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프로듀스 48)]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프로듀스 48 방영 목록)] [목차] == 개요 == ||<:>
'''{{{#white ′지금 혼나서 우는거야?′ 혹독한 트레이닝의 시작}}}'''||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49577)]}}}|| [[2018년]] [[6월 22일]] 방영된 [[프로듀스 48]] 2회에 대한 [[문서]]. == 국민 프로듀서 대표 [[이승기]] == 스케줄로 인해 [[연습생]]들의 첫 등급 [[평가]] 녹화에 참여하지 못한 [[프로듀스 48]]의 국민 프로듀서 대표인 [[이승기]]에 대한 소개로 시작했다. 이승기가 기획사별 등급 평가 영상을 감상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
'''{{{#white ′대박 예감′ 이승기 대표님은 열일 중!}}}'''||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63777)]}}}|| == 기획사별 무대 및 방송 내용 == === 한·일 막내라인 === ||<-3><:>'''{{{#white 한·일 막내라인 팀 퍼포먼스 공개!}}}''' || ||<-3><:>{{{#!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58936)]}}}|| ||<:>'''{{{#white 소속사}}}''' || '''{{{#white 결과}}}''' || '''{{{#white 풀버전}}}''' || || AKB4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AA52; font-size: 0.75em" {{{#white '''D등급'''}}}}}} {{{#ff509f 사토 미나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59EA2; font-size: 0.75em" {{{#white '''F등급'''}}}}}} {{{#ff509f 아사이 나나미}}}, {{{#ff509f 치바 에리이}}} ||[[https://tv.naver.com/v/3482522|♬키스를 날려 쓰러트리자]] || || CNC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7020; font-size: 0.75em" {{{#white '''B등급'''}}}}}} {{{#ff509f 김다연}}}, {{{#ff509f 김유빈}}}, {{{#ff509f 윤은빈}}}, {{{#ff509f 홍예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B938; font-size: 0.75em" {{{#white '''C등급'''}}}}}} {{{#ff509f 이유정}}} ||[[https://tv.naver.com/v/3482525|♬Team]] || 2000년도 중반에 태어난, 참가자들 중 상대적 나이가 어린 두 팀의 심사가 연달아 진행되었다. 두 팀은 나이대가 비슷한 연배임에도 확연히 다른 무대를 보여주면서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 문화의 차이를 잘 보여줬다. AKB48의 막내라인은 단순하지만 발랄한 안무와 곡을 부르면서 귀여움을 어필하는 데 중점을 뒀고, 한국 CNC는 K-POP가수 특유의 칼군무 속에서 강한 알파걸 이미지를 어필하는 모습을 보였다. AKB 막내라인은 낮은 D와 F등급에 배정되었으며, 한국 CNC는 B와 C등급에 배정되었다. === [[MNH엔터테인먼트|MNH]] === ||<-2><:>'''{{{#white 청출어람! 청하 언니처럼 되고 싶어요}}}'''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63799)]}}} || ||<:>'''{{{#000 선곡}}}'''||Aanysa,Snakehips - Burn Break Crash || ||<:>'''{{{#000 결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75em" {{{#white '''A등급'''}}}}}} {{{#ff509f 이하은}}} || ||<:>'''{{{#000 풀버전}}}''' ||[[https://tv.naver.com/v/3482533|♬Burn Break Crash]] || 이전 프로듀스 시즌 1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청하와 같은 소속사여서 주목을 받았다. 경연에서 춤은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호흡이 딸렸는지 중간에 노래가 안 나와서 지적받았다. 하지만, 그 이후 다시 부른 노래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아 A등급을 받았다. === [[SKE48]] - 마츠이 쥬리나 === ||<-2><:>'''{{{#white 일동기립 총선거 1위의 아우라}}}'''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63883)]}}}|| ||<:>'''{{{#000 선곡}}}'''||[[이타노 토모미]] - Dear J || ||<:>'''{{{#000 결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7020; font-size: 0.75em" {{{#white '''B등급'''}}}}}} {{{#ff509f 마츠이 쥬리나}}} || ||<:>'''{{{#000 풀버전}}}'''||[[https://tv.naver.com/v/3482538|Dear J]] || 마츠이 쥬리나의 경우 일본 내에서 워낙 인지도 있는 스타였기 때문에 무대 등장전부터 기대를 받았다.[* 쥬리나가 입장하자 마자 한연생, 일연생들이 전부 자리에서 일어났을 정도.] 경연에서 부른 이타노 토모미의 dear J는 뮤직비디오를 보면 알수 있겠지만[[https://www.youtube.com/watch?v=WuVNanzKk9k|#]] 춤도 난이도가 낮고 동작도 작은 편이라서 춤으로는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무대 내내 안정적으로 춤과 노래를 소화했다는 점이 호평을 받아 B등급에 배정되었다. === [[NMB48]][* 우메야마 코코나 제외. 참고로 우메야마 코코나는 지난 회인 1회에서 잠시 스쳐지나가는 장면에서 아사이 유우카와 함께 트와이스의 노래인 Knock Knock을 선보였지만 처참한 혹평을 듣고 F을 받아놓은 상황.] === ||<-2><:>'''{{{#white 내 눈을 바라봐 넌 행복해지고♬}}}'''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63924)]}}}|| ||<:>'''{{{#000 선곡}}}'''||[[NMB48]] - [[ワロタピーポー]] (웃긴 사람들) || ||<:>'''{{{#000 결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7020; font-size: 0.75em" {{{#white '''B등급'''}}}}}} {{{#ff509f 시로마 미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B938; font-size: 0.75em" {{{#white '''C등급'''}}}}}} {{{#ff509f 카토 유우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AA52; font-size: 0.75em" {{{#white '''D등급'''}}}}}} {{{#ff509f 나이키 코코로}}}, {{{#ff509f 무라세 사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59EA2; font-size: 0.75em" {{{#white '''F등급'''}}}}}} {{{#ff509f 우에무라 아즈사}}} || ||<:>'''{{{#000 풀버전}}}'''||[[https://tv.naver.com/v/3482535|♬웃긴 사람들]] || NMB48팀의 경우 앞서 긴장한 탓인지 잔실수가 많았던 다른 AKB그룹들과는 다르게 큰 실수 없이 안정적으로 무대를 마쳤다. 비록 난이도 있는 무대를 소화한 것은 아니지만, 'NMB48은 팬들에게 웃음을 주는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시로마 미루의 말처럼, 본인들의 팀 컬러를 확실하게 보여준 무대였다. 이러한 부분이 좋은 평가를 받아 시로마 미루의 경우 B, 카토 유우카의 경우 C를 받는 등 AKB그룹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을 받았다. === [[스톤 뮤직 엔터테인먼트|스톤뮤직]] === ||<-2><:>'''{{{#white 아이돌학교 그리고 두번째 도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63925)]}}} || ||<:>'''{{{#000 선곡}}}'''||[[NCT DREAM]] - [[Chewing Gum]] || ||<:>'''{{{#000 결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75em" {{{#white '''A등급'''}}}}}} {{{#ff509f 조유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7020; font-size: 0.75em" {{{#white '''B등급'''}}}}}} {{{#ff509f 장규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B938; font-size: 0.75em" {{{#white '''C등급'''}}}}}} {{{#ff509f 배은영}}}, {{{#ff509f 이시안}}} || ||<:>'''{{{#000 풀버전}}}'''||[[https://tv.naver.com/v/3482475|♬Chewing Gum]] || [[프로미스나인]] 출신으로 이미 데뷔 경력이 있는 장규리가 무대에 서서, 주목받았다. 본인은 연습생 시절이 없어서 본인의 부족함을 느꼈다며, 배우러 나왔다고 참가 사유를 밝혔다. 무대 자체는 큰 실수없이 깔끔하게 소화했으며, 등급은 A부터 C까지 고르게 받았다. === [[AKB48]] - 무토 토무, 코지마 마코, 타카하시 쥬리 === ||<-2><:>'''{{{#white 우리 사랑은 불장난~♬}}}'''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63998)]}}}|| ||<:>'''{{{#000 선곡}}}'''||[[BLACKPINK]] - 불장난 || ||<:>'''{{{#000 결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7020; font-size: 0.75em" {{{#white '''B등급'''}}}}}} {{{#ff509f 타카하시 쥬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B938; font-size: 0.75em" {{{#white '''C등급'''}}}}}} {{{#ff509f 코지마 마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AA52; font-size: 0.75em" {{{#white '''D등급'''}}}}}} {{{#ff509f 무토 토무}}} || ||<:>'''{{{#000 풀버전}}}'''||[[https://tv.naver.com/v/3482523|♬불장난]] || K-POP으로 평가를 받은 몇 안되는 일본팀[* 첫 방송에서 포미닛의 이름이 뭐예요?를 선곡한 나카니시 치요리, 미야자키 미호, 모기 시노부, 시노자키 아야나, 이치카와 마나미와는 확실히 대조되는 부분.] 중 하나로 비록 부족한 점도 있었지만 일본인이면서도 한국어 가사로 노래를 하면서 어려운 곡을 무난하게 소화했다는 점이 호평을 받았는지 타카하시 쥬리가 일본팀에서는 높은 순위권인 B등급을, 코지마 마코가 C등급을 받았다. 네이버 댓글 등에서의 반응도 좋아서 전체적으로 더 높은 등급을 받았어도 됐다는 반응도 많다. === 블록베리 & A team === ||<-3><:>'''{{{#white 퐈이어~ 열정 소녀}}}''' || ||<-3><:>{{{#!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64019)]}}}|| ||<:>'''{{{#white 소속사}}}''' || '''{{{#white 결과}}}''' || '''{{{#white 풀버전}}}''' || || 블록베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B938; font-size: 0.75em" {{{#white '''C등급'''}}}}}} {{{#ff509f 고유진}}} ||[[https://tv.naver.com/v/3482472|♬Lip & Hip]] || || A tea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75em" {{{#white '''A등급'''}}}}}} {{{#ff509f 김초연}}} ||[[https://tv.naver.com/v/3482518|♬Lip & Hip]] || 두 참가자 모두 [[현아]]의 LIP&HIP 을 평가곡으로 택해 라이벌 플래그가 선 상태에서 평가가 진행되었다. 두 참가자 모두 춤에선 높은 완성도를 보여줬지만, 김초연 참가자는 안정적인 발성으로 노래까지 소화해낸 반면, 고유진 참가자의 경우 노래가 불안정하다는 평을 받으며 C등급을 받았다. === [[HKT48]] - 미야와키 사쿠라 === ||<-2><:>'''{{{#white 배쌤 '왜 유력 1위 후보인지 알 것 같아'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82529)]}}}|| ||<:>'''{{{#000 선곡}}}'''||[[AKB48]] - 黒い天使 (검은 천사) || ||<:>'''{{{#000 결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75em" {{{#white '''A등급'''}}}}}} {{{#ff509f 미야와키 사쿠라}}} || ||<:>'''{{{#000 풀버전}}}'''||[[https://tv.naver.com/v/3482529|♬검은 천사 ]] || AKB48의 [[恋愛禁止条例|검은 천사]]를 선택해 공연을 펼쳤다. 경연 자체에서는 큰 실수가 없었지만, 보여준 실력에 비해 지나치게 높이 평가한 트레이너들의 반응과 배윤정 트레이너의 A 등급 푸시로 인해 논란이 야기되었다. 사쿠라의 평가 영상은 방송에서 도입부와 끝부분만 보여줘서 전체를 알수는 없지만 원곡 공연을 봐서 유추할 수 있다.[[http://www.twoeggz.com/mv/512735.html|#]] 곡 자체에 안무는 스텝과 대형 변경밖에 없고, 노래 자체도 고음 파트가 없는 간단한 곡이다. 미야와키 사쿠라의 경우, 원곡 안무와 마찬가지로 춤에서 기술적인 부분은 거의 없이 스탭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서 춤 실력은 객관적으로봐도 그렇게 출중하지 않았다. 또한, 그렇다고 노래를 잘 부른 것도 아닌것이, MR을 깔았음에도 호흡이 흔들리는 것이 들릴 정도였다. 물론 안정적으로 실수 없이 무대를 소화한 점은 높게 평가할 부분이지만, 앞서 B등급이나 C등급을 받은 연습생 중에 훨씬 난이도 있는 곡을 훌륭히 소화했음에도 보컬이 불안하다던가, 춤이 불안하다던가 하는 이유로 B나 C등급을 줘 버린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논란이 된 것. 한국인 연습생들과의 비교는 말할것도 없고, 당장 같은 일본인 연습생들과 비교해봐도 앞에 무대에 섰던 [[무토 토무/프로듀스 48|무토 토무]], [[코지마 마코/프로듀스 48|코지마 마코]], [[쥬리(로켓펀치)/프로듀스 48|타카하시 쥬리]]는 훨씬 난이도 있는 블랙핑크의 '불장난'을 한국어로 소화했음에도 가장 높게 평가 받은 것이 B등급이었다. 현역 8년차 아이돌이다 보니 감정표현이나 표정 등이 풍부할 순 있지만, 그게 부족한 실력을 덮을 만큼 충분한 이유인지는 미지수다. 연습생들의 인터뷰에서도 'A를 받을 정도의 무대였는지 모르겠다'는 평이 있었고, 등급 평가 이후 방송 편집상 한국 연습생들의 반응은 납득간다는 그런 반응과는 거리가 멀었다. 배윤정 트레이너의 경우 스타성을 본인 평가의 이유로 들었는데, 그럼에도 여러모로 논란이 남는 평가인 것이 사실이며, 한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A등급을 받은 것은 무리수가 아니었냐는 평이 주류를 이루었다.[* 프로듀스 101 시즌1과 비교해보면, '기획사별 평가'에서 전소미가 A등급을 받았을 때 많은 연습생들이 납득을 못하는 분위기였다. 이 때도, 배윤정 트레이너는 실력보다 걸그룹 이미지에 맞는 매력때문에 A등급을 주장했다. (참고로, PICK ME 영상평가에서 전소미는 B등급을 받는다.) 그리고 시즌1까지 안 가고 해당 시즌만 봐도 배윤정 트레이너는 야마다 노에의 기획사 평가 무대를 보고 노에의 스타성이 좋다며 A등급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실력을 고려해 C등급으로 마무리.] === 분량 없는 소속사 === ||<:>
'''{{{#white 소속사}}}''' || '''{{{#white 결과}}}''' || '''{{{#white 풀버전}}}''' || || 바나나컬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0709B; font-size: 0.75em" {{{#white '''A등급'''}}}}}} {{{#ff509f 김다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B938; font-size: 0.75em" {{{#white '''C등급'''}}}}}} {{{#ff509f 김나영}}} ||[[https://tv.naver.com/v/3482470|♬I don't like your Girlfriend]] || || 뮤직웍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7020; font-size: 0.75em" {{{#white '''B등급'''}}}}}} {{{#ff509f 윤해솔}}}, {{{#ff509f 최소은}}} ||[[https://tv.naver.com/v/3482468|♬?(물음표)]] || || 콜라주컴퍼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7020; font-size: 0.75em" {{{#white '''B등급'''}}}}}} {{{#ff509f 김현아}}} ||[[https://tv.naver.com/v/3482514|♬우리집]] || || 지비레이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7020; font-size: 0.75em" {{{#white '''B등급'''}}}}}} {{{#ff509f 알렉스 크리스틴}}} ||[[https://tv.naver.com/v/3482513|♬가시나 ]] || || MND1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7020; font-size: 0.75em" {{{#white '''B등급'''}}}}}} {{{#ff509f 박민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B938; font-size: 0.75em" {{{#white '''C등급'''}}}}}} {{{#ff509f 박찬주}}}, {{{#ff509f 이채정}}} ||[[https://tv.naver.com/v/3482532|♬Roller Coaster]] || || MMO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B938; font-size: 0.75em" {{{#white '''C등급'''}}}}}} {{{#ff509f 원서연}}} ||[[https://tv.naver.com/v/3482531|♬주인공]] || || AKB4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B938; font-size: 0.75em" {{{#white '''C등급'''}}}}}} {{{#ff509f 혼다 히토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AA52; font-size: 0.75em" {{{#white '''D등급'''}}}}}} {{{#ff509f 시타오 미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59EA2; font-size: 0.75em" {{{#white '''F등급'''}}}}}} {{{#ff509f 나가노 세리카}}} ||[[https://tv.naver.com/v/3482520|♬미스터]] || || YG케이플러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AA52; font-size: 0.75em" {{{#white '''D등급'''}}}}}} {{{#ff509f 최연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59EA2; font-size: 0.75em" {{{#white '''F등급'''}}}}}} {{{#ff509f 안예원}}} ||[[https://tv.naver.com/v/3482541|♬다른 남자 말고 너]] || || HKT4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59EA2; font-size: 0.75em" {{{#white '''F등급'''}}}}}} {{{#ff509f 야부키 나코}}}, {{{#ff509f 타나카 미쿠}}} ||{{{#RED X}}}[* 유일하게 영상이 공개되지 않았다.][* 경연 곡 자체가 [[섹드립]]이 포함된 곡이라 잘렸다는 얘기가 있다.] || 방송에 나오지 못한 소속사들이다. == 기획사 퍼포먼스 등급 결과 == * '''볼드''' 표시 된 참가자는 해당 클래스의 리더 ||<:>
'''{{{+2 {{{#fff A 클래스}}}}}}'''[br] ''{{{#fff A クラス}}}'' {{{#fff / 15명}}}|| ||{{{#ff509f 권은비}}}, {{{#ff509f 김다혜}}}, {{{#ff509f 김도아}}}, {{{#ff509f 김초연}}}, {{{#ff509f 나고은}}}, {{{#ff509f 미야와키 사쿠라}}}, {{{#ff509f 박해윤}}}, {{{#ff509f 유민영}}}, '''{{{#ff509f 이가은}}}''', {{{#ff509f 이채연}}}, {{{#ff509f 이하은}}}, {{{#ff509f 조유리}}}, {{{#ff509f 최예나}}}, {{{#ff509f 타케우치 미유}}}, {{{#ff509f 황소연}}} || ||<:>'''{{{+2 {{{#fff B 클래스}}}}}}'''[br] ''{{{#fff B クラス}}}'' {{{#fff / 25명}}}|| ||{{{#ff509f 강다민}}}, {{{#ff509f 김다연}}}, {{{#ff509f 김시현}}}, {{{#ff509f 김유빈}}}, {{{#ff509f 김채원}}}, {{{#ff509f 김현아}}}, {{{#ff509f 마츠이 쥬리나}}}, '''{{{#ff509f 박민지}}}''', {{{#ff509f 시로마 미루}}}, {{{#ff509f 안유진}}}, {{{#ff509f 알렉스 크리스틴}}}, {{{#ff509f 왕이런}}}, {{{#ff509f 왕크어}}}, {{{#ff509f 윤은빈}}}, {{{#ff509f 윤해솔}}}, {{{#ff509f 이승현}}}, {{{#ff509f 이와타테 사호}}}, {{{#ff509f 장규리}}}, {{{#ff509f 장원영}}}, {{{#ff509f 조가현}}}, {{{#ff509f 조사랑}}}, {{{#ff509f 조영인}}}, {{{#ff509f 최소은}}}, {{{#ff509f 타카하시 쥬리}}}, {{{#ff509f 홍예지}}} || ||<:>'''{{{+2 {{{#fff C 클래스}}}}}}'''[br] ''{{{#fff C クラス}}}'' {{{#fff / 22명}}}|| ||{{{#ff509f 고유진}}}, {{{#ff509f 김나영}}}, {{{#ff509f 김민서}}}, {{{#ff509f 김소희}}}, {{{#ff509f 김수윤}}}, '''{{{#ff509f 박서영}}}''', {{{#ff509f 박지은}}}, {{{#ff509f 박진희}}}, {{{#ff509f 박찬주}}}, {{{#ff509f 배은영}}}, {{{#ff509f 손은채}}}, {{{#ff509f 야마다 노에}}}, {{{#ff509f 오다 에리나}}}, {{{#ff509f 원서연}}}, {{{#ff509f 이시안}}}, {{{#ff509f 이유정}}}, {{{#ff509f 이채정}}}, {{{#ff509f 조아영}}}, {{{#ff509f 카토 유우카}}}, {{{#ff509f 코지마 마코}}}, {{{#ff509f 허윤진}}}, {{{#ff509f 혼다 히토미}}} || ||<:>'''{{{+2 {{{#fff D 클래스}}}}}}'''[br] ''{{{#fff D クラス}}}'' {{{#fff / 15명}}}|| ||{{{#ff509f 김민주}}}, {{{#ff509f 나이키 코코로}}}, {{{#ff509f 나카노 이쿠미}}}, {{{#ff509f 나카니시 치요리}}}, {{{#ff509f 모토무라 아오이}}}, {{{#ff509f 무라세 사에}}}, {{{#ff509f 무토 토무}}}, '''{{{#ff509f 미야자키 미호}}}''', {{{#ff509f 사토 미나미}}}, {{{#ff509f 시타오 미우}}}, {{{#ff509f 신수현}}}, {{{#ff509f 이마다 미나}}}, {{{#ff509f 최연수}}}, {{{#ff509f 하세가와 레나}}}, {{{#ff509f 한초원}}} || ||<:>'''{{{+2 {{{#fff F 클래스}}}}}}'''[br] ''{{{#fff F クラス}}}'' {{{#fff / 19명}}}|| ||{{{#ff509f 강혜원}}}, {{{#ff509f 고토 모에}}}, {{{#ff509f 나가노 세리카}}}, {{{#ff509f 마츠오카 나츠미}}}, '''{{{#ff509f 모기 시노부}}}''', {{{#ff509f 무라카와 비비안}}}, {{{#ff509f 시노자키 아야나}}}, {{{#ff509f 아라마키 미사키}}}, {{{#ff509f 아사이 나나미}}}, {{{#ff509f 아사이 유우카}}}, {{{#ff509f 안예원}}}, {{{#ff509f 야부키 나코}}}, {{{#ff509f 우메야마 코코나}}}, {{{#ff509f 우에무라 아즈사}}}, {{{#ff509f 이치카와 마나미}}}, {{{#ff509f 츠키아시 아마네}}}, {{{#ff509f 치바 에리이}}}, {{{#ff509f 쿠리하라 사에}}}, {{{#ff509f 타나카 미쿠}}} || 상대적으로 한국측 연습생들이 높은 등급을 받은 반면, 이미 데뷔한 일본측 연습생들이 낮은 등급을 받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A클래스 B클래스 일본인 참가자 랑 D클래스 F클래스 한국인 참가자는 2명[* (A클래스 일본인 F클래스 한국인)] 4명[* (B클래스 일본인 D클래스 한국인)] 씩 나올정도라 충격적이다.. == 등급별 레슨 == [[프로듀스 101|이전]] [[프로듀스 101 시즌2|시즌]]과는 다르게 A반은 글자가 빛이 나는 연습복을 받았다. F반은 [[프로듀스 101|이전 시즌]]의 김하윤처럼 거울에 비치면 F가 ㅋ로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FFFFFF '''A 클래스'''}}} || 연습생들은 한국어, 일본어 버전 모두를 마스터해야 했는데 모두의 예상을 깨고 [[미야와키 사쿠라/프로듀스 48|미야와키 사쿠라]]가 보컬 클래스에서 한국어 버전을 선보였다. 다만 고음 파트에서 약간 불안한 모습을 보였는데 [[타케우치 미유/프로듀스 48|타케우치 미유]]가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댄스 부문에서는 대부분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 가운데 유민영이 아쉬운 모습을 보여 주었다. ||
{{{#FFFFFF '''B 클래스'''}}}|| B반에는 총 4명의 일본인 연습생이 있었는데 말이 통하지 않아 한국 연습생들이 모두 안무 영상을 볼 때 일본 연습생들이 영상을 볼 수가 없었으며 다른 연습생들과 함께 연습에 동참하지 못하고 겉돌게 되었다. 하지만 그 뒤 안무를 마스터한 연습생들이 도와주며 연습을 함께 할 수 있게 되었고 훈훈한 분위기로 마무리 되었다. 일본인 연습생들의 인터뷰에서 이에 대한 연습생들의 심경 변화가 잘 드러난다. [[시로마 미루/프로듀스 48|시로마 미루]]가 댄스를 익히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
'''{{{#ffffff C 클래스}}}''' || 내꺼야 댄스를 처음 배우고 난 뒤 연습에서 A반보다 나았다는 평을 받았다. 배윤정 트레이너가 담당 트레이너였으며 [[손은채]]가 안무를 빨리 마스터하고 다른 연습생들을 도와 주는 역할을 하였다. 손은채, [[혼다 히토미/프로듀스 48|혼다 히토미]]가 댄스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
{{{#FFFFFF '''D 클래스'''}}}|| 일본 특유의 콧소리를 빼기 위한 이홍기의 특별 보컬 트레이닝이 있었다. 댄스 부문에서는 [[김민주/프로듀스 48|김민주]]가 어려움을 겪었다. ||
{{{#FFFFFF '''F 클래스'''}}}|| 배윤정 트레이너에게 일본 연습생들이 많아 다소 걱정하는 편이었으나 C반보다 분위기가 좋다는 평을 받았다. 하지만 [[치바 에리이/프로듀스 48|치바 에리이]]가 따라가지 못한 모습을 보여 제2의 [[김소혜]]라는 기믹이 붙기 시작했다. [[무라카와 비비안/프로듀스 48|비비안]]도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다. 1화에서 화분증으로 고생했던 [[고토 모에/프로듀스 48|고토 모에]]의 목소리를 처음으로 들을 수 있었는데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영상 평가 직후에는 B, C, D, F조에서 17, 18, 12, 9명의 연습생 등급이 조정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A조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리고 A조에서 F 클래스로 내려가버린 충격적인 연습생이 있다는게 공개되면서 에피소드는 종료. == 전체 순위표 == === TOP 12 === ||<-6><:>[[파일:프로듀스 48 로고.svg|width=89]] '''{{{+2 2회 방송 종료 후 최다 득표자'''[br] '''{{{#FF509F TOP12}}}}}}'''|| ||<:> {{{#990066 ♚}}}'''{{{#990066 1위}}}''' ||<:> '''{{{#white 2위}}}''' ||<:> '''{{{#white 3위}}}''' ||<:> '''{{{#white 4위}}}''' ||<:> '''{{{#white 5위}}}''' ||<:> '''{{{#white 6위}}}''' || ||<:>[[파일:48이가은48.png|width=100%]] ||<:>[[파일:48안유진48.png|width=100%]] ||<:>[[파일:48권은비48.png|width=100%]] ||<:>[[파일:48장원영48.png|width=100%]] ||<:>[[파일:48사쿠라48.png|width=100%]] ||<:>[[파일:48최예나48.png|width=100%]] || || {{{#FFB6C1 '''이가은'''}}}[br]{{{#F08080 ▲}}}{{{#fff 4}}} || {{{#FFB6C1 '''안유진'''}}}[br]{{{#fff -}}} || {{{#FFB6C1 '''권은비'''}}}[br]{{{#F08080 ▲}}}{{{#fff 22}}} || {{{#FFB6C1 '''장원영'''}}}[br]{{{#87CEEB ▼}}}{{{#fff 1}}} || {{{#FFB6C1 '''미야와키 사쿠라'''}}}[br]{{{#87CEEB ▼}}}{{{#fff 4}}} || {{{#FFB6C1 '''최예나'''}}}[br]{{{#F08080 ▲}}}{{{#fff 1}}} || ||<:> '''{{{#white 7위}}}''' ||<:> '''{{{#white 8위}}}''' ||<:> '''{{{#white 9위}}}''' ||<:> '''{{{#white 10위}}}''' ||<:> '''{{{#white 11위}}}''' ||<:> '''{{{#white 12위}}}''' || ||<:>[[파일:48왕이런48.png|width=100%]] ||<:>[[파일:48모에48.png|width=100%]] ||<:>[[파일:48노에48.png|width=100%]] ||<:>[[파일:48이채연48.png|width=100%]] ||<:>[[파일:48미유48.png|width=100%]] ||<:>[[파일:48쥬리나48.png|width=100%]] || || {{{#FFB6C1 '''왕이런'''}}}[br]{{{#F08080 ▲}}}{{{#fff 4}}} || {{{#FFB6C1 '''고토 모에'''}}}[br]{{{#F08080 ▲}}}{{{#fff 8}}} || {{{#FFB6C1 '''야마다 노에'''}}}[br]{{{#F08080 ▲}}}{{{#fff 36}}} || {{{#FFB6C1 '''이채연'''}}}[br]{{{#F08080 ▲}}}{{{#fff 19}}} || {{{#FFB6C1 '''타케우치 미유'''}}}[br]{{{#F08080 ▲}}}{{{#fff 28}}} || {{{#FFB6C1 '''마츠이 쥬리나'''}}}[br]{{{#87CEEB ▼}}}{{{#fff 8}}} || 방송 1화에서 좋은 활약을 펼친 연습생돌의 순위가 상승했다. 장규리, 이시안, 조유리, 시로마 미루, 코지마 마코가 데뷔권인 TOP12에서 이탈하고, 그 빈 자리를 권은비, 고토 모에, 야마다 노에, 이채연, 타케우치 미유가 차지했다. === 13위~96위 === ||<-6><:>
'''{{{+2 2회 방송 종료 후'''[br]'''{{{#FF509F 13위 ~ 96위}}}}}}'''|| ||<:> '''{{{#000 13위}}}''' ||<:> '''{{{#000 14위}}}''' ||<:> '''{{{#000 15위}}}''' ||<:> '''{{{#000 16위}}}''' ||<:> '''{{{#000 17위}}}''' ||<:> '''{{{#000 18위}}}''' || ||<:>{{{#ff509f 김시현}}}[br]{{{#red ▲}}}2 ||<:>{{{#ff509f 장규리}}}[br]{{{#blue ▼}}}8 ||<:>{{{#ff509f 허윤진}}}[br]{{{#red ▲}}}4 ||<:>{{{#ff509f 미야자키 미호}}}[br]{{{#red ▲}}}1 ||<:>{{{#ff509f 김민주}}}[br]{{{#blue ▼}}}4 ||<:>{{{#ff509f 이시안}}}[br]{{{#blue ▼}}}10 || ||<:> '''{{{#000 19위}}}''' ||<:> '''{{{#000 20위}}}''' ||<:> '''{{{#000 21위}}}''' ||<:> '''{{{#000 22위}}}''' ||<:> '''{{{#000 23위}}}''' ||<:> '''{{{#000 24위}}}''' || ||<:>{{{#ff509f 조유리}}}[br]{{{#blue ▼}}}9 ||<:>{{{#ff509f 나고은}}}[br]{{{#red ▲}}}16 ||<:>{{{#ff509f 김채원}}}[br]- ||<:>{{{#ff509f 시로마 미루}}}[br]{{{#blue ▼}}}13 ||<:>{{{#ff509f 코지마 마코}}}[br]{{{#blue ▼}}}11 ||<:>{{{#ff509f 이와타테 사호}}}[br]{{{#red ▲}}}22 || ||<:> '''{{{#000 25위}}}''' ||<:> '''{{{#000 26위}}}''' ||<:> '''{{{#000 27위}}}''' ||<:> '''{{{#000 28위}}}''' ||<:> '''{{{#000 29위}}}''' ||<:> '''{{{#000 30위}}}''' || ||<:> {{{#ff509f 김도아}}}[br]{{{#red ▲}}}6 ||<:> {{{#ff509f 박서영}}}[br]{{{#red ▲}}}8 ||<:>{{{#ff509f 야부키 나코}}}[br]{{{#blue ▼}}}13 ||<:>{{{#ff509f 무토 토무}}}[br]{{{#blue ▼}}}5 ||<:>{{{#ff509f 타카하시 쥬리}}}[br]{{{#blue ▼}}}9 ||<:>{{{#ff509f 배은영}}}[br]{{{#blue ▼}}}12 || ||<:> '''{{{#000 31위}}}''' ||<:> '''{{{#000 32위}}}''' ||<:> '''{{{#000 33위}}}''' ||<:> '''{{{#000 34위}}}''' ||<:> '''{{{#000 35위}}}''' ||<:> '''{{{#000 36위}}}''' || ||<:> {{{#ff509f 무라카와 비비안}}}[br]{{{#blue ▼}}}3 ||<:>{{{#ff509f 유민영}}}[br]{{{#red ▲}}}54 ||<:>{{{#ff509f 왕크어}}}[br]{{{#red ▲}}}59 ||<:>{{{#ff509f 고유진}}}[br]{{{#blue ▼}}}10 ||<:>{{{#ff509f 박해윤}}}[br]{{{#red ▲}}}24 ||<:>{{{#ff509f 조가현}}}[br]{{{#red ▲}}}29 || ||<:> '''{{{#000 37위}}}''' ||<:> '''{{{#000 38위}}}''' ||<:> '''{{{#000 39위}}}''' ||<:> '''{{{#000 40위}}}''' ||<:> '''{{{#000 41위}}}''' ||<:> '''{{{#000 42위}}}''' || ||<:>{{{#ff509f 나카니시 치요리}}}[br]{{{#blue ▼}}}15 ||<:>{{{#ff509f 치바 에리이}}}[br]{{{#blue ▼}}}11 ||<:>{{{#ff509f 김민서}}}[br]{{{#red ▲}}}23 ||<:>{{{#ff509f 강혜원}}}[br]{{{#blue ▼}}}2 ||<:>{{{#ff509f 아사이 나나미}}}[br]{{{#blue ▼}}}15 ||<:>{{{#ff509f 모토무라 아오이}}}[br]{{{#blue ▼}}}5 || ||<:> '''{{{#000 43위}}}''' ||<:> '''{{{#000 44위}}}''' ||<:> '''{{{#000 45위}}}''' ||<:> '''{{{#000 46위}}}''' ||<:> '''{{{#000 47위}}}''' ||<:> '''{{{#000 48위}}}''' || ||<:>{{{#ff509f 무라세 사에}}}[br]{{{#blue ▼}}}11 ||<:>{{{#ff509f 김소희}}}[br]{{{#red ▲}}}4 ||<:>{{{#ff509f 시타오 미우}}}[br]{{{#blue ▼}}}4||<:>{{{#ff509f 황소연}}}[br]{{{#red ▲}}}45 ||<:>{{{#ff509f 혼다 히토미}}}[br]{{{#blue ▼}}}17 ||<:>{{{#ff509f 이유정}}}[br]{{{#blue ▼}}}15 || ||<:> '''{{{#000 49위}}}''' ||<:> '''{{{#000 50위}}}''' ||<:> '''{{{#000 51위}}}''' ||<:> '''{{{#000 52위}}}''' ||<:> '''{{{#000 53위}}}''' ||<:> '''{{{#000 54위}}}''' || ||<:>{{{#ff509f 박진희}}}[br]{{{#red ▲}}}3 ||<:>{{{#ff509f 윤해솔}}}[br]{{{#blue ▼}}}10 ||<:>{{{#ff509f 김수윤}}}[br]{{{#red ▲}}}7 ||<:>{{{#ff509f 최연수}}}[br]{{{#blue ▼}}}5 ||<:>{{{#ff509f 나카노 이쿠미}}}[br]{{{#blue ▼}}}10 ||<:>{{{#ff509f 하세가와 레나}}}[br]{{{#red ▲}}}7|| ||<:> '''{{{#000 55위}}}''' ||<:> '''{{{#000 56위}}}''' ||<:> '''{{{#000 57위}}}''' ||<:> '''{{{#000 58위}}}''' ||<:> '''{{{#000 59위}}}''' ||<:> '''{{{#000 60위}}}''' || ||<:>{{{#ff509f 마츠오카 나츠미}}}[br]{{{#blue ▼}}}20 ||<:>{{{#ff509f 박민지}}}[br]{{{#blue ▼}}}7 ||<:>{{{#ff509f 신수현}}}[br]{{{#blue ▼}}}15 ||<:>{{{#ff509f 이하은}}}[br]{{{#blue ▼}}}7 ||<:>{{{#ff509f 모기 시노부}}}[br]{{{#blue ▼}}}15 ||<:>{{{#ff509f 이승현}}}[br]{{{#red ▲}}}6 || ||<:> '''{{{#000 61위}}}''' ||<:> '''{{{#000 62위}}}''' ||<:> '''{{{#000 63위}}}''' ||<:> '''{{{#000 64위}}}''' ||<:> '''{{{#000 65위}}}''' ||<:> '''{{{#000 66위}}}''' || ||<:>{{{#ff509f 아라마키 미사키}}}[br]{{{#blue ▼}}}11 ||<:>{{{#ff509f 조영인}}}[br]{{{#red ▲}}}12 ||<:>{{{#ff509f 김나영}}}[br]{{{#blue ▼}}}8 ||<:>{{{#ff509f 이마다 미나}}}[br]{{{#blue ▼}}}11 ||<:>{{{#ff509f 김다연}}}[br]{{{#blue ▼}}}5 ||<:>{{{#ff509f 사토 미나미}}}[br]{{{#blue ▼}}}9 || ||<:> '''{{{#000 67위}}}''' ||<:> '''{{{#000 68위}}}''' ||<:> '''{{{#000 69위}}}''' ||<:> '''{{{#000 70위}}}''' ||<:> '''{{{#000 71위}}}''' ||<:> '''{{{#000 72위}}}''' || ||<:>{{{#ff509f 오다 에리나}}}[br]{{{#blue ▼}}}11 ||<:>{{{#ff509f 윤은빈}}}[br]{{{#blue ▼}}}14 ||<:>{{{#ff509f 박찬주}}}[br]{{{#red ▲}}}16 ||<:>{{{#ff509f 박지은}}}[br]{{{#red ▲}}}7 ||<:>{{{#ff509f 타나카 미쿠}}}[br]{{{#blue ▼}}}8 ||<:>{{{#ff509f 김현아}}}[br]{{{#blue ▼}}}5 || ||<:> '''{{{#000 73위}}}''' ||<:> '''{{{#000 74위}}}''' ||<:> '''{{{#000 75위}}}''' ||<:> '''{{{#000 76위}}}''' ||<:> '''{{{#000 77위}}}''' ||<:> '''{{{#000 78위}}}''' || ||<:>{{{#ff509f 카토 유우카}}}[br]{{{#blue ▼}}}2 ||<:>{{{#ff509f 강다민}}}[br]{{{#blue ▼}}}4 ||<:>{{{#ff509f 김초연}}}[br]{{{#blue ▼}}}7 ||<:>{{{#ff509f 홍예지}}}[br]- ||<:>{{{#ff509f 원서연}}}[br]{{{#red ▲}}}4 ||<:> {{{#ff509f 조아영}}}[br]{{{#red ▲}}}5|| ||<:> '''{{{#000 79위}}}''' ||<:> '''{{{#000 80위}}}''' ||<:> '''{{{#000 81위}}}''' ||<:> '''{{{#000 82위}}}''' ||<:> '''{{{#000 83위}}}''' ||<:> '''{{{#000 84위}}}''' || ||<:>{{{#ff509f 한초원}}}[br]{{{#blue ▼}}}15 ||<:>{{{#ff509f 아사이 유우카}}}[br]{{{#blue ▼}}}11 ||<:>{{{#ff509f 나가노 세리카}}}[br]{{{#blue ▼}}}9 ||<:>{{{#ff509f 나이키 코코로}}}[br]{{{#blue ▼}}}7 ||<:>{{{#ff509f 이치카와 미나미}}}[br]{{{#blue ▼}}}4 ||<:> {{{#ff509f 쿠리하라 사에}}}[br]{{{#blue ▼}}}11|| ||<:> '''{{{#000 85위}}}''' ||<:> '''{{{#000 86위}}}''' ||<:> '''{{{#000 87위}}}''' ||<:> '''{{{#000 88위}}}''' ||<:> '''{{{#000 89위}}}''' ||<:> '''{{{#000 90위}}}''' || ||<:>{{{#ff509f 손은채}}}[br]{{{#red ▲}}}10 ||<:>{{{#ff509f 알렉스 크리스틴}}}[br]{{{#red ▲}}}2 ||<:>{{{#ff509f 시노자키 아야나}}}[br]{{{#blue ▼}}}3 ||<:>{{{#ff509f 안예원}}}[br]{{{#blue ▼}}}6 ||<:>{{{#ff509f 김다혜}}}[br]{{{#blue ▼}}}9 ||<:>{{{#ff509f 조사랑}}}[br]{{{#blue ▼}}}1 || ||<:> '''{{{#000 91위}}}''' ||<:> '''{{{#000 92위}}}''' ||<:> '''{{{#000 93위}}}''' ||<:> '''{{{#000 94위}}}''' ||<:> '''{{{#000 95위}}}''' ||<:> '''{{{#000 96위}}}''' || ||<:>{{{#ff509f 츠키아시 아마네}}}[br]{{{#blue ▼}}}13 ||<:>{{{#ff509f 최소은}}}[br]{{{#blue ▼}}}5 ||<:>{{{#ff509f 김유빈}}}[br]{{{#blue ▼}}}3 ||<:>{{{#ff509f 이채정}}}[br]{{{#red ▲}}}2 ||<:>{{{#ff509f 우메야마 코코나}}}[br]{{{#blue ▼}}}1 ||<:>{{{#ff509f 우에무라 아즈사}}}[br]{{{#blue ▼}}}3 || 방송 초창기, 특히 평가영상이 공개된 직후라서 그런지 순위가 변동이 많은 편이다. 박해윤, 조가현, 황소연과 셀럽파이브 무대를 보여 준 3명 모두 순위가 대폭 상승했다. == [[프로듀스 48/논란|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로듀스 48/논란)] == 여담 == [[파일:EP2 Nayana.jpg]] 마츠이 쥬리나의 차례 이후 휴식시간이 있었는데 [[프로듀스 101 시즌2|시즌2]] 중간 휴식시간에 [[형섭|안형섭]]이 독무대를 보여줬던 '[[프로듀스 101|전 시즌]] [[PICK ME|공식주제가]] 댄스타임' 이 다시 한번 벌어졌다. 다만 전시즌에 이미 한번 있었던 일이라 [[나야 나 (PICK ME)|나야 나]]가 나왔을때 대부분의 연습생들이 댄스타임이란 걸 알아채고 다수가 무대에 올라와서 안형섭처럼 한명이 주목받는 일은 없었다. 일본 연습생들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눈치였지만 나서지 않았다. 무대에 올라온 연습생은 좌측부터 백스테이지에서 대기중이었다가 나온 울림 4인방(김소희, 김수윤, 김채원, 권은비), 강다민, 황소연, 고유진, 박서영, 이하은, 박진희, 김초연, 왕크어(나중에 잡혔다). 나야 나가 끝나자마자 AKB48의 히트곡 [[헤비 로테이션]]이 나왔는데 한일 연습생 가릴거 없이 모두가 헤비 로테이션의 댄스를 같이 추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말은 통하지 않아도 연습생들이 모두 하나가 되는 분위기를 만들어준 제작진의 센스. 다만, 소유는 노래를 몰라 어리둥절해했고 배윤정은 이걸 어떻게 아느냐고 놀라워했다.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짜고 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 많았다. 그리고, 반대로 "예능적인 재미로 미리 사전에 알고 진행한 것이다."라는 의견도 있다. 전 시즌에서는 제작진들이 '[[오늘부터 우리는 (Me gustas tu)|오늘부터 우리는]]'과 '[[픽 미]]'를 연습해오라는 이야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프로듀스 48/1회|1회]]에서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일본 연습생들의 부족한 실력이 부각된 반면 2회에서는 스스로의 장점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영상 평가에서는 안무를 틀렸지만 전혀 흔들리지 않고 오히려 자신감있는 모습을 보여 현직 가수답게 무대에 익숙해져 있다는 평을 들었다.[* 하지만, 특히 실력이 부족했던 F반은 대부분이 영상 평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절망적인 분위기가 감돌았다.] 멀리까지 온 만큼 열심히 배우려는 태도가 돋보였고, 그동안의 경력은 무시하고 초심으로 돌아가 새롭게 시작해 보겠다는 의지를 가진 연습생들이 여럿 보였다. 특히, 한국 연습생들이 한국어로만 노래를 부르는 데 반해 일본 연습생들은 일본어와 한국어로 노래를 하려는 모습이 조명되었다. 트레이너들은 일본어 버전을 아예 포기하고 가사 한 마디조차 부르지 않은 한국 연습생의 무성의한 태도를 지적했다. 일본 연습생들은 춤과 노래에서 그리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지만 카메라 시선으로 미소를 유지하는 여유있는 모습,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려는 태도, 모든 참가자들이 일본어와 한국어 전부 소화해내는 성의있는 자세가 호평 받았다. [[이홍기]]는 "똑같은 시간을 줬는데 왜 누구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다 하고 누구는 못하지?"라고 하자 배윤정 트레이너는 '''[[의지드립|의지의 차이]]'''라고 콕 찝어말하며 한국 연습생들을 비판하였다.~~"[[이홍기|???]]:그지의 차이요?"~~ 가사 숙지 여부만을 중시하는 연출에 대해 가창과 안무 숙지 실력을 역시 동등하게 평가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시청자들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평을 보였다. 한편 한국 연습생 중에도 일본어 가사를 숙지한 연습생들이 있었음에도 그렇지 못한 한국 연습생과 일본 연습생을 대조하는 편집으로 인해 한국 연습생이 상대적으로 나태한 것처럼 비춰지게 되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이번 기회를 날려버리면 데뷔 자체가 불투명해지는 한국 연습생들이, 돌아갈 곳이 있는 AKB 그룹 멤버들 보다 의지가 떨어진다는 것은 생각하기 힘든 일이다. 이 부분에서 김다혜를 대상으로 한 악마의 편집 정황이 포착되고 있으며 논란이 된 자막 부분은 '''재방송분에서 [[http://m.dcinside.com/view.php?id=produce48&no=609179&page=1&recommend=1|삭제되었다.]]'''][* 이에 대한 유튜브 해외시청자들의 반응 [[http://theqoo.net/index.php?mid=produce48&filter_mode=normal&document_srl=759791573|#]]] 시즌1, 시즌2 역시 회차가 진행될수록 방송에 대한 관심이나 호평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일본 쪽도 마찬가지인 듯하다. 방영 전 반응에 비해 1회, 2회 방송 후의 반응들이 점점 좋아지고 있는데 "한국에서 찍는 방송 따위 볼까 보냐! 라고 생각했는데 어느샌가 다음화를 기다리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 같은 글들이 자주 목격되고, 특히 일본 연습생들에게 초점이 많이 맞춰진 2회는 [[5ch]]에서도 호평들이 점점 늘어나는 상황이다. 한편 방송 그 자체에 대한 평가도 많이 올라오는데, 처음에는 어째서 자꾸 방송 중간에 스포일러 행위를 하는가? 그냥 시간 흐름대로 편집해달라.. 하는 반응을 보인 경우도 있었지만 2회부터는 그냥 방송 자체가 재밌게 구성됐다는 호평이 많다. 심지어 "왜 일본은 이런 방송을 만들 수 없나?"같은 자조적인 코멘트도 보인다. 원래 한국과 협업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대단히 부정적이었지만 기존의 AKB48 팬들을 비롯해서 2회를 기점으로 프로듀스 48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 혹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AKB48 팬들의 반응 (5ch)''' [[파일:PD48--5chReact1.png|width=60%]] 462 한국 시장만으로는 부족할텐데 일본과 아시아에서 팔리기 위해서 만드는데 한국인만 입맛대로 넣어도 괜찮을까? 463 맞다. 한국인만 입맛대로 결정하는 것은 좋지 않다!! 세계에 팔리기 위해서는 AKB팬의 의견도 들어가야 한다! [* 만약 일본 측의 투표가 가능해지면 더 이상 Kpop 그룹으로 볼 수 없는 뭔가가 만들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파일:PD48--5chReact2.png|width=60%]] 571 오늘 축구(러시아월드컵 H조 3차 일본vs폴란드) 보다 내일 프듀가 더 기대되는 것 같아w 완전히 빠져버렸다w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프로듀스 48이 한국과 일본의 한일전 구도로 경쟁하는 구도로 짜여져있음에도 불구하고 AKB48의 팬들은 의외로 한국인 연습생들에 대해서 호의적이라는 점이다. 오히려 경쟁의식이나 적대감이 같은 팀 동료 연습생들에게 더 강한 듯이 보인다. 특히, 일본 측 양대 에이스라고 할 수 있는 [[미야와키 사쿠라]]와 [[마츠이 쥬리나]]의 팬덤 싸움이 치열하다. 단, 어째선지 1회에 비해 2화의 자막 수준[* BS스카파에서 동시 방영 중인데, 자막 제작팀이 바뀐 것 아니냐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번역 수준이나 레이아웃이 달라졌다고 한다. 일본 반응을 번역해 올리던 사람이 "도대체 어느 정도길래?" 라며 직접 스크린샷을 찾아본 후 "확실히 이건 좀 심했다"고 평가할 정도였다.][* BS 스카파 버전은 자막으로 한국에서 받은 영상을 동시번역해서 자막 상태가 고르지 않을 수 있다고 고지했다.]이 심히 좋지 않아서 이쪽으로도 말이 많다.[[http://theqoo.net/index.php?mid=square&page=46&document_srl=757596503|#]] "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적지 않은 금액을 지불했으니, 제작사인 Mnet이든 유통사인 BS스카파든 다음 화부턴 엉망진창 자막을 반드시 조치하라"는 분노의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다. [[https://rio2016.5ch.net/test/read.cgi/4sama/1529876837/&usg|#]] [[분류:프로듀스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