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1923년|{{{#fff 1923년}}}]] [[노벨생리의학상|{{{#fff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20]] || ||<-5>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fff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 || 1922년 ||<|2> → || 1923년 ||<|2> → || 1924년 || || 아치볼드 비비언 힐[* 근육의 열 생산 연구.][br]오토 프리츠 마이어호프[* 근육의 젖산대사와 산소 소비의 관계 연구.] || '''프레더릭 그랜트 밴팅'''[br]존 제임스 리카드 매클라우드 || 빌럼 에인트호번[* [[심전도]]의 기작 발견.] || [include(틀:대영제국 훈장(기사작위 수훈자들-남자))] ||<-2> '''KBE MC FRS FRSC[br]{{{+1 프레더릭 벤팅}}}[br]Sir Frederick Bant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ettyimages-2636819-e1479126803548.jpg|width=100%]]}}} || || '''본명''' ||프레더릭 그랜트 벤팅[br]Frederick Grant Banting|| ||<|2> '''출생''' ||[[1891년]] [[11월 14일]]||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주]] 앨리스턴|| ||<|2> '''사망''' ||[[1941년]] [[2월 21일]] (향년 49세)|| ||[[뉴펀들랜드 자치령]] 머스그레이브 하버|| || '''국적'''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width=27]] [[캐나다]]|| || '''직업''' ||의학자, 의사|| ||<|2> '''학력''' ||[[토론토 대학교]] {{{-2 (의학박사)}}}|| ||[[빅토리아 대학교]]|| || '''수상''' ||노벨 생리의학상 {{{-2 (1923)}}}[br]에든버러 대학교의 치료학 부분 카메론상 {{{-2 (1927)}}}[br]플라벨 메달 {{{-2 (1931)}}}[br]밀리터리 크로스|| || '''배우자''' ||마리아 로버트슨 ^^(1924년 – 1932년, 이혼)^^[br]헨리에타 벨 ^^(1937년 결혼)^^|| || '''자녀''' ||윌리엄 벤팅|| || '''종교''' ||[[개신교]][* "[[https://www.nndb.com/people/843/000126465/|Frederick G. Banting]]", nndb.com]|| || '''서명''' ||[[파일:Frederick_Banting_Signature.svg|width=200&bgcolor=#fff]]|| ||<-2> '''군인 경력''' || ||<|2> '''복무''' ||왕립 캐나다 육군 의무부대|| ||1916년 – 1918년|| || '''계급''' ||[[대위]]|| ||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나다]]의 가장 대표적인 의학자이자 의사이다. [[당뇨병]] 치료에 사용하는 [[인슐린]]을 발견한 공로로 존 제임스 리카드 매클라우드와 함께 1923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생애 == 캐나다 [[온타리오주]] 앨리스턴(Alliston)에서 태어나 [[토론토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1916년에 대학을 졸업하고 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해 캐나다군의 의료 부대에서 복무했다. 전쟁 후 정형외학 공부를 끝내고 캐나다 토론토 아픈 아이들을 위한 병원(Hospital for Sick Children)에서 일했다. 이후 밴팅은 온타리오 주 런던에 [[웨스턴 대학교]]에서 개인 실험을 시작했다. 몇 년 뒤 토론토로 이사하여, 1921년 5월 17일 토론토 대학교 의학과의 연구 단원으로 들어갔다. 1920년 벤팅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이 분비하는 물질이 당뇨병과 관계있을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읽었다. 여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벤팅은 당뇨병에 관한 연구를 하고 싶었지만 연구실을 얻기가 어려웠다. 그러던 중 모교 토론토 대학의 매클라우드 교수가 벤팅에게 연구실과 실험에 필요한 개 10마리를 제공해주고, 자신의 대학원생이었던 찰스 베스트에게 벤팅을 돕도록 하였다. 1921년 벤팅은 조교 찰스 베스트와 함께 [[당뇨병]] 연구를 시작했다. 둘은 실험을 통해 몇 달 만에 인슐린을 발견했다. 췌장을 묶어서 당뇨로 죽어가던 개가 인슐린을 주사하자 일어나서 실험실을 뛰어다녔다. 당뇨병은 오랜 기간 세계 최고의 의학자들도 해결하지 못한 난제였다. 이 어려운 일을 젊은 벤팅이 단 몇 달 만에 성공해버린 것이다. 매클라우드 교수가 생화학자 제임스 콜립을 소개해주었고 벤팅은 거의 순수한 인슐린을 분리하였다. 1922년 당뇨로 죽음이 눈 앞에 가까웠던 14살 소년 레너드 톰슨(Leonard Thompson)이 처음으로 인슐린 주사를 맞고 몇 주 만에 건강을 회복하였다. [[1형 당뇨병|1형 당뇨]]로 인한 케톤산혈증으로 침대에 가만히 누워 죽기를 기다리던 어린이들이 인슐린으로 치료 받으면 눈을 뜨고 말을 했다. 인슐린은 기적의 약이었다. 벤팅은 더 기다릴 것 없이 19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만 32세의 나이로 현재까지 최연소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이다. 벤팅은 매클라우드 교수와 노벨상을 공동 수상했는데 이것에 엄청난 불만이 있었다. 매클라우드 교수가 인슐린 발견에 기여한 것은 연구실을 빌려준 것까지이지 공동 수상을 할 정도의 기여는 전혀 아니라고 생각했다. 벤팅이 이전부터 학계가 인슐린 발견에서 경력이 적은 자신보다 매클라우드 교수의 역할을 과장하고 있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벤팅은 자신이 발견한 물질을 아일레틴(isletin)이라고 불렀는데, 학계는 아일레틴을 더 순도 높게 정제한 후 매클라우드 교수가 제안한 인슐린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 벤팅은 매클라우드가 아닌 자신의 조교 찰스 베스트와 노벨상을 공동 수상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서 노벨상 거부를 고민했지만 당시 캐나다 국민들이 캐나다 최초 노벨상 수상에 들떠있었기 때문에 노벨상을 거부하지 못했다. 노벨상 상금의 절반을 찰스 베스트에게 주었다. 당대에 권위있는 의학자였던 매클라우드 교수도 자신과 공동 연구를 통해 벤팅이 인슐린을 발견할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벤팅의 노벨상 거부 분위기에 불만이 있었다. 매클라우드 교수도 인슐린 정제에 참여한 콜립과 상금을 나누었다. 밴팅은 당뇨병 환자들을 위해 단돈 1달러 50센트에 인슐린을 토론토 대학에 팔았다. 1923년부터 1929년까지 밴팅은 밴팅과 베스트 의학 연구 부서(Banting and Best Department of Medical Research)의 학장으로 지냈고 암, 규폐증, 그리고 납 중독에 관한 연구를 계속했다. 1934년, 밴팅은 조지 5세로부터 대영 제국 훈장 2등급(KBE, 작위급 훈장)을 받았다. 1941년 제2차 세계대전에 지원 출정하였다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였다. == 기타 == 프레데릭 밴팅상은 캐나다에서 가장 권위있는 의학상 중 하나다. 2004년 밴팅은 캐나다 방송(CBC)이 캐나다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역대 위대한 캐나다 인물"(The Greatest Canadian)에서 5위에 올랐다.[[http://web.archive.org/web/20041027034506/http://www.cbc.ca/greatest/standings/|참조]] 현재는 순위가 갱신되었다. 프레더릭 밴팅의 이름을 따서 설립한 프레더릭 밴팅 (Sir Frederick Banting Secondary School) 이라는 학교가 캐나다 온타리오 주 런던에 위치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벤팅 경의 생일인 매년 [[11월 14일]]을 세계 당뇨인의 날로 지정하였다. 찰스 베스트의 이름을 따서 설립한 찰스베스트 (Dr.Charles Best secondary school) 라는 학교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코퀴틀람에 위치하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영제국 훈장(기사작위 수훈자들-남자))] [include(틀:위대한 캐나다인)] [[분류:1891년 출생]][[분류:1941년 사망]][[분류:온타리오주 출신 인물]][[분류:토론토 대학교 출신]][[분류:영국의 기사]][[분류:대영제국 훈장 남성 2등급]][[분류: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분류:캐나다의 과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