 с가 오면 둘을 합쳐서 ц로 발음하므로 '츠'로 적어야 한다. 마지막 го의 경우, 글자 그대로 읽으면 '고'이지만 생격변화의 경우 예외적으로 '보'라고 발음한다. 이와 관련된 [[국립국어원]]의 정확한 규정이 없으므로 원어의 발음을 따라 적었다.] 베르나츠키라는 이름은 [[소련]] 시절의 [[광물학자]] 블라디미르 베르나츠키의 이름에서 따온 것. 그래서 이 역의 북동쪽 입구에는 베르나츠키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서쪽 출입구에는 [[영화관]]이 있으며, 동쪽 출입구에는 가구 상가가 자리잡고 있다. 이 역과 [[유고-자파드나야]] 역 사이에는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가 있다. 역 인근에 엠게우(МГУ) 기숙사인 데스베와 데스까가 위치한다. 보통 어학연수를 가는 한국 학생들 대다수가 배치받는 기숙사. 역 인근에는 다양한 상권이 형성되어있어 러시아어만 할 줄 알면 생필품 구하는데는 전혀 지장이 없을듯... 데스베 앞, 대로 사거리 쪽에 우니베르 역 쪽으로 가는 34, 34K 트램버스 정류장이 있고 우니베르 역 인근에 위치한 대형 상가와 아샨 매장에 들리기 용이하다. == 매체에서 == === [[메트로 2033]]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메랄드 시티)] [[메트로 유니버스]] 최대의 [[도시전설]]인 [[에메랄드 시티]]의 3개 역 중 하나로 등장한다. [[분류:모스크바 지하철 정거장]][[분류:196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