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파키케팔로사우루스아과]] ||<-2><#F60> '''{{{#FFF {{{+1 프레노케팔레}}}[br]Prenocepha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enocephale-prenes-Maryanska-and-Osmolska-1974-Z-Pal-No-MgD-I-104-holotype.png|width=100%]]}}} || ||<#F93> '''학명''' || ''' ''Prenocephale prenes'' '''[br]Maryńska & Osmólska, 1974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각각아목^^Cerapo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하목'''}}}]] ||†후두하목^^Pachycephalosaur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Pachycephalosau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프레노케팔레속^^''Prenocephale''^^'''||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프레노케팔레 프레네스(''P. prenes'')^^{{{-1 [[모식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_11924_1e-Prenocephale-prenes.jpg |width=1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의 몽골에서 살았던 후두류 공룡. 속명의 뜻은 '경사진 머리'. == 연구사 == 몸길이 2.2m에 체중은 40kg 정도로 일반적인 후두류 공룡과 비슷한 체급을 지녔다고 여겨진다. 프레노케팔레의 전상악치와 주둥이는 근연속인 [[스테고케라스]]의 것만큼 넓지 않은데, 이는 프레노케팔레의 섭식 범위가 스테고케라스보다 더 제한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때문에 이 공룡은 주로 잎과 과일, 그리고 아마도 곤충을 먹고 살았던 초식 위주의 잡식동물이었을 것이다. 참고로 2023년에 [[https://twitter.com/DoubleBeam/status/1705147186982646100|모식표본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측되는 하악골(아래턱)의 일부]]가 발견되어 이 공룡의 치아 구조가 더 자세히 알려질 것으로 전망된다. 프레노케팔레가 발견된 [[네메겟층]]은 당시 오늘날의 건조한 사막이 아니라, 고지대에 평균 기온이 8도 정도로 낮았던 삼림 환경이었다. 근연종인 [[호말로케팔레]]와도 공존했으며, 몸집이 작은 공룡인 만큼 [[보로고비아]], [[알리오라무스]] 등 주로 중소형 육식동물들의 먹이가 되었을 것이다. == 대중매체 == [[디스커버리 채널]]의 공룡 다큐멘터리 [[공룡혹성]]에 처음 출연하였는데, 여기서는 작독하층의 고생물들과 함께 출연하여 생존 시기가 어긋난다. 다만 네메겟층과 작독하층의 시기에 큰 차이가 없다는 의견도 있기에 단순히 오류라고 보기에는 애매하다. 에피소드 1에서 '화이트 팁'이라는 이름의 [[벨로키랍토르]]가 이 공룡들을 노리지만, 박치기를 한 방 맞고 쫓겨난다. 이후 화이트 팁이 새로운 무리에 합류하고, 해당 무리의 기존 리더가 쫓겨난 후 이 공룡들을 노리게 되는데, 결국 다굴로 얻어맞아 죽게 된다. 이후 같은 방송사에서 방영된 [[Dinosaur Revolution]]에 출연할 예정이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무산된 이후 에피소드 4의 작은 후두류의 모델링으로 [[팔레트 스왑]]되어 출연하는데, 해당 공룡이 [[스파이로톨루스]] 또는 근연 관계의 플라티톨루스(''Platytholus'')의 화석을 바탕으로 넣은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BBC]]의 공룡 다큐멘터리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시즌 2에선 [[네메그토사우루스]]와 거대한 티타노사우리아 공룡들의 무리에 끼어서 이동하는데, 아마도 안전을 위해서 일부러 거대한 초식공룡들과 동행하기로 한 듯하다. 극 중 타르보사우루스가 용각류 무리를 혼란에 빠뜨리자 이들은 재빨리 협곡 위로 올라가는데, 위에선 벨로키랍토르아과 공룡들이 대기하고 있었다. 결국 한 마리가 무리 사냥에 의해 절벽에서 떨어지고, 벨로키랍토르아과 가족이 사체를 포식한다. 이후 다른 무리가 물가에서 물을 마시며 [[타르키아]]에게 시비를 거는 모습이 나오는데, 타르키아가 바닥에 꼬리를 내려치자 놀라서 도망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