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초콜릿]][[분류:벨기에 요리]] [include(틀:유로피안 디저트)] ||<#FF99CC> {{{+2 '''{{{#663300 프랄린}}}'''}}} [br] {{{#663300 Praline^^[[프랑스어|프]]^^ | Filled chocolate}}}^^[[영어|영]]^^ ||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lumdimsum.com/Screen-shot-2012-08-24-at-5.40.32-PM-700x296.png|width=100%]]}}} || [목차] == 초콜릿 == [[벨기에]]의 [[초콜릿]] 요리. 초콜릿의 명가로 인정받고 있는 벨기에의 [[노이하우스]]에서 [[헤이즐넛]] 가루에 초콜릿 쉘을 입힌 것이 시초이다. 이후 의미가 확장되어 여러가지 종류의 속재료에 쉘 초콜릿을 씌운 한입 크기의 초콜릿을 통칭하는 말이 되었다. [[술]]이 들어간 초콜릿 종류는 거의 다 여기에 속한다고 보면 된다. == 명칭 == 프랑스에는 철자만 같은 디저트로 [[프랄린(프랑스 요리)|프랄린]]이 있는데, 이쪽은 아몬드 등의 견과류에 캐러멜을 입힌 것으로, 어원도 초콜릿 프랄린과는 완전히 다르다. 영어권에서는 이 초콜릿을 필드 초콜릿(Filled chocolate)이나 특히 동그란 모양의 경우 [[트러플(초콜릿)|트러플]](Truffle)이나 [[초콜릿 봉봉]](Chocolate Bonbon)이라고 부르며, 프랄린은 초콜릿 프랄린이 아닌 [[프랄린(프랑스 요리)|프랑스 요리 프랄린]]에서 변형된 미국식 프랄린을 가리킨다. 트러플은 본래 크림이 들어간 초콜릿을 가루 등에 굴린 프랑스 요리이며, 초콜릿 프랄린과는 제조법은 비슷하지만 다른 요리이다. 또한 'Bonbon au chocolat'은 프랑스어로 초콜릿 프랄린 뿐만 아니라 모든 한 입 크기의 초콜릿을 통틀어서 이르는 말이다.[* 영어권에서는 대신 '펀사이즈(Fun size chocolate)'나 '미니스(Minis chocolate)'라는 용어를 쓴다.] 그러나 영어권에서는 프랄린이든 트러플이든 속재료를 채운 한 입 크기의 초콜릿은 모두 필드 초콜릿이나 트러플, 초콜릿 봉봉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렇게 프랄린을 비롯하여 한 입 크기의 초콜릿을 모아놓은 상자 등을 영어로는 'Assorted chocolates', 'Chocolate assortment', 'Chocolate box' 등으로 부른다. 프랑스어권에서는 [[봉봉 쇼콜라]]라고도 한다. [[봉봉]]은 프랑스어로 '사탕'이고 [[봉봉 쇼콜라]]는 말 그대로 '초콜릿 사탕'으로, 프랄린 뿐만 아니라 모든 한 입 크기의 초콜릿을 통칭하는 말이다. 즉 프랄린은 봉봉 쇼콜라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 종류 == * '''[[술 초콜릿]]'''[* 이 문서의 핵심내용.] * [[캐러멜]] 트러플 - 캐러멜이 들어간 트러플 * 스플리터 트러플: 분쇄 아몬드, 분쇄 초콜릿 등의 재료가 들어간 초콜릿으로, 주로 [[페레로 로쉐]]를 위시한 초콜릿이 여기에 해당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초콜릿, version=504)][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초콜릿의 종류, version=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