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휴고상 최우수 장편상 수상작)] ||<-2> {{{+2 '''프랭크 허버트'''}}}[br]'''Frank Herber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랭크 허버트.jpg|width=100%]]}}} || || '''본명''' ||프랭크 패트릭 허버트[br]Frank Patrick Herbert || ||<|2> '''출생''' ||[[1920년]] [[10월 8일]] || ||[[미국]] [[워싱턴주]] [[타코마]] || ||<|2> '''사망''' ||[[1986년]] [[2월 11일]] (항년 65세) || ||미국 위스콘신 UW 헐스 유니버시티 병원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배우자''' ||비벌리 앤 스튜어트 ^^(1946년 ~ 1984년)^^[br]테레사 샤클포드 ^^(1985년 ~ 1986년)^^ || || '''자녀''' ||장남 브라이언 허버트 ^^(1947년 ~ 현재)^^[br]차남 브루스 캘빈 허버트 ^^(1951년 ~ 1993년)^^[br]장녀 페니 허버트 ^^(1942년 ~ 현재)^^ || || '''학력''' ||[[워싱턴 대학교]] {{{-2 (1945년 ~ 1946년)}}} || || '''직업''' ||[[기자]], [[작가]] || || '''활동''' ||1945년 ~ 1986년 || || '''장르''' ||[[SF|대하 SF]] || || '''서명''' ||[[파일:프랭크 허버트 (싸인).png|width=150&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SF]]소설 작가. 역사상 최고의 대하 SF시리즈 중 하나인 [[듄 시리즈]]의 작가다. '대하 SF'라고 하는 이유는 듄은 단순하게 SF뿐만이 아니라 [[인류]]의 삶과 [[철학]], [[정치]], [[종교]] 등에 대한 이야기까지 거의 모든 것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SF 작가인 [[아서 클라크]]는 "듄에 견줄 작품은 [[반지의 제왕]]밖에 없다" 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 생애 == 1920년 [[미국]] [[워싱턴주]]의 [[타코마]]에서 태어났다. 1939년에는 신문사에 취직해 기자로 일했으며, [[2차 세계대전]]에도 참전했는데 보직은 [[해군]] 사진사였다고 한다. 전후 [[워싱턴 대학교]]에 진학했으며 1년 뒤인 1946년에 학교에서 만난 클래스메이트와 결혼, 또 1년 뒤에는 아들 브라이언 허버트를 얻었다. 대학교에 다니던 당시 허버트는 그다지 졸업에 관심을 보이지 않아서 결국 졸업장은 따지 못했다고 한다. 대학에서 떠난 이후 다시 신문사로 돌아가 40대가 될 때까지 기자 일을 했다.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로 결심한 40대에 들어서부터 1950년대 SF소설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서적들을 읽기 시작했으며, 몇몇 단편소설들을 잡지에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10년 동안 약 20편 정도의 단편을 썼다. 1955년에 '[[바다의 용]](The Dragon in the Sea)' 이라는 첫 장편을 썼지만, 좋은 평가를 받은 것에 무색하게 상업적인 성공은 거두지 못하였다. == 듄의 탄생 == 첫 장편을 출간하고 4년후인 1959년 드디어 후세에 대표작으로 불릴 '듄'을 쓰기 위한 자료수집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아내가 새로운 일자리를 구해 본인은 잠깐 일을 쉴 수 있었다고 한다. 사실 듄은 오리건 주 사막에 관련된 기사를 쓰려고 사막을 돌아다니다가 아이디어를 떠올렸다고 한다. 자료수집을 하다 보니까 너무 양이 많아져서 결국 이 기사는 쓰지도 못했지만 이게 듄을 쓸 때 좋은 참고자료가 되었다고. 이후 6년간의 자료수집과 구상, 조사등을 통해 드디어 1965년 듄이 나왔다. 처음에는 잡지에 연재하기 시작했는데, 분량이 너무 길었기 때문에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연재가 되었다. 그리고 곧 이걸 출판해줄 출판사를 찾아다녔지만 약 20군데의 출판사에서 듄의 출간을 거절했다고 한다. 이때 한 출판사 담당자는 거절을 하면서 "'''나는 이번 10년간 가장 큰 실수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고,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듄은 연재된 1965년에 '''바로''' [[네뷸러상]] 수상, 1년뒤 66년에 [[휴고상]] 수상을 하며 20세기 최고의 SF소설 타이틀을 거머쥐었고 이는 기존의 SF와는 달리 '대하적인 요소들이 가미된 SF소설'이라는 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다만 돈은 그다지 벌지 못해서 68년까지 허버트가 듄으로 얻은 수익은 인세 2만달러 가량. 당시 SF소설중에서는 최고이긴 했어도 이정도로 허버트가 일 관두고 SF만 쓰고 살기에는 무리가 있어서 결국 듄 출간 이후에도 몇몇 부업을 해야 했다. 결국 1972년에 와서야 듄으로 먹고살만한 기반을 마련했으며 80년대에는 충분히 상업적 성공을 거두게 된다. 듄 시리즈의 후속작도 연달아서 발표. 1984년 듄의 [[영화]]화에 힘입어 새로운 시리즈가 나왔고 86년에 마지막 시리즈인 '듄의 신전'을 발표했다. 그리고 1986년 2월 11일 [[췌장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65세. == 사후 == 허버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듄 시리즈의 남은 부분과 설정만 존재하는 부분([[버틀레리안 지하드]] 등)은 독자들에게 영영 미스테리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허버트는 생전에 아이디어에 대해 이것저것 메모를 하는 습관이 있었기 때문에 사후 많은 양의 메모들이 발견되었고, 아들 브라이언이 이 메모를 바탕으로 해서 듄의 신전 이후 듄 시리즈의 후속작을 냈다. 근데 브라이언이 쓴 듄 시리즈는 기존과의 설정충돌이나 괴리감 등 면에서 매우 실망적이라는 혹평이 대부분이다. 아예 본편으로 취급하지 않고 외전으로 취급할 정도다. 한국에서 정식으로 내던 [[황금가지]]판도 허버트가 쓰던 부분까지만 계약하고 브라이언이 쓴 부분부턴 계약하지도 않았을 정도이다. == 사상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BEWM7zIIF9c)]}}} || 듄 관련해서 했던 인터뷰에선 "지도자들의 실수는 그를 [[광신도|맹목적으로 따르는 자]]들에 의해 극대화된다"고 얘기했다. [[카리스마]]있는 지도자가 만들어낸 권력 구조는 타락한 자들에게 탈취당하고 이로 인해 [[재앙]]이 더 커진다고 설명했는데, 실제로 듄 1부에선 미래를 본 폴이 프레멘들이 자신을 [[신격화|숭배]]함으로 인해 전 우주가 도탄에 빠지게 되는 것을 보고 당황하는 장면이 있으며 이후엔 정의로운 아트레이데스 가문마저도 그전의 하코넨이나 코리노같은 [[폭군]] 취급을 받게 되는 묘사가 있다. 프랭크가 구상했던 엔딩 또한 제정이 무너지고 전 우주에 [[민주주의]]가 뿌려내서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들의 영향력이 약해지는 것이었다. '''[[초인]]들은 인류에게 [[재앙]]'''이라고 보는 시각을 듄으로 표현하려고 했다고 한다. == 그외 작품들 == 듄으로 유명하지만, 이외에도 많은 작품들을 집필했다. 작가의 특징으로 작품들마다 철학, 종교등의 사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작품 중 하나인 The Jesus Incident는 [[번지]]의 [[마라톤 트릴로지]]와 [[헤일로 시리즈]]의 모티브가 되었다. [[분류:SF 작가]] [[분류:미국 남성 작가]] [[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 [[분류:1920년 출생]] [[분류:1986년 사망]] [[분류:타코마 출신 인물]][[분류:듄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