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거침없이 하이킥)] ||<-2> '''{{{#ffffff 풍파고등학교}}}''' || ||<-2> [[파일:풍파.png|width=100%]][br][br][[파일:Screenshot 2020-06-14 at 19.07.49.pn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 너비=100%, 높이=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 [[1917년]] [[11월 29일]][* [[거침없이 하이킥]] 83회 참고.] || || {{{#white '''유형''' }}}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 || [[남녀공학]][* 단, 분반.] || || {{{#white '''운영형태''' }}} || [[사립학교]] || || {{{#white '''교장''' }}} || 이용진 → [[홍순창(지붕뚫고 하이킥)|홍순창]][* [[지붕뚫고 하이킥|후속작]] 등장인물과 동일 인물이라는 가정 하에.] || || {{{#white '''교감''' }}} || [[홍순창(거침없이 하이킥)|홍순창]] → [[김자옥(지붕뚫고 하이킥)|김자옥]][* [[지붕뚫고 하이킥|후속작]]과 연결된다는 가정 하에.] || || {{{#white '''소재지''' }}}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서울)|흑석동]][* 거침없이 하이킥 기준.][* 실제 촬영은 [[파주시]]에 있는 舊 [[교하중학교]]에서 했다가 [[방과 후 학교]] 활동으로 인한 학교측과의 갈등으로 후반부는 인근의 [[두일중학교]]로 옮겨서 촬영을 했는데, 156화 쯤부터는 얼핏 딱 봐도 여태까지 찍었던 전의 그 풍파고와는 건물 내부가 완전 딴판이라서 같은 학교가 아니라는 것을 바로 눈치챌 수 있다. --이전 촬영 학교가 일반 [[공립학교]] 같으면 촬영지를 옮긴 학교는 훨씬 더 크고 고급지고 세련된 사립학교인 것 같다.--]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서울)|성북동]][* 지붕뚫고 하이킥 기준.]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에서의 설정. 직접 등장하지는 않고 지나고등학교 옆 학교로만 언급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MBC]]의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과 [[지붕뚫고 하이킥]]에 등장하는 가상의 [[고등학교]]. == 학교 특징 == * 작중에 나오는 모든 10대 캐릭터들이 재학 중이며, [[이민용]][*거침 거침없이 하이킥]과 [[서민정(거침없이 하이킥)|서민정]][*거침]이 교사로 근무 중인 남녀공학 분반 고등학교이다. * 번화가와는 약간 떨어진 산에 있으며, 등교하려면 꽤 먼 샛길을 걸어가야 한다. * 학교의 시설로는 본관, 별관[* 본관과 이어짐.], 체육관, 운동장, 농구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중 시작 장면이나 전환 장면으로 등장하는 [[단군상]][*거침]도 있다. * 야간 자율학습과 보충수업을 실시하지 않는 듯 하다. == 교가 == [youtube(OAv6k0wEBTc)] == 교복 == [[파일:Screenshot 2020-06-14 at 20.46.25.png|width=70%]] 동복으로는 노란색과 황갈색 사이의 색의 마이와 하얀색 셔츠 위에 회색 계통의 조끼를 입는다. 남학생의 바지는 역시 회색 계통이며 여학생의 치마는 회색 - 하얀색의 체크 무늬 치마이다. 하복으로는 흰색 셔츠를 입으며 바지/치마는 동일한 것 같다. 참고로 2022년 기준으로 15년 전쯤의 [[교복]]이지만, 지금 봐도 괜찮은 편에 속한다. 완전히 같은 교복을 입는 학교가 있다.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하는 [[선일이비즈니스고등학교]]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 속하는 [[운동중학교]]에서 동일한 교복을 입는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선일이비즈니스고등학교]]는 [[여자고등학교]]이자 [[특성화 고등학교]]라는 것. 바지를 입는 경우 치마와 같은 패턴의 바지를 입는다. 명찰과 넥타이는 아예 없다. 무조건 리본 착용. == 학생 목록 == === [[거침없이 하이킥]] === 78화를 기점으로 전원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올라갔다. 그리고 마지막화인 167화는 극중 배경이 2008년이라 3학년이 된다. * [[이윤호(거침없이 하이킥)|이윤호]] - 2학년 1학기가 끝나고 1년간 휴학했다. * [[이민호(거침없이 하이킥)|이민호]] * [[김범(거침없이 하이킥)|김범]] - 3학년 때(2008년) [[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되면서 학교를 떠나게 되었다. * [[강유미(거침없이 하이킥)|강유미]] - 2학년 1학기 도중에 자퇴했다. * [[염승현]] * [[황찬성(거침없이 하이킥)|황찬성]] - 3학년 1학기 도중에 연예계에 데뷔하게 되면서 예전만큼 활발한 [[출석]]은 못 하거나 아니면 [[특성화고등학교]]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로 [[전학#s-1|전학]]을 가게 되거나 둘 중 하나일 듯. * [[나혜미(거침없이 하이킥)|나혜미]] - 2학년 1학기 때 전학왔다. * 그 외에도 여러 학생들이 있다. === [[지붕뚫고 하이킥]] === * [[정준혁(지붕뚫고 하이킥)|정준혁]] * [[강세호]] ===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 정일우 == 교직원 목록 == 이하 [[거침없이 하이킥]] 기준.[* 여담으로, [[이순재(거침없이 하이킥)|순]][[이순재(지붕뚫고 하이킥)|재]]의 [[이민용|자]][[이현경(지붕뚫고 하이킥)|녀]]들 중 한 명은 꼭 [[체육교사]]다.] * [[이민용]] - 체육 담당. 2007년 기준 2학년 7반 담당.[* 2006년 기준 1학년 3반.] 시즌 2 교장의 언급에 따르면 다른 곳으로 [[전근#s-1|전근]]을 간 것으로 보인다. --지붕뚫고 하이킥 22회에서 홍순창이 김자옥의 집에서 김자옥과 대화 중 미친개라고 언급했다.-- * [[서민정(거침없이 하이킥)|서민정]] - 영어 담당. 2007년 기준 2학년 1반 담당이었으나, 166화에서 사직서를 내고 시골 학교로 전근을 간다. --지붕뚫고 하이킥 22회에서 홍순창이 김자옥의 집에서 김자옥과 대화 중 꽈당민정이라고 언급했다.-- * 윤 선생 이름은 윤설희이며, 2학년 9반 담당이다. * (남자) 박 선생 이름은 박순태 또는 박성균일 것으로 추정되며, 3학년 6반 또는 7반 담당으로 추정된다.[* 78화 끝부분쯤 찬성이 새로운반 학생들한테 담임이 박진수라고 한걸로봐선 박진수일 가능성도 있다.] * (여자) 박 선생 이름은 박미란일 것으로 추정되며, 2학년 8반 담당으로 추정된다. * [[윤기원]] - 육상부 코치(체육 담당) 1회성이며 성질이 매우 급하다. 서민정에게 반하는데 전교생들에게 망신을 당하고 퇴직한다. 이하 [[지붕뚫고 하이킥]] 기준. * [[홍순창(지붕뚫고 하이킥)|홍순창]] - 교장. [[승진]]했다.[* 전작과 연개성이 있다는 증거로 22회분 [[이민용|미친개]] 선생과 [[서민정(거침없이 하이킥)|꽈당민정]] 선생을 언급했다.] 또한 전작과 마찬가지로 "아주 굿이예요, 굿굿굿!"이라는 반어법을 자주 사용한다. * [[김자옥(지붕뚫고 하이킥)|김자옥]] - 교감. * [[이현경(지붕뚫고 하이킥)|이현경]] - 체육 담당. * [[줄리엔(지붕뚫고 하이킥)|줄리엔]] - 영어 담당. * [[윤서현(지붕뚫고 하이킥)|윤서현]] - 체육 담당.[* [[신세경(지붕뚫고 하이킥)|신세경]]을 MVP라고 부르며 소프트볼 팀을 결성해 체육특기생으로 입학시키려 하지만, 예산 문제로 팀을 임시 해산시킨다.] 이하는 거침없이 하이킥 78회를 참조하여 쓴 명단. * 이철연 2학년 2반 담당, 남, 36명. * 정재혁 2학년 3반 담당, 남, 35명. * 김현애 2학년 4반 담당, 남, 34명. * 김정식 2학년 5반 담당, 남, 37명. * 강진희 2학년 6반 담당, 남, 35명. * 박미란 2학년 8반 담당, 여, 32명. * 윤설희 2학년 9반 담당, 여, 32명. * (익명) 2학년 10반 담당, 32명. * 이영철 3학년 1반 담당, 남, 32명. * 이소정 3학년 2반 담당, 남, 34명. * 최정현 3학년 3반 담당, 남, 35명. * 방봉원 3학년 4반 담당, 남, 32명. * 김윤주 3학년 5반 담당, 남, 34명. * 박순태 3학년 6반 담당, 남, 33명. * 박성균 3학년 7반 담당, 여, 33명. * 선영문 3학년 8반 담당, 여, 31명. * 지용근 3학년 9반 담당, 여, 30명. * 최순형 3학년 10반 담당, 여, 32명. 그 외에도 여러 교사들이 있으며, 대부분에 선생들이 민용과 민정처럼 은근 젊은 편에 속한다. ~~그렇게 학생들이랑 나이 차이가 별로 안 나는 선생님들만 있으면 안 될 텐데?~~ == 기타 == * 학교 근처에 흑석고등학교라는 또다른 [[일반계 고등학교]]가 있는데[* 작중 배경이 흑석동이기 때문에 공립학교로 추정.], 작중 등장인물들의 증언에 의하면 학생들의 질이 안 좋기로 악명높은 듯. 한 에피소드에선 서민정이 괴롭힘을 당하는 학생을 보호하려다 부상을 입고 그걸 알게 된 윤호가 학교까지 찾아가 복수를 한다[* 이후 162화에서 흑석고 통까지 합류한 이 패거리들과 마주쳐 2차전을 하지만, 이때 윤호는 민호와 범의 짜고 친 장난질에 의해 허리를 다친 상태였고, 초반엔 나름 선전했으나 허리 부상으로 인해 결국 5명에겐 조금 무리였는지 잘못 넘어졌다가 다구리를 당한다. 한편 본인 때문에 부상을 당한 동생에게 어쩌다 보니 미안해져서 윤호를 찾던 민호가 우연히 이를 보고 제대로 뚜껑이 열려서 달려들지만, 애당초에 싸움도 운동도 못 하는 약골 주제에 전투력 같은 게 있을 리가 만무하기에 도움을 주진 못하고 결국은 참패만 했지만, 흑석고 패거리들이 떠난 후 평소에도 계속 싸우던 두 형제가 화해하게 되는 감동적인 장면을 볼 수 있다.]. 이때 교감이나 주위 교사들의 말에 의하면 평소에도 풍파고 학생들은 흑석고 양아치 무리들에게 여러 번 괴롭힘을 당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풍파고가 성북구로 옮긴 이유도 그것인듯 하다. * 또다른 이웃 일반계 고등학교들로는 재정여자고등학교[* '''재정'''여고라는 이름은 [[송재정]] 작가의 이름을 딴 것이다.]나 박산고등학교 등 일부 다른 학교들도 등장하는데, 재정여고는 풍파고와 비슷하게 유명한 전교 1등[* 그 재정여고의 전교 1등이 누구냐 하면, 64화에서 윤호와 잠시 사귀었다가 [[회자정리]]를 말하며 헤어진 김윤주라는 여학생이다. 참고로 김윤주를 연기한 배우는 [[클라라(배우)|클라라]].]을 보유하고 있는 명문학교고, 박산고는 흑석고와 비슷한 류의 [[똥통학교]]로 추정된다[* 135회에서 순재에게 '켄터키 후라이드 쫀쫀해요 빠방'을 당한 학생들 중에 박승현이라는 학생이 있었는데, 이 박승현이 박산고 소속이다.]. * 세계관이 같은 후속작 [[지붕뚫고 하이킥]]에서도 풍파고등학교라는 남녀공학 사립학교가 존재하지만, [[거침없이 하이킥]]과는 달리 합반이고, 또한 사실상 이름만 같은 별개의 학교이다[* 그 증거로 교직원들이 풍파고 교장만을 빼면 전부 다른 인물들이고, 건물과 교복도 많이 다르다.]. 물론 그 사이에 교사 이전과 여러 개편을 했을 수도 있는데, [[거침없이 하이킥]]의 [[홍순창(거침없이 하이킥)|풍파고 교감]]과 동일인물인 [[지붕뚫고 하이킥]]의 풍파고 교장의 말로는 자신의 학교에 [[이민용|미친개]] 선생과 [[서민정(거침없이 하이킥)|꽈당민정]] 선생이 있다는 것을 밝혔기에 일단은 같은 학교로 추정된다. * 현실에서 사립학교의 [[교사]]들은 처음 발령을 받으면 전근 없이 [[정년퇴임]]할 때까지 [[철밥통|계속 근무]]하지만, 풍파고는 특이하게도 사립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이민용과 서민정의 사례처럼 교사들의 전근이 존재한다. 물론 사립학교도 예외적인 경우라면 전근이 존재하기 때문에 특별한 일은 아니다.[* 아니면 기간제 교사로 들어왔다가 계약 연장 없이 학교를 그만둔 것을 전근이라 둘러댄 것일 수 있다.] [[분류:거침없이 하이킥]][[분류:지붕뚫고 하이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