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교토 애니메이션|{{{#ffffff '''교토 애니메이션 작품'''}}}]] || || [[AIR(TVA)|AIR]][br]2005년 1분기 || → || '''풀 메탈 패닉! The Second Raid'''[br]2005년 3분기 || →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br]2006년 2분기 || [include(틀:풀 메탈 패닉!)] ||<-2>
{{{#ffffff,#ffffff '''{{{+1 풀 메탈 패닉! The Second Raid}}}''' (2005)[br]フルメタル・パニック! The Second Rai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ullmetalpanic_tsr_keyvisual.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원작}}}''' ||<|2>[[가토 쇼우지]]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 || '''{{{#ffffff,#ffffff 원작 일러스트}}}''' ||<|2>시키도지(四季童子) || || '''{{{#ffffff,#ffffff 캐릭터 원안}}}''' || || '''{{{#ffffff,#ffffff 감독}}}''' ||[[타케모토 야스히로]]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2>[[호리우치 오사무]] || || '''{{{#ffffff,#ffffff 총 작화감독}}}''' || || '''{{{#ffffff,#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에비카와 카네타케]][br]이하라 토시아키(渭原敏明)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2>우노구치 조지(鵜ノ口穣二)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 || '''{{{#ffffff,#ffffff 색채 설정}}}''' ||타카기 리에(高木理恵)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나카가미 류타(中上竜太) || || '''{{{#ffffff,#ffffff 편집}}}''' ||시게무라 켄고(重村建吾)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 || '''{{{#ffffff,#ffffff 음악}}}''' ||[[사하시 토시히코]] || || '''{{{#ffffff,#ffffff 음악 제작}}}''' ||[[포니캐년]] || || '''{{{#ffffff,#ffffff 기획 프로듀서}}}''' ||이토 아츠시(伊藤 敦)[br]핫타 히데아키(八田英明) || || '''{{{#ffffff,#ffffff 프로듀서}}}''' ||키타우라 히로유키(北浦宏之)^^[[WOWOW]]^^[br]스즈키 토모코(鈴木智子)[br]마츠이 사토시(松井 智)[br]타케우치 츠네오(武智恒雄)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교토 애니메이션]] || || '''{{{#ffffff,#ffffff 제작}}}''' ||Full Metal Panic! Film Partners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5년 7월|2005. 07. 14.]] ~ 2005. 10. 20.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WOWOW]] / (목) 00:00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전13화 + OVA 1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www.tdd-1.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토 쇼우지]]의 라이트 노벨 [[풀 메탈 패닉!]]을 원작으로 하는 [[풀 메탈 패닉!/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TVA 제3기. 감독은 [[타케모토 야스히로]],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05년 7월|2005년 7월]]. == 공개 정보 == [[풀 메탈 패닉? 후못후]] 방영 2년 뒤인 2005년에 방영했으며 13화 완결. 원작 한국어 정발판 기준 7권 『일상에 고하는 작별 상편(Ending Day by Day 1)』 + 8권 『일상에 고하는 작별 하편(Ending Day by Day 2)』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해당 편이 풀메패 전체 책 중 가장 분량이 적었던 작품이었기에[* 말이 2권이지 두 권 합쳐서 한 권 분량 밖에 되지 않으며, 그마저도 4권 같은 두꺼운 한 권보다도 분량이 적다.] 애니 1쿨 모두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는 판단을 했는지 이런저런 각색과 소소한 오리지널 스토리 & 설정추가 등으로 원래보다 이야기가 매우 길어졌다. 후못후에 이어 [[교토 애니메이션]]이 그대로 제작을 맡았다. 부제인 The Second Raid의 약자인 TSR로 자주 불린다. 부제에 포함된 Second라는 단어와 [[에비카와 카네타케]] 화집에서 TSR 디자인을 '애니메이션 2기 디자인'이라고 호칭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원래 후못후는 외전 / 세컨드 레이드가 2기였지만, 4번째 작품이 [[풀 메탈 패닉! Ⅳ: 인비저블 빅토리|Invisible Victory]], 줄여서 IV라는 부제를 달고 나왔기 때문에 결국 세컨드 레이드는 3기로 재정립되었다. 감독은 후못후를 맡았던 [[타케모토 야스히로]]. 전작과 마찬가지로 주제가는 [[시모카와 미쿠니]]가 노래했다. 팬들의 높은 지지를 받은 [[호리우치 오사무]]가 오프닝과 엔딩의 작화 감독을 맡았으며 마찬가지로 [[타케모토 야스히로]] 감독이 오프닝과 엔딩 영상의 연출을 맡았다. 이 작품은 [[슈퍼로봇대전 W]],[[시옥편]]에 참전했지만, 오히려 스토리 상 [[아바레스트(풀 메탈 패닉!)|아바레스트]]를 약화시키는 데 일조하였다. W 스토리상 1부에서 람다 드라이버가 해금된 후 2부에서 TSR 스토리가 나오면서 람다 드라이버를 소스케 스스로 봉인해서 쓸 수 없게 된다. 마침 후못후도 참전했으니 아바레스트를 개조하지 않았다면 [[본타군]]으로 [[기계수]]들 양념이나 쳐주는 게 오히려 좋다.(...) 국내의 경우 [[대원방송]]에서도 [[투니버스]]에서도 방영되지 않았다. 아무래도 높은 수위로 인한게 아닌가란 추측이 많았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include(틀:navervid, vid=7BD51E136503816D1BD79F1B7A1795848A67&outKey=V1260445c0b395ac3ddeced51fd7a4a9ac4e9d224f8e69b3654e7ed51fd7a4a9ac4e9, width=100%)]}}} || || '''PV''' || == [[풀 메탈 패닉!/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풀 메탈 패닉!/등장인물)] == [[풀 메탈 패닉!#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풀 메탈 패닉!, 앵커=설정)] == 주제가 == === OP === ||<-2>
'''{{{#ffffff,#ffffff OP[br]南風[br]남풍}}}'''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navervid, vid=E3BF71773C7E3631447B59498E28E4722CA9, outkey=V1289c9fe47013a2cf71f375a01f79e19dc1917ce3ff5f4ae972f375a01f79e19dc19,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8Nv-5wIlbg,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시모카와 미쿠니]] || || '''작사''' ||<|2> 아사다 신이치(浅田信一) || || '''작곡''' || || '''편곡''' || 니시카와 스스무(西川 進)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타케모토 야스히로]] || || '''연출''' || || '''작화감독''' || [[호리우치 오사무]] || || '''원화''' || [[호리우치 오사무]], [[이케다 쇼코]], [[아라타니 토모에]], [[사카모토 카즈야]], [[와타나베 마사하루]] 등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ffffff,#ffffff ED[br]もう一度君に会いたい[br]다시 한번 너를 만나고 싶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navervid, vid=56E5F8067895AC26A366D9F1FA455BD42406, outkey=V1247cb08a76a36003a5441247f2b86de83c563f122c33f9c4ad941247f2b86de83c5,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YNppIfxDv4,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2> [[시모카와 미쿠니]] || || '''작사''' || || '''작곡''' || Gajin || || '''편곡''' || 니시카와 스스무(西川 進)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타케모토 야스히로]] || || '''연출''' || || '''작화감독''' || [[호리우치 오사무]] || || '''원화''' || [[사카모토 카즈야]]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총 작화감독: [[호리우치 오사무]]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7> '''TVA''' || || {{{-1 Scene 01}}} || {{{-1 終わる日々[br]끝나는 날들}}} || {{{-1 [[가토 쇼우지]]}}} ||<-2> {{{-1 [[타케모토 야스히로]]}}} || {{{-1 [[호리우치 오사무]]}}} || {{{-1 2005.07.14.}}} || || {{{-1 Scene 02}}} || {{{-1 水面下の状景[br]수면 아래의 광경}}} || {{{-1 타케모토 야스히로}}} ||<-2> {{{-1 [[야마모토 유타카]]}}} || {{{-1 [[이케다 카즈미]]}}} || {{{-1 2005.07.21.}}} || || {{{-1 Scene 03}}} || {{{-1 迷宮と竜[br]미궁과 용}}} ||<|2> {{{-1 가토 쇼우지}}} ||<-2> {{{-1 [[키타노하라 노리유키]]}}} || {{{-1 요네다 미츠요시[br](米田光良)}}} || {{{-1 2005.07.28.}}} || || {{{-1 Scene 04}}} || {{{-1 デイライト[br]딜라이트}}} ||<-2> {{{-1 [[키가미 요시지|미요시 이치로]][br](三好一郎)}}} || {{{-1 [[카도와키 사토시]]}}} || {{{-1 2005.08.04.}}} || || {{{-1 Scene 05}}} || {{{-1 うるわしきシチリア[br]아름다운 시칠리아}}} || {{{-1 [[시모 후미히코]]}}} ||<-2> {{{-1 타케모토 야스히로}}} || {{{-1 [[이케다 쇼코]]}}} || {{{-1 2005.08.11.}}} || || {{{-1 Scene 06}}} || {{{-1 エッジ・オブ・ヘヴン[br]엣지 오브 헤븐}}} ||<-3> {{{-1 야마모토 유타카}}} || {{{-1 이케다 카즈미}}} || {{{-1 2005.08.18.}}} || || {{{-1 Scene 07}}} || {{{-1 とりのこされて[br]혼자 남겨져}}} || {{{-1 타케모토 야스히로}}} ||<-2> {{{-1 요시오카 시노부[br](吉岡 忍)}}} || {{{-1 요네다 미츠요시}}} || {{{-1 2005.08.25.}}} || || {{{-1 Scene 08}}} || {{{-1 ジャングル・グルーブ[br]정글 그루브}}} || {{{-1 가토 쇼우지}}} || {{{-1 미요시 이치로}}} || {{{-1 [[이시다테 타이치]]}}} || {{{-1 카도와키 사토시}}} || {{{-1 2005.09.15.}}} || || {{{-1 Scene 09}}} || {{{-1 彼女の問題[br]그녀의 문제}}} || {{{-1 시모 후미히코}}} ||<-2> {{{-1 키타노하라 노리유키}}} || {{{-1 이케다 쇼코}}} || {{{-1 2005.09.22.}}} || || {{{-1 Scene 10}}} || {{{-1 ふたつの香港[br]두 개의 홍콩}}} || {{{-1 야마모토 유타카}}} ||<-2> {{{-1 요시오카 시노부}}} || {{{-1 이케다 카즈미}}} || {{{-1 2005.09.29.}}} || || {{{-1 Scene 11}}} || {{{-1 彼の問題[br]그의 문제}}} || {{{-1 타케모토 야스히로}}} ||<-2> {{{-1 야마모토 유타카}}} || {{{-1 요네다 미츠요시}}} || {{{-1 2005.10.06.}}} || || {{{-1 Scene 12}}} || {{{-1 燃える香港[br]불타오르는 홍콩}}} || {{{-1 시모 후미히코}}} ||<-2> {{{-1 미요시 이치로}}} || {{{-1 카도와키 사토시}}} || {{{-1 2005.10.13.}}} || || {{{-1 Scene 13}}} || {{{-1 つづく日々[br]계속되는 날들}}} || {{{-1 가토 쇼우지}}} ||<-2> {{{-1 타케모토 야스히로}}} || {{{-1 호리우치 오사무[br]키타노하라 노리유키[*M 메카]}}} || {{{-1 2005.10.20.}}} || ||<-7> '''OVA''' || ||<-2> {{{-1 わりとヒマな戦隊長の一日[br]의외로 한가한 전대장의 하루}}} || {{{-1 가토 쇼우지}}} ||<-2> {{{-1 타케모토 야스히로}}} || {{{-1 호리우치 오사무}}} || {{{-1 2006.05.26.}}} || == 평가 == 후못후에 이어 높은 퀄리티를 자랑하는 쿄애니가 제작하여 작화가 일품이다. 연출, 전개 방식도 꽤 훌륭하며 밀리터리적인 재현도도 매우 높다. 그러나 수위 또한 상당히 높아졌다. 잔인한 연출이나 야한 연출이나 둘 다. [* [[케모노즈메]], [[시구루이]]와 함께 당시 [[WOWOW]] 한정으로 R15+ 등급을 받고 방영된 애니메이션 중 하나다. WOWOW는 영륜 심의를 따라서 비교적 관대한 편이다.] 그 때문인지 1기, 후못후와 달리 3기는 한국에 방송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오타쿠들은 꼭 봐야할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시리즈 최초로 와이드스크린 제작이자 HD방영. 거기다 TV애니메이션 첫 '''5.1채널''' 방영 작품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가우룽]]의 제자였던 [[페이쥬]], [[페이홍]] 형제를 [[샤 유이팡]], [[샤 유이란]]이라는 자매 캐릭터로 바꿔 버렸으며 비중도 매우 커졌다는 점이다. 유이 자매가 인간을 초월하는 움직임을 선보이며 [[SRT(동음이의어)#s-2|SRT]]조차 가볍게 제압해내는 파워밸런스가 좀 엉망이 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한 에피소드를 13화로 불리기 위해선 어쩔 수 없었겠지만. 그 외에도 [[게이츠]]도 본편에서는 그저 '미스터 칼륨'이라는 코드 네임으로만 등장하던 [[듣보잡]] 캐릭터였으나, 여기서는 또라이짓 하나만큼은 [[가우룽]]과도 어깨를 견줄 수 있는 보스급의 악당으로 승격했다. [[양준규]] 하사가 멋지게 등장하기 때문에, 팬에게는 필수작이라 하겠다. 본편에서는 개그나 전담하던 캐릭터가 여기까지 승격되었으니 그야말로 인생역전이다. 이렇듯 짧은 에피소드로 13화를 만들기 위해 여러가지 성공적인 오리지널 요소를 집어넣긴 했지만 알의 각성 에피소드 같은 원작에서 매우 중요한 이벤트를 건너뛰고 왜 넣었는지 모를 짝퉁 치도리 이벤트같은 쓸데없는 스토리를 집어넣은 것에 대해선 빈축을 사고 있다. 다만, 결말은 깔끔하게 났다. 다만 아쉽게도 BD/DVD 판매량은 초판 6천장 가량으로 [[풀 메탈 패닉? 후못후]]보다 떨어졌다. 일단 WOWOW 자체가 유료 위성 채널이라 접근성이 떨어졌고 거기다 HD제작으로 전작 대비 제작비가 꽤 상승했기 때문에 수익은 더 적었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제작사인 교토 애니메이션이 다음 분기에 제작한 작품이 전세계적 히트작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었기 때문에 쿄애니와 카도카와가 굳이 [[풀 메탈 패닉!]]의 다음 시즌을 제작는데 집착할 필요가 없게되었다. 결국 이러한 이유 때문에 [[쿄애니]]와 [[KADOKAWA]]는 4기를 만드는 것을 더이상 추진하지 않았다. 이와 별도로 이 스태프들이 관여하게 되는 작품은 해당 작품의 속편이 아닌 동 작가의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애니메이션|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한동안 제작을 한다고 발표를 했다가 무산되는 등 팬들을 들었다 놨다 하긴 했으나, 결국 후속편은 다른 제작사가 제작하게 되었다. 이렇게라도 4기가 나오게 된 건 꾸준히 장난감을 비롯해서 관련 상품들이 수익성을 증명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 OVA == 외전의 『의외로 한가한 전대장의 하루』 에피소드가 OVA로 제작되었다. TSR와 마찬가지로 극강의 퀄리티를 자랑하며 내용도 원작을 충실히 반영해 팬이라면 정말 재미있게 볼 수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미스릴 태평양 전대의 최고 지휘관인 [[테레사 테스타롯사]]를 주인공으로 삼고 있으며, 그녀가 미스릴에서 지내며 겪는 이런저런 일상 + 중반에 술에 취해서 벌이는 이런저런 촌극이 주된 내용이다. 특히 본편에서 정말 멋지게 그려지던 캐릭터들이 처참하게 망가지며 개그씬을 뽑아내는 장면들은 정말 압권. == 둘러보기 == [include(틀:교토 애니메이션 작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풀 메탈 패닉!/애니메이션, version=618, paragraph=3)] [[분류:풀 메탈 패닉!/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5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교토 애니메이션]][[분류:SF 애니메이션]][[분류:밀리터리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