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네팔 총리]][[분류:1954년 출생]] [include(틀:역대 네팔 총리)] [include(틀:마오주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52A2A 0%, #DC143C 30%, #DC143C 70%, #A52A2A)" '''[[네팔 총리|{{{#fff 네팔 연방민주공화국 제33대 총리}}}]][br]{{{#fff {{{+1 푸슈파 카말 다할}}}[br]पुष्प कमल दाहाल}}}'''}}}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푸슈파 카말 다할 공식.jpg|width=100%]]}}} || ||<|2> '''출생''' ||[[1954년]] [[12월 11일]] ([age(1954-12-11)]세)|| ||[[네팔 왕국]] [[포카라]]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네팔)] || ||<|6> '''재임기간''' ||제33대 [[네팔 총리|총리]]|| ||[[2008년]] [[8월 15일]] ~ [[2009년]] [[5월 25일]]|| ||제33대 [[네팔 총리|총리]]^^2기^^|| ||[[2016년]] [[8월 4일]] ~ [[2017년]] [[6월 7일]]|| ||제33대 [[네팔 총리|총리]]^^3기^^|| ||[[2022년]] [[12월 16일]] ~ [[현직]]||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mprachanda,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public/Pushpa-Kamal-Dah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narendramod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트리부반 대학 || || '''약칭''' ||프라찬다 || || '''신체''' ||173cm, 80kg || || '''소속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2910; font-size: .9em"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fff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 || '''약력''' ||네팔 제헌의회 의원[br]네팔 하원의원[br]네팔 공산당 주석[br]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주석 || || '''종교''' ||[[힌두교]] → [[무종교]]([[무신론]])[* 태어날 때 힌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후술할 내용에서 청소년기 때부터 [[마오주의]]의 영향을 받아 [[무신론자]]가 되었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푸슈파 카말 다할(Pushpa Kamal Dahal)은 [[네팔]]의 현직 [[네팔 총리|총리]]이자 [[마오주의]] [[정치인]]으로, [[반군]] 지도자 시절에는 본명보다 '''프라찬다(Prachanda)'''[* [[독종]] 또는 독한 놈이라는 뜻이다.]라는 별명으로 더 유명했고, 지금도 그의 사상을 프라찬다 노선이라 한다. == 생애 == === 초창기 === 다할은 [[1954년]] 네팔 [[포카라]]에서 태어났는데, [[계급투쟁]]을 추구하는 [[공산주의자]]라는 이미지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게 [[힌두교]] [[카스트]]의 최상층인 [[브라만]] 집안 태생이다. 다만 그의 집안은 브라만 집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몰락해서 [[소작]]을 하며 생계를 유지했기에, 서류상으로만 [[귀족]]이지 실질적으로는 하층민이었다. 그는 가난함에도 불구하고 자식 교육에 힘쓴 부모 덕분에 [[대학]]까지 다닐 수 있었는데, [[고등학생]] 시절에 이미 [[공산주의]]를 접해서 [[네팔 공산당#s-4.5|네팔 공산당(제4차 대회)]]에 입당했고, 그때부터 여러 공산주의 계열 정당 소속으로 [[네팔 왕국|왕정]]에 반대하는 투쟁에 참여했다. [[1990년]] [[비렌드라]] 국왕이 [[입헌군주제]]를 도입하여 [[1991년]]부터 네팔에서 자유선거가 실시되자,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비롯한 여러 공산주의 계열 정당들이 합법 노선으로 전환하여 [[총선]]에 참여했는데, 이는 그가 당시 소속되어 있던 [[네팔 공산당#s-4.13|네팔 공산당(연합 센터)]]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러나 끝까지 폭력 혁명을 추구하던 다할은 이러한 지도부의 노선 변화를 [[수정주의]]라 부르며 반발했고, [[1994년]]에 자신을 지지하는 당원들과 함께 탈당한 후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동명의 정당]]을 만들어 기존 소속 정당과 대립했다. === 마오이스트 반군 지도자 === [[1996년]] 다할이 이끄는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당]]은 당명을 '''네팔 공산당(마오주의)'''로 변경하고, [[인민전쟁]]을 선포하며 반정부 무장투쟁을 시작했는데, 이때부터 그는 '''프라찬다'''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다할의 [[당군]]인 '''네팔 인민해방군'''은 농촌에서 조잡한 무기를 들고 싸우느라 [[네팔군|정부군]]을 상대로 고전을 면치 못했는데,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단순히 합법적으로 활동하는 정도가 아니라, [[1994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네팔 총리|총리]]를 배출하며, '''[[공산당]]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입헌군주국]]에서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집권'''하는 기록을 세운 정당이다.]를 비롯한 합법 공산당들은 오히려 그를 극좌모험주의라 비판하며 정부군을 지지했고, [[마오이즘]]의 발상지인 [[중국]][* [[덩샤오핑]]이 개혁개방을 시작한 이후부터는 [[정통성]] 때문에 명목상으로만 [[마오쩌둥 사상]]을 추구할 뿐, 실질적으로는 마오쩌둥 사상을 추구하지 않는 정당이 되었기에, 직접적인 도움도 안 되는 해외 마오이스트들을 지원할 이유가 없었다.]마저 그를 외면했다. 그러나 [[2001년]] [[네팔 왕실 학살]] 이후 즉위한 [[갸넨드라]]가 [[비렌드라|선왕]]과는 달리 실정을 거듭하며 민심을 잃고, 급기야 [[2005년]]에는 총리를 해임하고 의회를 해산한 후, 헌법까지 정지시키고 [[전제군주제]]로 회귀하는 폭거를 저지르자 상황이 반전되었다. 국왕의 폭정에 분노한 국민들이 네팔 인민해방군에 자발적으로 입대하면서 이전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규모가 커졌고, 일부 정부군 장병들마저 탈영하여 합류하면서 장비 및 숙련도라는 측면에서도 정부군과 대등하게 겨룰 정도가 되었다. [[2006년]]에 이르러서는 [[네팔 회의]],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등 기존의 합법 정당들마저 [[공화정]]을 외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고, 네팔 인민해방군은 그 기세를 타고 수도 [[카트만두]] 외곽까지 진격하여 정부군과 교전을 벌일 정도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때 다할은 수도를 점령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 정권을 수립하는 길을 선택하지 않고, 왕정 존속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실시와 [[다당제]] [[의회]] 참여를 전제로 정부와 협상한다는, 그 전까지 보여준 행보를 생각하면 상상도 하기 힘든 노선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갸넨드라 왕이 그 조건을 수용하여 사실상의 항복 선언을 발표하면서,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네팔 공산당(마오주의)]]는 합법화되어 무장을 해제하고 [[총선]]을 준비하게 되었다. === 합법 노선 전환과 1차 집권 === [[2008년]] [[국민투표]]에서 왕정 폐지가 가결되며 네팔은 공화정으로 전환되었고, 동시에 실시된 총선에서 다할이 이끄는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네팔 공산당(마오주의)]]는 기존에 합법적으로 활동하던 원내정당들[* [[네팔 회의]],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국민민주당(네팔)|국민민주당]] 등]을 꺾고 원내1당으로 약진했다. 이로써 원내1당 대표로서 연정 협상에서 주도권을 쥔 그는 네팔 연방민주공화국의 초대 총리가 될 수 있었다. === 퇴임 이후부터 재집권까지 === === 2차 집권 === === 2차 실각 이후 === === 3차 집권 === == 사상: 프라찬다 노선 ==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를 변형시킨 '''마르크스-레닌-마오-프라찬다 노선(Marxism-Leninism-Maoism-Prachanda Path)''', 줄여서 '''프라찬다 노선(Prachanda Path)'''이라 불리는 사상을 내세우고 있다. == 비판 및 논란 == 다할이 이끄는 마오이스트 반군은 네팔 왕정이 종식되고 공화정으로 전환되는데 기여하기도 했지만, 그 과정에서 정부군과는 상관 없는 무고한 [[민간인]]들을 상대로 [[전쟁범죄]]를 저지른 적이 많다. 대표적인 예가 [[한국]]에서 억울하게 [[정신병원]][[찬드라 쿠마리 구룽 사건#s-3.2|에 감금됐다가 풀려나서 귀국한 인물에게 마오이스트 반군이 보상금을 내놓으라며 행패를 부린 사건]]이다. == 관련 문서 == * [[네팔 총리]] * [[네팔 공산당]]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 [[네팔 공산당(2018년)]] *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인민전쟁]] * [[낙살라이트]] == 둘러보기 == [include(틀:총리 및 수상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