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폴란드의 역사)] [include(틀:러시아-폴란드 관계 관련 문서)] ||||<:> '''폴란드 왕국(폴란드 차르국)'''[br]'''Królestwo Polskie''',,([[폴란드어]]),,[br]'''Королевство Польское''',,([[러시아어]]),,[br][[러시아 제국]]의 [[동군연합]] || ||<:>[[파일:폴란드 입헌왕국 국기.svg|width=100%]]||<:>[[파일:폴란드 입헌왕국 국장.svg|width=100%]] || ||<:> 국기 ||<:> 국장 || ||||<:>[[파일:폴란드 입헌왕국(1815).svg|width=100%]]|| ||||<:> 1815년 ~ 1867년 || ||<:> 위치 ||[[동유럽]] || ||<:> [[수도(행정구역)|수도]] ||[[바르샤바]] || ||<:>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 ||<:> 국가원수 ||[[차르]][* 러시아 황제 겸임.] || ||<:> [[언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 ||<:> [[종교]] ||[[가톨릭]], [[러시아 정교회]], [[유대교]] 등 || ||<:> 통화 ||[[즈워티]], [[루블]] || ||<:> 성립 이전 ||[[바르샤바 공국]] || ||<:> 멸망 이후 ||[[프리비슬린스키|프리비슬린스키,,(러시아령),,]] || ||<:> 주요사건 ||1815년 [[빈 회의]]로 성립[br]1830년 11월 봉기[br]1863년 1월 봉기[br]1867년 붕괴|| [목차] [clearfix] == 개요 == 폴란드 입헌왕국은 [[1815년]]부터 [[1867년]]까지 오늘날 [[폴란드]]에 존속했던 왕국이다. 이 나라는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폴란드의 [[차르]]를 겸하는 [[동군연합]]이었다.[* 이 시기가 되면 "[[차르]]"는 왕작으로 격하가 완료된다. 현재도 슬라브어([[러시아어]], [[불가리아어]] 등)에서는 "차르"는 "[[왕]]"이라는 뜻만 가지고 있다. 반면 [[세르보크로아트어]]와 [[폴란드어]]로 차르는 여전히 [[황제]]를 가리키는 단어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러시아 원정]]에서 실패하고 몰락하자 [[프랑스 제1제국|프랑스]]의 비호를 받았던 [[바르샤바 공국]] 역시 해체되었다. [[빈 회의]]의 결과 공국은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삼국에게 분할되었으며 러시아 제국은 분할받은 영토에 폴란드 입헌왕국을 수립하였다. [[1825년]] [[12월 1일]] 러시아 제국의 황제로 즉위한 [[알렉산드르 1세]]의 동생 [[니콜라이 1세]]는 반동적인 군주로 [[폴란드인]]을 탄압하였고 이에 따라 [[1830년]] 11월 봉기가 발발했다. 그러자 니콜라이 1세는 [[1832년]] 폴란드 입헌왕국의 자치권마저 약화시키고 러시아 제국으로 사실상 귀속시켰다. 열강의 지원을 기대한 폴란드인들이 [[1863년]] 1월 봉기를 일으키자 당시 차르였던 [[알렉산드르 2세]]에 의한 탄압으로 실패, 4년 뒤인 [[1867년]] 무늬만 남은 폴란드 입헌왕국은 [[프리비슬린스키|완전히 러시아의 직할령으로 편입되었다.]] [clearfix] == 관련 문서 == * [[바르샤바 공국]] * [[빈 회의]] * [[러시아령 폴란드]] * [[프리비슬린스키]] * [[니콜라이 1세]] * [[알렉산드르 2세]] [[분류:폴란드의 역사]][[분류:차르국]][[분류:19세기 멸망]][[분류:러시아-폴란드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