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i26406_EldM)] 1992년 4월 20일 [[부활절]]에 영국의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퀸(밴드)|퀸]]의 보컬리스트 [[프레디 머큐리]]의 죽음을 추모하기 위한 콘서트. 프레디 머큐리가 생전 존경하던 아티스트들인 [[레드 제플린]]의 [[로버트 플랜트]], [[더 후]]의 [[로저 달트리]], [[데이비드 보위]] 등과, 퀸의 영향을 받은 [[액슬 로즈]] 등 당대의 슈퍼스타들이 참가한 대형 콘서트이기도 하다. 이날 모인 관객수는 72,000명에 달한다. == 세트리스트 == [[The Miracle]], [[Innuendo]]의 수록곡들, [[Too Much Love Will Kill You]]는 프레디 머큐리가 건강 문제로 인해 13집, 14집에 해당하는 공연을 한 적이 없어 첫 라이브이다. [[Bohemian Rhapsody]]의 오페라 파트를 제외한 모든 곡은 100% 라이브이다. 퀸 콘서트 최초로 보컬 코러스가 동원되었다. || '''순서''' || '''아티스트''' || '''노래''' || || 1 || [[메탈리카]] || [[Enter Sandman]][br]Sad But True[br]Nothing Else Matters || || 2 || [[익스트림]] || Queen Medley[* [[Mustapha]], [[Bohemian Rhapsody]](Rock Finale), [[Keep Yourself Alive]], [[I Want to Break Free]], [[Fat Bottomed Girls]], [[Bicycle Race]], [[Another One Bites the Dust]], [[We Will Rock You]], [[Stone Cold Crazy]], [[Radio Ga Ga]][* 앞의 키보드를 베이스로 대신 연주하였다.]][br][[Love of My Life]][br]More Than Words || || 3 || [[데프 레파드]] [* 데프 레파드에게도 이 공연은 상당히 중요한 공연이었다. 1991년 1월 멤버 스티브 클라크의 사망 이후, 비비안 캠벨을 데리고 한 첫 공연이었기 때문.] || Animal[br]Let's Get Rocked[br][[Now I'm Here]] (with [[브라이언 메이]]) || || 4 || [[밥 겔도프]] || Too Late God || || 5 || [[이것이 스파이널 탭이다|스파이널 탭]] || The Majesty of Rock || || 6 || [[U2]][*위성공연 타국 무대에서 참여] || Until the End of the World || || 7 || [[건즈 앤 로지스]] || [[Paradise City]][br]Only Woman Bleed[br][[Knockin' on Heaven's Door]] || || 8 || 망고 그루브[*위성공연 타국 무대에서 참여] || Special Star || || 9 || [[엘리자베스 테일러]] || 에이즈 예방 연설 || || 10 || [[프레디 머큐리]] || "에-오"[* Various interactions with audiences] || || 11 || [[퀸(밴드)|퀸]] + 조 엘리엇 & [[슬래시]] || [[Tie Your Mother Down]] || || 12 || 퀸 + [[토니 아이오미]] & [[로저 달트리]] || Heaven and Hell (intro)[* 메이: I want to Introducin' a friend of mine. Mr. Tonny Iomi! [br]. 후에 토니 아이오미 등장해서 메이와 잠깐 연주.][br][[Pinball Wizard]] (intro)[* Heaven and Hell 인트로 끝나자마자 메이가 스트로크하면서, 로저: I say it's Mr. Roger Daltrey! 하면서 중간에 로저 달트리 등장.][br][[I Want It All]][* 싱글버전. 로저의 1! 2! 에 맞춰 다 같이 앞의 I Want It All 떼창부터 들어간다.] || || (취소) || 퀸 + 크리스 톰슨 || [[A Kind of Magic]]-셋리스트에만 존재, 실제 공연에선 취소됨[* 왜 취소되었는지는 불명이다.] || || 13 || 퀸 + 주케로 || Las Palabras de Amor (The Words of Love)[* 1983년 Hot Space 투어 종료 후 9년만의 라이브. 흑역사 취급 받던 Hot Space의 수록곡이지만 팬들 사이에서의 인기가 좋아 투어 두 개를 건너뛰어 이 공연에서야 부활했다.] || || 14 || 퀸 + 게리 셰론 & 토니 아이오미 || [[Hammer to Fall]] || || 15 || 퀸 + [[제임스 헷필드]] & 토니 아이오미 || [[Stone Cold Crazy]][* 1984년 The Works 유럽 투어 종료 후 8년만의 라이브. 유럽 투어 종료 직후 남아공 선 시티에서의 투어와 일본 투어에서는 이 곡이 라이브되지 않았었다.] || || 16 || 퀸 + [[로버트 플랜트]] || [[Innuendo(노래)|Innuendo]][* 첫머리에서부터 가사를 버벅거리다가 급기야는 간주를 생략하는 등의 온갖 당황스러운 실수들을 하여 구설수가 많았다. 고음들을 싹 다 이상하게 내려부른 것도 한몫 했다. 현장 반응은 매우 좋았으나, 방송으로 본 팬들이 상당히 당황스러워하며, 결국 대부분의 기념 영상물에서 삭제되었다. 그런데, 이거 2020년 현재 '''퀸 역사상 유일한 Innuendo 라이브다'''(...)][* 나중에 이 때 감기에 걸려 제대로된 목소리를 내기 어려웠으며, 초반 몇 초 마이크가 꺼져 있었고, 스케줄이 바빠 가사를 외우지 못했었다고 해명했다.][* 중간 플라멩코+오페라 파트 생략 후 Don't take offence at my innuendo~ 하고 바로 5박자 헤비메탈 부분으로 넘어감.] / [[Kashmir(노래)|Kashmir]](bridge)[* 레드 제플린 곡.][* 어쿠스틱 파트로 넘어가는 부분에서 Oh father of four winds~ 부터 잠깐 불렀다. 사실 이런 식으로 커버 중간에 자기 커리어 곡의 일부를 집어넣는 건 로버트 플랜트의 특기.] [br][[Thank You(레드 제플린)|Thank You]](intro)[* 레드 제플린 곡.][* Because... 까지 부르고 메이 기타와 함께 This thing, called love... 로 넘어감][br][[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 || 17 || [[브라이언 메이]] + 스파이크 에드니 || Too Much Love Will Kill You[* 최초공개.] || || 18 || 퀸 + 폴 영 || [[Radio Ga Ga]] || || 19 || 퀸 + 씰 || Who Wants to Live Forever || || 20 || 퀸 + 리사 스탠스필드 || [[I Want to Break Free]][* 싱글버전][* 매직 투어 때 써먹었던 두 곡의 연계. 씰이 키를 프레디의 라이브 키보다 낮게 잡아, 두 곡의 키가 동일했기에 씰이 퇴장하면서 IWtBF의 신스 인트로가 울려퍼지며 리사 스탠스필드가 들어오는 접속곡 버전으로 공연이 이루어진 셈이다.] || || 21 || 퀸 + [[데이비드 보위]] & [[애니 레녹스]] || [[Under Pressure]][* 데이비드 보위 커리어에서 Under Pressure의 첫 라이브다. 이후 95년 Outside Tour에서부터 라이브 셋리스트에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 || 22 || 퀸 + 이안 헌터 & 데이비드 보위 & 믹 론슨 + 조 엘리엇 & 필 콜렌[* 둘이 코러스를 넣었다. 사전에 계획되어있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보위도 다른 사람들이 아닌 저 둘이 코러스를 하고 있는 것을 보고 놀랐다고 한다.] || All the Young Dudes[* 데이빗 보위가 작곡해서 모트 더 후플에게 준 싱글이다. 참고로 이 모트 더 후플은 퀸의 2집 초기 활동에서, '''퀸이''' 오프닝 밴드를 맡았던 밴드다. 이안 헌터는 모트 더 후플의 멤버이며, 한국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믹 론슨의 경우 글램 록을 대표하는 기타리스트다. 보위의 지기 스타더스트 활동 때 'spiders from mars' 즉 기타 멤버로 참여하였다. 모트 더 후플 극후반기에 잠시 세션을 맡기도 했고.][* 믹 론슨의 생전 마지막 공연이다. 이 공연 시점에 이미 간암 환자였고, 1년 뒤 간암으로 결국 사망한다. 암으로 인해 고생하던 도중 데이빗 보위의 연락을 받고 83년 Serious Moonlight Tour 이후 9년 만에 다시 보위와 함께, 75년 모트 더 후플의 해체 이후 17년 만에 이안 헌터와 함께 연주하게 되었다.][* 이 곡이 보위의 곡이고 보위가 투어에서 자신의 보컬로 항상 부르는데도 불구하고, 특별히 처음 나온 음원에서처럼 이안 헌터가 보컬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위는 색소폰과 후렴구 백코러스만 맡았다.] || || 23 || 퀸 + 데이비드 보위/믹 론슨 + 이안 헌터 || [["Heroes"(노래)|"Heroes"]][* 데이비드 보위 곡.] || || 24 || 데이비드 보위 || [[주기도문]][* 종교적 의도가 아닌 당연히 즉흥적으로 프레디에 대한 추모의 의도로 읊은 것.] || || 25 || 퀸 + [[조지 마이클]] || [['39]][* 1979년 Crazy 투어 종료 후 13년만의 라이브. 1984년 네덜란드 공연에서 셋리스트에 없는 이 곡을 1절만 잠깐 해준 적은 있지만 그건 팬서비스로, 이 곡의 실연을 원하는 팬들이 많았음에도 거의 라이브해준 바가 없었다.] || || 26 || 퀸 + [[조지 마이클]] + 리사 스탠스필드 || [[These Are the Days of Our Lives]] || || 27 || 퀸 + [[조지 마이클]] + 런던 가스펠 합창단 || [[Somebody to Love(퀸)|Somebody to Love]][* 1985년 Works 투어 종료 이후 7년만의 라이브. 프레디가 이 곡의 고음을 버거워했기에 매직투어부터 삭제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 곡을 공연할 때 백코러스를 동원한 것은 처음이다.] || || 28 || 퀸 + [[엘튼 존]] & [[액슬 로즈]] || [[Bohemian Rhapsody]][* 발라드 한옥타브 낮춤.] || || 29 || 퀸 + 엘튼 존 & 토니 아이오미 || [[The Show Must Go On]][* 두 키 낮춤. 이어 1993년 엘튼 존 본인의 투어와, 1997년 파리 발레단과의 공연에서는 네 키 낮춘다.] || || 30 || 퀸 + 액슬 로즈 || [[We Will Rock You]] || || 31 || 퀸 + [[라이자 미넬리]] & 전 참가자 || [[We Are the Champions]] || || 32 || 퀸 || [[God Save the Queen]] || == 참여진 == === 퀸 === * [[프레디 머큐리]] - [[Bohemian Rhapsody]] 오페라 파트 목소리, 본공연 이전 음성출연[* 영문으로는 Various interactions with audiences라고 하는데, 프레디가 생전 라이브 공연에서 하던 그 "에-오"의 녹음본을 라이브 공연에서 튼 것이다.] * [[브라이언 메이]] - 기타, 배킹 보컬, 키보드[* Too Much Love Will Kill You, Who Wants to Live Forever], 리드 보컬[* [[Tie Your Mother Down]](1절)]. * [[로저 테일러]] - 드럼, 배킹 보컬, 탬버린[* [['39]]], 공동 리드 보컬[* Tie Your Mother Down, [[Under Pressure]]] * [[존 디콘]] - 베이스, 배킹 보컬 === 게스트 연주자 === * [[슬래시(기타리스트)|슬래시]]([[건즈 앤 로지스]]) - [[Tie Your Mother Down]] * [[토니 아이오미]]([[블랙 사바스(밴드)|블랙 사바스]]) - [[Heaven and Hell]], [[Pinball Wizard]], [[I Want It All]], [[Hammer to Fall]], [[Stone Cold Crazy]], [[The Show Must Go On]] * 이안 헌터(모트 더 후플) - All the young dudes[* 기타 연주 및 리드 보컬] * [[데이비드 보위]] - All the young dudes, [[Under Pressure]][* 색소폰 연주 및 배킹 보컬. Heroes에서는 리드 보컬, [[Under Pressure]]에서는 [[애니 레녹스]]와 공동 리드 보컬] * 믹 론슨(데이비드 보위 밴드, 모트 더 후플) - All the young dudes, [["Heroes"(노래)|"Heroes"]][* 둘 모두 기타 연주] * [[엘튼 존]] - [[Bohemian Rhapsody]] 피아노 연주 * 조 엘리엇(데프 레파드) - All the young dudes[* 백 보컬] * 필 콜렌 - All the young dudes[* 백 보컬] === 세션 === 스파이크 에드니 - 키보드, 피아노, 백킹 보컬 마이크 모란 - Who Wants to Live Forever, [[Somebody to Love(퀸)|Somebody to Love]] 피아노 조시 맥크리 - 퍼커션 크리스 톰슨 - I Want It All, [[Crazy Little Thing Called Love]], Heroes 어쿠스틱 기타, 퍼커션, 백 보컬 매기 라이더, 미리암 스톡리 - 백 보컬 런던 시민 가스펠 합창단 - [[Somebody to Love(퀸)|Somebody to Love]], [[We Are the Champions]] 백 보컬 존 존스 - [[We Are the Champions]] 오르간, 백 보컬 [[분류:퀸(밴드)]][[분류:1992년 콘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