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란시스코 리리아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네소타 트윈스 개막전 선발 투수)] ---- [include(틀:피츠버그 파이리츠 개막전 선발 투수)] ----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우승 엠블럼 V1.sv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17년 월드 시리즈|{{{#eb6e1f 2017}}}]]''' || ---- ||
[[파일:2006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06년|{{{#ffffff 2006}}}]]'''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10년 아메리칸 리그 올해의 재기상}}}''' || || [[애런 힐]][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미네소타 트윈스]])''' || → || [[자코비 엘스버리]][br]([[보스턴 레드삭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3년 메이저 리그 올해의 재기상}}}''' || || [[버스터 포지]][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 케이시 맥게히[br]([[마이애미 말린스]]) || ---- ||<-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47번}}}''' || || 코리 코스키[br](1998~2004) || {{{+1 →}}} || '''{{{#FFFFFF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2005~2012)}}}''' || {{{+1 →}}} || [[리키 놀라스코]][br](2014~2016) || ||<-5> '''{{{#FFFFFF [[시카고 화이트삭스|{{{#FFFFFF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58번}}}''' || || 페드로 에르난데스[br](2012) || {{{+1 →}}}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2012)''' || {{{+1 →}}} || [[지오바니 소토]][br](2015) || ||<#000000><-5> '''{{{#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47번}}}''' || || [[에반 믹]][br](2009~2012) || {{{+1 →}}}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2013~2016)''' || {{{+1 →}}} || [[조쉬 린드블럼]][br](2017)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45번}}}''' || || [[드류 스토렌]][br](2016) || {{{+1 →}}} || '''{{{#FFFFFF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2016~2017)}}}''' || {{{+1 →}}} || 크리스 로울리[br](2017)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35번}}}''' || || [[테오스카 에르난데스]][br](2016~2017) || {{{+1 →}}}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2017)''' || {{{+1 →}}} || [[저스틴 벌랜더]][br](2017~2022)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6번}}}''' || || 아수르 톨리버[br](2017) || {{{+1 →}}}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2017)''' || {{{+1 →}}} || 제프 알버트[br](2018) || ||<-5><#182D55>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38번}}}''' || || [[저스틴 윌슨]][br](2016~2017) || {{{+1 →}}} || '''{{{#FFFFFF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2018)}}}''' || {{{+1 →}}} || [[타이슨 로스]][br](2019) || ||<#000000><-5> '''{{{#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47번}}}''' || || [[조던 루플로]][br](2017~2018) || {{{+1 →}}}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br](2019)''' || {{{+1 →}}} || 결번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04129.jpg|width=100%]]}}} || ||<-2> '''{{{+2 프란시스코 리리아노 }}} [br] Francisco Liriano''' || || '''본명''' ||프란시스코 리리아노 이 카시야스 [br] Francisco Liriano y Casillas || ||<|2> '''출생''' ||[[1983년]] [[10월 26일]] ([age(1983-10-26)]세) || ||[[도미니카 공화국]] 산크리스토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 || '''신체''' ||190cm / 98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00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 '''소속 팀''' ||'''[[미네소타 트윈스]] (2005~2012)''' [br]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2) [br] '''[[피츠버그 파이리츠]] (2013~2016)''' [br]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6~2017) [br]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7) [br]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8) [br] [[피츠버그 파이리츠]] (2019) || || '''기록''' ||'''Pitched a No-Hitter (2011.5.3)'''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했던 투수로, 95마일의 패스트볼과 날카로운 슬라이더를 던지는 미래의 기대주였지만 토미 존 서저리 후유증으로 인해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한 선수다. == 선수 경력 == === 마이너 시절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2000년 아마추어 선수 자유 계약으로 팀에 입단했다. 처음으로 주목을 크게 받게 된 것은 트레이드 때문이었는데, 당시 포수걱정을 가지고 있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전도유망한 포수였던 [[A.J. 피어진스키]]를 영입하는 과정에서 내준 선수가 [[조 네이선]], 부프 본저와 리리아노였다. 이 트레이드는 다들 알다시피 피어진스키가 이후 메이저리그 최고의 악동이 되는 과정에서 샌프란시스코의 팀 캐미스트리를 박살내버린데 비해, 조 네이선은 최고의 마무리가 되었고, 부프 본저도 최고 유망주였던것 치고 터지지는 못했지만 선발 로테이션을 어느정도 지키기는 했다. 리리아노도 마이너 과정을 착착 거쳐가며 좋은 실력을 드러냈고, 2005년에는 더블 A와 트리플 A를 합하여 마이너에서 27경기 167⅔이닝 12승 7패 ERA 2.63 204탈삼진을 기록하며 BA 랭킹 8위에 오를 정도로 주목을 받았다. 2006년 베이스볼 아메리카 유망주 순위에서는 6위였다. 비슷한 수준의 (역대) 톱급 유망주들의 성적은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를 참조. === [[미네소타 트윈스]] === 이런 활약에 힘입어 9월 확장 로스터에 등록된뒤, 9월 5일 [[텍사스 레인저스]]를 상대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고, 9월 30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메이저 데뷔 첫 승을 수확하게 된다. 데뷔한 2005년에는 6경기 23⅔이닝 1승 2패 ERA 5.70에 그쳤지만, K/9가 12가 넘어가며 다음시즌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2006년에는 불펜에서 시즌을 시작했지만 곧 선발로테이션에 합류하게 되었고, 90마일 중반대에 형성되는 속구와 슬라이더와 체인지업으로 뛰어난 모습을 보이며 센세이셔널한 활약을 펼치게 된다. 이 달의 신인에 6, 7월 연속으로 뽑히고, 올스타전에도 나갔으며, 시즌 중간에는 ERA가 1점대에 육박하는등, 낮은 탈삼진율과 K/9가 9를 넘어가는 활약을 하며 팀의 상승세에 큰 기여를 하며 제 2의 [[요한 산타나]]라는 칭송까지 받게된다. 그러나 2006년 9월 13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전에서 팔꿈치에 이상을 느끼고 마운드를 내려왔다. 2006년에는 28경기 121이닝 12승 3패 ERA 2.18 144탈삼진이라는 좋은 활약을 펼쳤으나 아쉽게 이 경기를 끝으로 시즌아웃 판정을 받는다. 그러나 재활하다 결국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어 1년이라는 시간을 허비하게 되었고, 이후 돌아온 리리아노는 2006년의 리리아노가 아니었다. 2008년 초반에는 먼지나게 털리고 시즌 중반 이후 돌아와서 나쁘지 않은 활약을 펼쳤으나, 2009년에는 다시 좋지 않은 피칭을 펼쳤다. 이유는 토미 존 서저리 이후 평균 94마일을 뿌리던 패스트볼이 90마일로 하락한 것과 제구 불안이 꼽혔다. 2010년 다시 구위가 상승하며 14승 10패로 미네소타의 지구 우승에 힘을 보태며 부활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포심의 구속이 다시 상승하며 200탈삼진을 넘기는 구위를 과시했고, 타깃 필드의 버프와 제구력이 개선되며 피홈런이 줄어들었던 것이 한 몫을 했다. 이 활약을 바탕으로 올해의 재기상을 수상하며 다시 좋은 모습으로 팬들은 선발진에 힘이 되기를 바랬지만 2011년 도로아미타불이 되어버리며 다시 패망했다. 다시 제구가 불안해지며 나쁜 모습을 보이며 좋지 않은 피칭을 펼쳤다. 5월 3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경기에서 노히터를 기록했지만 좋은 기억은 이걸로 끝이었다.[* 이 노히터는 6볼넷 2탈삼진이라는 거의 천운 수준의 피칭으로 기록한 것이었다.] 2012년에도 별반 다를 것이 없자 미네소타는 리리아노를 포기하고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트레이드하게 된다. === [[시카고 화이트삭스]] === 2006년과 2010년의 폭발적인 구위로 타자를 잡던 모습을 기대하며 영입했으나, 이 영입은 하던 안하던 별로 팀에 도움이 안되는 영입으로 판명이 나고 말았다. 11번의 선발 등판에서 팀이 기대하던 모습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다시 털리던 그 모습으로 되돌아갔다. === [[피츠버그 파이리츠]] === 결국 [[시카고 화이트삭스]]는 그와 계약을 하지 않았고, 피츠버그는 선발진의 보강을 위해 그의 탈삼진 수치가 증가한 것을 긍정적인 요소로 삼으며 2년간 1275만달러의 계약으로 영입하려 했으나, 크리스마스에 아이들을 놀래 주려다 부상을 당하는 어이없는 부상을 당하며 1년 100만 달러 계약으로 후려치는 계약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대신 부상자 명단에 가지 않고 150일 이상 로스터에 있으면 다음 해 팀 옵션으로 800만 달러를 얻는 계약을 하게 되었다. 5월 중순 합류해 순식간의 팀의 1, 2선발을 다투는 맹활약을 하며 16승 8패 ERA 3.02라는 성적으로 시즌을 마치게 된다. 다시 포심의 위력이 강해지고, 제구력에서 지적받던 것을 이번에는 투구폼을 밟는 방법을 조금씩 바꿔가며 제구문제를 개선시키는데 노력했으며 이는 커리어하이 수준의 피홈런 허용률을 자랑하며 다시 리리아노가 재기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홈에서는 [[류현진]] 보다 더 강한 모습을 보였는데, 무려 홈에서 11경기동안 8승 1패에 1.47이라는 경이로운 방어율을 보였다. 결국 NL 올해의 재기상을 수상했다. 이렇게 2번째 재기상 수상에 성공하였고, 양대 리그 재기상 수상이라는 희귀한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그러나 2014년에는 팀 타선이 다시 물빠따가 되었고, 자신도 다시 구속하락이 오는 모습을 보이며 작년보다 좋지 않은 모습이다. 그래도 하반기 들어서 성적을 끌어올리며 7승 10패 ERA 3.38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FA 자격을 얻어 다른 팀으로 옮기는가 했지만 결국 피츠버그가 다시 재계약했다. 3년 39M. 2016년에는 최악의 볼질을 하면서 삽을 푸다가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이적이 결정되었다.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휴스턴 애스트로스]] === 트레이드 데드라인을 앞두고 불펜 보강을 위한 영입이 결정되었다.[* 트레이드 상대는 [[아오키 노리치카]]와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였다.] 큰 활약을 보여주지는 않았지만 포스트 시즌 로스터에도 합류한 덕분에 월드 시리즈 첫 우승 반지를 얻었다.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 이후 디트로이트 타이거즈와 1년 400만 달러 계약을 했고, 8월 30일 [[뉴욕 양키스]]와의 경기에서 [[지안카를로 스탠튼]]의 300호 피홈런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지만 시즌 내내 선발 로테이션을 지키면서 최종 성적 27경기 133⅔이닝 5승 12패 ERA 4.58 110탈삼진이라는 평범한 활약을 보여줬다. === [[피츠버그 파이리츠]] 2기 ===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1년 마이너 계약을 체결했는데, 인센티브 150만 달러 별도에 메이저 로스터 등재 시 180만 달러를 받는 계약이였다. 그리고 시즌 개막 로스터에 등재되었다. 데뷔 이래 선발 투수 역할을 맡다 중간계투로 전환해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 2019년 이후 === 2020년에는 필라델피아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지만 메이저 등판 없이 방출당했고 2021년엔 토론토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지만 역시 메이저 입성에는 실패했다. == 은퇴 == 결국 2022년 1월 17일 공식 성명을 통해 은퇴를 선언했다. == 피칭 스타일 ==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93마일대로, 포심과 투심을 던진다. 수술 이후 떨어진 구속도 제법 강속구이지만 커맨드가 좋지 않아 그리 위력적이진 않다. 이 선수의 최고의 무기는 슬라이더로 리그 최고의 슬라이더 중 하나로 꼽히며, 특히 좌타자 상대로 홈플레이트로 꺾여 들어오는 프론트 도어성 슬라이더는 거의 손도 못 댈 수준이다. 덕분에 좌타 상대 성적이 우타자 상대 성적에 비해 월등하고, 우타자 상대 결정구로는 체인지업을 자주 던진다. 단점으로 투구폼이 뭔가 뻣뻣하고 자연스럽지 못한 느낌이 있는데 그 탓인지 고질적인 제구력 문제를 갖고 있다.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17년 월드 시리즈|2017]]) * 올스타 (2006) == 연도별 성적 == ||<-18>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05 ||<|7> [[미네소타 트윈스|MIN]] || 6 || 1 || 2 || 0 || 0 || 23⅔ || 5.70 || 19 || 4 || 7 || 0 || 33 || 1.099 || 79 || 0.5 || 0.0 || || 2006 || 28 || 12 || 3 || 1 || 1 || 121 || 2.16 || 89 || 9 || 32 || 1 || 144 || 1.000 || 208 || 3.7 || 4.6 || || 2008 || 14 || 6 || 4 || 0 || 0 || 76 || 3.91 || 74 || 7 || 32 || 1 || 67 || 1.395 || 108 || 1.4 || 0.5 || || 2009 || 29 || 5 || 13 || 0 || 0 || 136⅔ || 5.80 || 147 || 21 || 65 || 6 || 122 || 1.551 || 76 || 0.6 || -0.3 || || 2010 || 31 || 14 || 10 || 0 || 0 || 191⅔ || 3.62 || 184 || 9 || 58 || 10 || 201 || 1.263 || 112 || 5.6 || 4.2 || || 2011 || 26 || 9 || 10 || 0 || 0 || 134⅓ || 5.09 || 125 || 14 || 75 || 7 || 112 || 1.489 || 80 || 0.7 || 0.7 || || 2012 || 22 || 3 || 10 || 0 || 1 || 100 || 5.31 || 89 || 12 || 55 || 4 || 109 || 1.440 || 77 || 0.9 || -0.3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2 || [[시카고 화이트삭스|CHW]] || 12 || 3 || 2 || 0 || 0 || 56⅔ || 5.40 || 54 || 7 || 32 || 3 || 58 || 1.518 || 79 || 0.5 || 0.2 || ||<-2> 2012 시즌 합계 || 34 || 6 || 12 || 0 || 1 || 156⅔ || 5.34 || 143 || 19 || 87 || 7 || 167 || 1.468 || 78 || 1.4 || -0.1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3 ||<|4> [[피츠버그 파이리츠|PIT]] || 26 || 16 || 8 || 0 || 0 || 161 || 3.02 || 134 || 9 || 63 || 0 || 163 || 1.224 || 118 || 2.9 || 3.0 || || 2014 || 29 || 7 || 10 || 0 || 0 || 162⅓ || 3.38 || 130 || 13 || 81 || 4 || 175 || 1.300 || 106 || 1.5 || 1.3 || || 2015 || 31 || 12 || 7 || 0 || 0 || 186⅔ || 3.38 || 155 || 15 || 70 || 5 || 205 || 1.205 || 115 || 3.5 || 2.7 || || 2016 || 21 || 6 || 11 || 0 || 0 || 113⅔ || 5.46 || 115 || 19 || 69 || 7 || 116 || 1.619 || 76 || 0.3 || 0.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6 ||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10 || 2 || 2 || 0 || 0 || 49⅓ || 2.92 || 42 || 7 || 16 || 2 || 52 || 1.176 || 147 || 0.6 || 0.7 || ||<-2> 2016 시즌 합계 || 31 || 8 || 13 || 0 || 0 || 163 || 4.69 || 157 || 26 || 85 || 9 || 168 || 1.485 || 89 || 0.9 || 0.7 || || 2017 ||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18 || 6 || 5 || 0 || 0 || 82⅔ || 5.88 || 91 || 11 || 43 || 2 || 74 || 1.621 || 76 || 0.8 || -0.3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7 ||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20 || 0 || 2 || 0 || 6 || 14⅓ || 4.40 || 14 || 0 || 10 || 2 || 11 || 1.674 || 95 || 0.0 || -0.2 || ||<-2> 2017 시즌 합계 || 38 || 6 || 7 || 0 || 6 || 97 || 5.66 || 105 || 11 || 53 || 4 || 85 || 1.629 || 78 || 0.8 || -0.5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8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DET]] || 27 || 5 || 12 || 0 || 0 || 133⅔ || 4.58 || 127 || 19 || 73 || 5 || 110 || 1.496 || 98 || 0.4 || 0.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9 || [[피츠버그 파이리츠|PIT]] || 69 || 5 || 3 || 0 || 12 || 70 || 3.47 || 60 || 8 || 35 || 3 || 63 || 1.357 || 123 || 0.4 || 1.1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4시즌) || 419 || 112 || 114 || 1 || 20 || 1813⅔ || 4.15 || 1649 || 184 || 816 || 62 || 1815 || 1.359 || 99 || 24.4 || 17.9 || == 기타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1983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2022년 은퇴]][[분류:산크리스토발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미네소타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시카고 화이트삭스/은퇴, 이적]][[분류:피츠버그 파이리츠/은퇴, 이적]][[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