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설거지론)] [include(틀:디시인사이드/문화 및 유행어)] [include(틀:설거지론)] [목차] == 개요 == 퐁퐁단([[퐁퐁#s-2]][[團]])은 [[설거지론]]에서 '설거지'를 하는 [[배우자]]들을 조롱하는 [[신조어]]이다. [[설거지론]]에서 언급되는 인물은 대부분이 남성이기에 '퐁퐁남'이라는 표현도 쓰인다. [[부부]]간의 [[경제]]권, [[발언권]]이 심각하게 아내에게 쏠려 중요한 결정은 주로 아내가 하는 등 남편의 가정내 영향력이 굉장히 미미하며, 그외에도 [[남편]]의 [[취미]], 여가생활, [[소비]] 등 모든 활동이 아내에 관리하에 놓여 죽느니만도 못한 비참한 생활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런 퐁퐁남들은 '나만 이렇게 사는건 아니다'라며 비굴한 자위로 하루하루를 버틴다. 파생 표현으로 퐁퐁남과의 결혼, 즉 설거지에 성공한 여성은 '퐁퐁녀[* [[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dieselmania/articles/38450680?art=ZXh0ZXJuYWwtc2VydmljZS1uYXZlci1zZWFyY2gtY2FmZS1wcg.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jYWZlVHlwZSI6IkNBRkVfVVJMIiwiY2FmZVVybCI6ImRpZXNlbG1hbmlhIiwiYXJ0aWNsZUlkIjozODQ1MDY4MCwiaXNzdWVkQXQiOjE2NjE1MjIyNjQ0ODV9.5vW3FWUNi-gmrwqrReQVreNYv8K-s8gOO3qtg8sDk0s&useCafeId=false&query=%ED%90%81%ED%90%81%EB%85%80|이 표현은 가끔 퐁퐁단인 여성을 뜻하는 말로도 쓰인다.]] 그러나 설거지론 자체가 성별개념이 들어가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일반적인 쓰임은 아니다.]' 또는 [[퍼프 선생님|퐁퐁부인]]이라 불린다. 이 퐁퐁단 부부의 자녀는 [[부산물]]이라고 불리며, 극단적으로는 세제 찌꺼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 어원 == 어원은 [[설거지론|설거지]]할 때 쓰는 대표적인 한국 주방세제 브랜드인 [[퐁퐁#s-2|퐁퐁]]이다. 과거에 다른 파트너와 많은 연애를 경험한 상대와 결혼해서 사는 것을 가리켜 설거지라고 한며, 흔히 '마지막에 먹은 놈이 하는 설거지'와 같이 표현한다. 즉, 앞서 남들이 먹을 것을 다 빼먹은 후 찌꺼기만 남은 그릇을 가장 마지막에 먹었기 때문에 밥상을 치우고 [[설거지]]까지 하는 남자가 퐁퐁남인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이성교제나 성관계의 횟수가 많고 적음이 문제가 아니다. 굉장히 복잡한 이성관계를 지닌 사람, 혹은 문어발식 연애나 다수의 성관계 또는 복잡한 이성관계를 가진, 그야말로 정말 마구잡이식 연애를 즐기던 사람과 결혼하는 행위를 '설거지'로 지칭하면서, 이러한 '설거지'를 하는 이들을 주방세제에 비유하여 퐁퐁이라고 조롱하는 것[* ^퐁^, 눈물^퐁퐁^ 등]에서 비롯되었다. 주로 남편을 지칭하는데도 불구하고, 퐁퐁+남이 아니라 퐁퐁+단이 더 크게 흥한 것은, 설거지를 당한 남자와 소속된 가정의 예상되는 스테레오타입을 과장하여 조롱하기 위해 [[로켓단 삼인방|로켓단]]을 합성한 이미지가 등장한 것과 관계가 있어 보인다.[* 이 이미지는 비하적 의도를 크게 띠고 있어서 '못생긴 남성(여의도 [[한남콘]]) + [[성괴|원래 못생겼지만 성형한 여성]] + 엄마의 성형은 유전되지 않은 눈 작고 못생긴 아이'의 구도로 만들어져 있다. [[https://coinpan.com/files/attach/images/198/471/478/260/5698868b25be8170e36e48b6781f33b0.jpg|이미지]]가 원본이며 배경이 생기거나 차나 옷을 입히는 등 다양하게 파생된 이미지도 만들어지고 있다.] 다만 퐁퐁단이라는 단어 자체는 해당 이미지보다 먼저 등장했는데, 민초단이나 레꼬단같이 '~단'이 익숙한 인터넷 방송 팬덤 감성으로 추측된다. 다만 퐁퐁단이라는 단어 자체가 최근에 생겨난 것이지, 퐁퐁단에 해당하는 유부남에 대한 멸칭은 과거에도 존재하였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등의 멸칭이 그 예시. 물론 근대 때만 해도 진짜로 마음 약한 능력남이 아닌 이상 자기 부인을 견제할 수단은 많았고, 이혼시 재산분할이란 개념도 없던 때라 퐁퐁단에 해당할 일은 사실상 없었다. 현대에 오면서 재산분할이랑 이 견제할 수단들도 하나둘씩 잘려나가 재산이 있는 이상 퐁퐁단을 피해가기 어렵게 되었다. == 대표적인 부조리들 == [[설거지론]]은 여성이 남편을 선택할 때 철저하게 경제적 조건을 따진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아내는 남편을 사랑하기는 커녕 그저 [[물주]]로 여기는 반면, [[짝사랑|남편은 아내에 대한 애정이 있으므로]] 가정 내의 권력이 아내에게 과하게 쏠리게 된다. 이에 따라 퐁퐁단의 결혼 생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가정의 중요한 의사결정에서 [[발언권]]이 약하며 [[배우자]]로부터 일방적인 제약을 요구받는 등 '''[[노예]]와 다를 바 없는 비참한 결혼생활'''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실 이 정도가 되면 가모장제 가정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다. * 그렇다고 가장의 책임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가장의 권력만을 누리고 가장에게 부여되는 책임은 남편에게 부과한다. * '''부동산(보통은 신혼집)에 대해 아내는 출자를 전혀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그 지분의 비율이 극히 낮은 수준인데도 [[공동명의]], 심하면 아내 명의로 돌릴 것을 무작정 요구한다. 심한 경우 남편이 결혼 전에 소유한 부동산[* 본인 능력으로 구입, 부모로부터 증여 등]까지 요구하기도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qXStWFnqz3s|예시(JTBC 뉴스)]] * 그리고 이혼할 경우 공동명의로 등록된 재산들을 무조건 반반으로 나눌것을 강요한다. 물론 남편 명의의 부채는 절대 책임지려 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남편이 퇴직하면 황혼이혼이 대세라며 [[황혼이혼]]을 요구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 '''외벌이 가정이며, 주부인 아내가 단독으로 경제권을 갖고 남편은 소액의 용돈을 받아 생활하거나, 남편이 경제권을 갖긴 하지만 아내가 주기적으로 남편에게 거액의 돈을 요구한다.''' * 남편은 큰 지출에 대해 무조건 아내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 것은 물론 아내에 비해 적은 소비를 강요당한다. 예를 들어 남편이 필요한 물건을 사야 한다고 말하면 아내는 "용돈 모아서 사라"며 거부하지만, 아내는 본인이 원할 때 마음대로 [[충동구매]]하거나 [[친정]], 친구를 돕는 데 써버린다. [[https://m.mbn.co.kr/tv/673/1264813|극단적인 사례 예시]] * 외벌이인 경우 별도의 업무가 없는 쪽에서 가사를 전담하고 육아노동을 더 많이 분담하는 것이 상식적이나, 퐁퐁단은 외벌이를 함에도 불구하고 전업주부인 아내가 [[독박육아]] 운운하며 가사 및 육아노동에 대해 절반, 심하면 그 이상의 분담을 요구한다. * 남편이 [[재택근무]]하는 것을 매우 아니꼽게 여긴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neostock&no=2075150&exception_mode=recommend&page=2|#]][* 원글은 이후 삭제되었다고 한다.] * 여가와 취미생활, 외출시간 및 횟수를 일방적으로 제한받는다. * 인간관계를 지속적, 세부적으로 감시 및 간섭당한다. * [[기호품]]과 기호식품의 구입을 일방적으로 제약받는다. * [[섹스리스]], [[쇼윈도]] 부부의 모습을 보인다. 특히 결혼 전이나 신혼 때에는 [[성관계]]에 문제가 없었으나, 결혼 또는 출산을 계기로 태도가 급변한다. == 퐁퐁단이 아닌 경우 == '''본인이 혼자 벌거나 더 많이 벌면서도''' 경제권을 아내에게 빼앗기는 것이기 때문에, 아내에게 재무관리를 일임한 남편을 모두 싸잡아서 퐁퐁단으로 보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주부인 배우자에게서 용돈을 타서 쓰거나 소비를 제한받는다고 해서 무조건 아내에게 잡혀사는 퐁퐁단이라고 볼 수는 없다. 핵심은 '''남편에 대한 존중과 대우'''의 여부이다. 경제권을 아내가 갖고 남편이 용돈을 타서 쓰는 문화는 [[산업화]] 시대에 생긴 것으로, [[월화수목금금금|시당시의 엄청난 근로시간]]으로 인해직장인이 가정에 신경을 쓰기 힘들었고 이로 인해 남편이 살림과 육아, 교육에 대해 무지한 경우가 많아 살림을 꿰뚫고 있는 아내가 가계의 전권을 쥐고 허리띠를 졸라메어 [[저축]]과 [[재테크]]를 하는 일이 흔했으며, 가부장적인 가정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었다. 오늘날도 마찬가지로 미래를 위해, 혹은 수입이 부족한 편이거나 수입이 감소해 어쩔 수 없이 절약이 강요되는 상황이라 '''부부가 함께''' 절약을 하는 경우는 당연히 퐁퐁단이 [[https://m.dcinside.com/board/dcbest/41881|아니다]]. 경제권을 전업주부인 아내가 쥐고 있더라도 아내가 전업주부의 본분에 충실하게 행동한다면 퐁퐁단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배우자에게 양보하는 것이 많다고 해서 반드시 퐁퐁단이라고 볼 수 없다. 배우자가 아예 거동이 불편할 정도의 선천적, 후천적 신체장애를 앓고 있어 다른 배우자가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퐁퐁단이 아니다. 참고로 '''꼭 퐁퐁단만 위의 부조리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장기간 연애 끝에 결혼한 부부도 초기에는 서로에게 진심으로 충실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권태|이런 문제는 충분히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커플-부부는 그 기간 동안 여러 가지 갈등도 겪어봤고 그에 대처할 수 있는 경험이 많으며, 서로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다. == [[퐁퐁시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퐁퐁시티)] == 가정폭력의 피해자 == 이러한 취급을 당하며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을 조롱하거나 놀리는 여론이 존재한다. 아직 한국 사회는 [[공처가|남자가 부인에게 잡혀사는 모습]]을 보이면 주변에서 비웃고 조롱하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라, 부당하게 경제권을 제한당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정보를 구하기 쉽지 않다는 점을 간과하면 안 된다. 다시 말해, 이들 역시 이것이 무조건 옳다고 생각하면서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다. 부당함을 인지하여도 딱히 방법이 없는 경우도 있다.[* 당사자와 이야기해봤자 싸움만 날 것 같거나 대화가 안 통한다면, 집안의 어른인 부모님과 장인, 장모님 혹은 배우자의 형제 등과 힘든일이 있으니 고민상담하고 싶은 일이 있자며 이야기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 이 문제는 실질적인 결혼의 진행자인 부모세대가 여전히 과거의 가부장제적인 결혼제도와 문화를 유지하는 가운데, 당사자 세대에서는 결혼 그 자체에서 연애권력이 과거와는 달리 여성쪽으로 많이 넘어오면서 생긴 제도와 현실 간 괴리, 부모세대와 자식세대의 정서적 괴리로 생겨난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초기부터 일방적인 제약을 요구받는 부부관계라면 딱히 [[논리]]적인 [[대화]]로 해결하거나 그것을 수용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님을 의미한다. 한국의 가정법 특성상 [[이혼]]을 결단하는 것 역시 큰 어려움이 따른다. 한국의 가정법은 제정 이후 철저한 [[가부장제]] 문화 속에서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여성측의 권리를 보호해주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왔기 때문이다. 간혹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자기 스스로 이러한 상황을 농담조로 말하거나 자조하는 경우도 있는 점, 또 그 대상이 주로 남성들이라는 점으로 인해 심각성이 부각되지 않지만 다른 방편이 없어 하는 수 없이 참고 사는 사람들도 많으며, 엄밀히 말하면 가정 내 [[발언권]]이나 [[권리]]가 약하여 부당한 처우를 받고 사는 [[가정폭력]]에 해당하므로 이들도 엄연히 [[피해자]]다. == 여담 ==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10&no=8885770|퐁퐁단 자가진단]]이라는 커뮤니티 인기글이 있다. * 재미로는 보기 좋지만 대체로는 평가기준이 너무 순한 맛이라는 의견이 더 많으며, 하나만 있어도 퐁퐁단 확정이나 다름없는 킬러문항도 있다는 반박들이 많다. 예를 들어 10번의 '만약 20대 시절이라면 현재 아내는 자신을 만나지 않았을 것이다.' * 반대로 퐁퐁단과 크게 관계가 없을 내용도 항목에 들어있다. 13번 '결혼할 때 금전적으로 자신이 분담한 부분이 더 많았다.'의 경우 퐁퐁남이 아니더라도 아직은 일반적으로 남자에게 더 많은 부담을 지우는 게 관습화 되어있기 때문. 경우에 따르는 내용도 많은데 19번 '아내와의 관계를 맺지 않은 지 1년이 넘었다.' 같은 경우도 본인이나 아내의 건강이 좋지 않아 성관계에 불편함이 있거나 혹은 피차 성관계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경우로 인해 해당될 수도 있다. * 설거지론이 유행하기 전에 [[괴담 동아리]]에서 퐁퐁단에 부합한 [[안경원]] 관련 에피소드가 등장하였다. * [[베트남인]] 인명으로 '퐁퐁남'이 실존한다.[* 사실 실제 발음은 '''퐁프엉나암'''에 가깝다.]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같은 베트남인 산업연수생들을 대상으로 [[강도]] 사건을 일으켰는데, 이것이 일부 [[남초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9454|관련링크]] 피해자도 같은 베트남인인데 공교롭게도 그의 이름 또한 [[찬반좌]]나 [[박찬호]]를 연상시키는 '찬반호'였기에 더욱 각광받았다. 게다가 공교롭게도 기사가 올라온 날짜가 '''[[한만두|1999년]]''' 10월 10일. * 퐁퐁단이라는 말이 나오기 몇년전에 실제로 부부싸움중 격분한 남성이 자기 와이프의 눈에 퐁퐁세제를 들이부어 병원에 실려가게한 사건이 있었다.[[https://m.wikitree.co.kr/articles/282605|관련 기사]] 이 사건은 퐁퐁단이라는 말이 처음 나온 이후 재조명되기도 했는데 이미 오래전부터 퐁퐁단이라는 단어가 나올 조짐이 보인거 아니냐는 주장들이 있다.[[https://m.dcinside.com/board/neostock/2089301|관련 링크]] * 보수 커뮤니티에서 생겨난 용어로 친민주당, 진보 커뮤니티에서는 언급이 금기시된다. 일베 용어를 사용하는것과 같은 취급을 받을수도 있다. * [[가부장제]]가 지금보다 훨씬 셌던 전근대에는 없었던 개념으로 알기 쉬우나, [[설거지론]]이나 퐁퐁남이란 단어만 없었을 뿐 옛날에도 퐁퐁남은 존재하였다. 옛날에는 최고권력자가 유약한 성품을 가진데 비해 그 권력자의 처가 악녀로 유명하거나 매우 권력지향적일때 발생했었다. 대표적으로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 1세]]가 이런 분야로 유명하다. * [[부기영화]]는 이 단어를 두고 등골이 오싹할 정도로 단단히 응축된 증오를 느낄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 관련 문서 == * [[설거지론]] * [[사기결혼]] * [[기러기 아빠]] * [[젠더갈등]] * [[갑과 을]] * [[취집]] * [[성형괴물]] * [[가정폭력]] * [[시집살이]] * [[삼식이#은어]] * [[국제결혼#s-3.3|국제결혼 비정상적 통계]][*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국적을 취득한 후, 한국에 있는 자국 남성과 재혼하는 사례.] * [[클라우디우스 1세]][* 이쪽은 생애 자체가 '''퐁퐁황제'''나 다름 없다. 4번 결혼 했고 4명의 아내 모두 '''진심으로 사랑하여''' [[공처가]]가 되었으나, 그의 아내들은 그를 무시하거나 '''권력장악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특히 세번째 아내인 [[발레리아 메살리나]]와 네번째 아내인 [[소 아그리피나]]([[네로]]의 친모)는 남편을 자기 권력을 위해 철저하게 이용해먹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나마 세번째 부인인 [[발레리아 메살리나]] 사이에서 친아들 [[브리타니쿠스]]를 얻긴 했으나, 클라우디우스 자신이 죽고 나서 친아들 브리타니쿠스는 후계황제로 즉위하기는 고사하고 네로와 소 아그리피나에 의해 제거되었다.] [[분류:설거지론]][[분류:속어 유행어]][[분류:성별혐오/용어/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