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동산)] [목차] [[https://www.realtyprice.kr:447/notice/gsstandard/search.htm|표준지공시지가 열람]] [[파일:external/www.realtyprice.kr:447/step04.gif]] == 의의 및 목적 == 국토교통부장관이 토지이용상황이나 주변 환경, 그 밖의 자연적·사회적 조건이 일반적으로 유사하다고 인정되는 일단의 토지 중에서 선정한 표준지에 대하여 공시한 적정가격([[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표준지공시지가를 조사 평가 및 공시하는 목적은 크게 조세 및 부담금 부과의 기준으로 삼기 위해서다. 국가는 전국에 소재하는 수많은 땅에 대한 세금(재산세 등)을 징수해야 하는데, 세금을 산출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 때 표준지공시지가가 그 기준이 된다. 다만 전국에 소재하는 토지의 필지수는 수천만에 이르는데 반해, 표준지공시지가 조사 평가의 대상이 되는 필지(이하 '표준지')수는 50만건에 불과하다. 이 50만건 외의 필지에 대해서는 각 지자체에서 해당 지역 내에 소재하는 표준지를 기준으로 삼아 그 가격을 산정 및 공시([[개별공시지가]])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먼저 [[감정평가사]]들이 표준지공시지가를 조사 평가하여 공시하면, 그 후 [[지방자치단체]]에서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나머지 토지에 대한 가격을 조사 산정하여 공시하는 것이다. == 공시사항 == 매년 공시기준일(원칙적으로, 1월 1일. 같은 법 시행령 제3조 본문) 현재의 단위면적당 가격으로서 공시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 사항이 공시된다(같은 법 제5조, 같은 법 시행령 제10조). * 표준지의 지번 * 표준지의 단위면적(㎡)당 가격 * 표준지의 면적 및 형상 * 표준지 및 주변토지의 이용상황 *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구체적으로는 다음 사항을 말한다. * 지목 * 용도지역 * 도로 상황 * 그 밖에 표준지공시지가 공시에 필요한 사항 == 조사·평가 == 표준지공시지가는 조사·평가 및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의 심의를 거쳐 이를 공시하여야 한다(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표준지 선정 및 관리에 필요한 세부기준은[[http://www.law.go.kr/행정규칙/표준지의선정및관리지침|표준지의 선정 및 관리지침]](국토교통부훈령)이 정하고 있다(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제3조 제3항, 같은 법 시행령 제2조 제2항). 표준지공시지가의 조사·평가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감정평가사|감정평가법인등]]에 의뢰하여 이루어진다. 표준지공시지가를 조사·평가하는 경우에는 인근 유사토지의 거래가격·임대료 및 해당 토지와 유사한 이용가치를 지닌다고 인정되는 토지의 조성에 필요한 비용추정액 등을 종합적으로 참작하여야 하며(같은 법 제3조 제4항), 업무실적, 신인도(信認度) 등을 고려하여 둘 이상의 [[감정평가업자]]에게 이를 의뢰하여야 한다. 다만, 지가 변동이 작은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표준지에 대해서는 하나의 [[감정평가업자]]에게 의뢰할 수 있다(같은 조 제5항). 표준지공시지가는 감정평가업자들이 제출한 보고서에 따른 조사·평가액의 산술평균치를 기준으로 한다(같은 법 제3조 제6항, 시행령 제8조 제4항). 표준지공시지가를 공시하기 위하여 표준지의 가격을 조사·평가할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토지 소유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같은 법 제3조 제2항). 이에 따라, 부동산공시가격시스템에 소정의 사항을 20일 이상 게시하고(같은 법 시행령 제5조 제1항), 이러한 게시사실을 표준지 소유자에게 개별 통지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2항). 위와 같이 게시된 가격에 이의가 있는 표준지 소유자는 의견제출기간에 '''표준지공시지가 의견서'''로써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같은 조 제3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 == 공시방법 == 국토교통부장관은 표준지공시지가를 공시할 때에는 소정의 사항을 [[관보]]에 공고하고, 표준지공시지가를 부동산공시가격시스템에 게시하여야 한다(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시행령 제4조 제1항). 국토교통부장관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표준지공시지가와 이의신청의 기간·절차 및 방법을 표준지 소유자에게 개별 통지할 수 있고(같은 조 제2항), 개별 통지를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공고 및 게시사실을 방송·신문 등을 통하여 알려 표준지 소유자가 표준지공시지가를 열람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이의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3항). == 이의신청 == 표준지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자는 그 공시일부터 30일 이내에 '''표준공시지가 이의신청서'''로써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4조). == 적용 ==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제8조(표준지공시지가의 적용)''' 제1호 각 목의 자가 제2호 각 목의 목적을 위하여 지가를 산정할 때에는 그 토지와 이용가치가 비슷하다고 인정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표준지의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토지가격비준표를 사용하여 지가를 직접 산정하거나 감정평가업자에게 감정평가를 의뢰하여 산정할 수 있다. 다만,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산정된 지가를 제2호 각 목의 목적에 따라 가감(加減) 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1. 지가 산정의 주체 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나.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다.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단체 2. 지가 산정의 목적 가. 공공용지의 매수 및 토지의 수용·사용에 대한 보상 나. 국유지·공유지의 취득 또는 처분 다.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가의 산정|| == 관련 문서 == * [[개별공시지가]] [[분류:행정법]][[분류: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