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폰씨\, 폰(성씨),other1= 독일 인명 칭호, rd1=von)] [include(틀:디시인사이드/문화 및 유행어)] [목차] == 개요 == [[파일:0baade42876654bde80268ba40c84b5c.jpg|width=350]] [[https://gall.dcinside.com/m/laura/285500|원글 출처: 폰은정 이라는 이름 첨봄..]][* 현재 게시글은 삭제되었다.] [[2018년]]에 [[디시인사이드]]에서 화제가 되었던 글이자 [[밈(인터넷 용어)|밈]]. == 특징 == [[로라 메르시에 마이너 갤러리]]에서 어느 유저가 "폰씨 성을 가진 사람이 있어. 너무 신기해" 라며 글을 썼는데, 이에 "폰씨 성이 진짜로 있다고..? 중국인 아니야?" 라며 되묻자 "응 봤어. 실은 내가 만들어낸 성씨야 ㅋㅋㅋ 근데 성씨가 폰이라는게 특이한거 같아"라며 말도 안되는 어그로를 끌어대면서 화제가 된 밈. 별일 아닌 듯 자연스럽게 남긴 본문과 사람들의 반응, 그리고 마치 [[신어조작증]][*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실제 [[신어조작증]]은 언어 구사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일단 자신이 지어낸 것임을 인지하고 있는 폰은정은 신어조작증이 아니다.]처럼 물 흐르듯이 말도 안되는 소리를 전개하는 원작성자의 댓글이 합쳐서 화제가 되었다. 디씨에서 보통 이런 어그로글은 '어휴 [[병신]]' 하고 그려러니 넘어가는 경우가 많지만, 정말 진지하게 글을 쓴 작성자의 반응 때문에 웃기다는 반응보다는 ''''정신병 걸린 것 같다'''' 며 걱정하는 댓글이 많았다. 해당 게시글은 댓글이 무려 300개를 넘어가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다. 게시글이 적힌 로라 메르시에 마이너 갤러리의 수명은 끝났고 갤에서 나온 폰은정이 더 오래 살아남았다.[* 폰은정이 작성될 당시 로라 메르시에 마이너 갤러리는 활발하게 활동하는 마갤 중 하나였다. 그러나 해당 갤러리는 워마드 대피소라는 의혹이 나올정도로 남혐 사상이 굉장히 심한곳이었고, 이에 로라 메르시에 회사측에서 이미지 실추를 이유로 클레임을 걸어 이로 인해 유저들이 다른 곳으로 이동해 정전갤이 됐다.] == 실제로 존재하는가? == 중국계,[* 중국계 미국 이민자중에 pon 성씨 확인 [[https://www.ancestry.com/search/categories/40/?name=_pon|인구/가족관련 통계 사이트]] 해당 사이트에서 40년대 미국 인구자료 조사자료 참고.] 타밀계에 로마자 Pon이라는 철자의 성씨가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Pon_(surname)|링크]]. 이 성씨를 가진 인물 중 대한민국에 귀화자가 있는지는 불명. 물론 한국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씨를 한자로 표기하는 만큼 없을 확률이 크다. 추가로 미국 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독일과 네덜란드 이주자 중에서도 다수의 pon[* [[von]]이라 쓰기도 한다.] 성씨가 존재한다. [[von]]은 흔한 독일, 네덜란드계 성씨며 주로 '어떠한 지역에 유명한 누군가로' 지명 앞에 붙이는게 유래된 경우다. 자세한 내용은 [[성씨]] 문서 참고. 대표적인 예가 오토 폰 비스마르크이다. 또한 네덜란드의 경우 van에 해당하며 [[아민 반 뷰렌]]이 대표적. 한국 이민자들은 자녀의 [[성씨]] 문제로 놀림이나 따돌림이 될수 있어 한국식 성으로 등록하는 경우가 많지만 본국에서 사용하던 성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원래 사용하던 성으로 성/본을 창설해 해당 성의 시조로 등록된 외국인도 다수 존재하며, 유력한 후보로 [[다(성씨)|다씨]]가 있다.]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을 할 경우 혼인신고시 현지 발음 그대로 한글로 적은 이름으로 혼인신고를 할 것을 원칙으로 하므로 곧바로 한국식 성을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적 취득시나 개명(성본 창설)을 통해서만 한국식 성씨를 가질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한국에도 pon씨가 있을 가능성이 있고, 없다고 해도 추후에 생길 확률이 높다. == 밈으로서의 파생 == 위의 사례를 응용해서, 적당히 황당한 [[주작]]글을 쓰고 글의 뒷부분에 [[거짓말]]임을 밝히는 식의 글이 일종의 [[밈(인터넷 용어)|인터넷 밈]]으로서 소비되는 사례가 여럿 보이고 있다. 이런 경우 본래의 사례에서 나온 이름인 '폰은정'을 응용하여 '폰xx'라는 식의 명칭으로 부르고는 한다. 본인이 직접 겪었다며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커뮤니티 사이트에 쓸 경우 혹시 폰은정 본인인지 댓글로 신상을 추측하는 식의 밈으로 쓰인다. 이 밈의 유래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예의 폰씨를 [[von|Von]]이나 '''phone'''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가짜, 허위'라는 뜻의 영단어 ''''phony''''가 실제 존재하기 때문에, 이와 연관해 추론하는 의견도 있다.[* 해당 단어는 '도금한 놋쇠 반지'라는 뜻의 영단어 fawney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다수설이다.] 여기서 한단계 더 발전하여 허언증의 대명사처럼 변하면서 온갖 단어에 폰 또는 은정을 접두사, 접미사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다만 2021년 후반기부터 -은정은 거의 안쓰인다. 사람 이름이라 쓸 수 있는 상황이 한정되고 쓸 수 있는 상황에서도 폰-을 쓰는게 더 직관적이기 때문.] [[짭]]이라는 의미로도 많이 쓰인다.[* 다만, 폰은 아예 없는걸 지칭할 때, 짭은 있지만 가짜인걸 지칭할 때 쓰이므로 완전 대체된 단어는 아니다. 폰의 의미가 확장되어 짭도 포함되는 느낌.] 메가스터디 강사 [[현우진]]이 도형이 존재하지 않을 특정 조건을 언급하며 "이런건 폰도형" 이라고 밈을 활용한 바 있다. == 목록 == * [[나무위키]] 문서에서도 자기가 만든 설정을 타 게임에 실존하는 것처럼 교묘하게 끼워넣거나, 창작 게임 설정을 실제로 발매된 게임의 설정인 양 문서를 편집하고 아예 상상으로 창작한 문서까지 만들다가 [[문서 훼손]]으로 차단을 먹은 경우도 있다.~~레알 폰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10819469|사례1]] [[https://board.namu.wiki/qna/1701173|사례2]] [[https://board.namu.wiki/qna/1801262|사례3]] * '''[[미오(인터넷 방송인)|미오]]''': 이 분야의 '''사실상 원조격 인물'''이며, 나무위키에서 자신이 만든 설정을 실존하는 것 마냥 만들었으나 결국 가짜였음이 밝혀지면서 인방계에서 쫓겨났다. * [[https://bbs.ruliweb.com/hobby/board/300143/read/45290431|역대 폰은정 모음]]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ebble&no=3697912|하스스톤 대사 맞추기]]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ebble&no=3726029|대규모 돌은정]]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8&no=11279877|우한폐렴 자가치료항체 가진 소년 발견]] ~~폰은쥐엥~~ *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45917144?cate=497|폰콜릿]]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6&no=201528|폰샷]] * [[https://arca.live/b/city/93417378|폰신]]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8&no=13153493|폰천지]]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8&no=13295247|폰규현]] *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46353870|폰로또]][* 참고로 실제 902회 로또 당첨번호는 7, 19, 23, 24, 36, 39 / 보너스 30이다.] * [[https://theqoo.net/square/1924143394|폰폰은정]] * [[https://community.v.kakao.com/v/ARxW2Pdl4S|폰]][[환불원정대|불원정대]] * [[https://www.dogdrip.net/dogdrip/275142664|폰식빵]][* [[https://bad-mouth.net/2020/08/17/humor315/|원글]]은 삭제되었다.][* 구글 지도에 영등포 타임스퀘어 인근 홍등가에 '로로엘스 뒷골목점'이라는 장소가 등록된 적이 있었다.] *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7151523001|폰역사]][* 무려 러시아와 아무 연관이 없는 '''중국의 한 주부'''가 수 년 동안 위키피디아에 러시아 역사를 창작했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enrenovel&no=222771|악역이 이기는 소설]]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4905669|제곱해서 음수되는 수]] [[허수|첨봄...]][* 실제로 [[지롤라모 카르다노]]가 허수 개념을 처음 고안했을 당시 주변 수학자들의 반응이 저랬다. 당시는 [[음수(수학)|음수]]조차도 수로 인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란이 있었던 시기였기에 제곱해서 음수가 나온다는 개념은 말 그대로 어불성설이었다. 다만 허수 단위를 [math(i)]로 정의한 사람은 카르다노가 아닌 [[레온하르트 오일러|오일러]]다.] * [[https://theqoo.net/square/1604664978|폰은정 글쓴애는 지가 폰 뭐뭐 유행시킨거 엄청 뿌듯해하더라 ㅋㅋ]] * [[http://web.archive.org/web/20210131041803/https://twitter.com/hhaappyy88/status/1355731958676869121|이중 폰팩트]][* 이 경우에는 작성자가 지어낸게 얼떨결에 우연히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진짜로 맞아떨어지는 경우다.]] 실제로 [[신동엽]]이 [[동대문 엽기떡볶이]]의 광고 모델이 된 이유가 '''辛(신)''' '''동'''대문 '''엽'''기떡볶이 이렇게 [[역 두문자어]]에 맞춰서라고 한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shinproject&no=1645487|폰효도]] *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2749261|폰 식재료]] * [[https://youtu.be/w21zKYZxQvw|폰유미]]: 스트리머 [[김도]]가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유미(리그 오브 레전드)|유미]]로 플레이 하던 중 유미의 텔레포트 능력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텔레포트 된 줄 알고[* 출시 초기엔 텔레포트도 같이 따라갔으나 초보자용으로 만든 챔피언을 프로 레벨에서 악용(?)하기 시작하자 삭제되었다.] 한타를 하는 장면이 화제가 되었다. * [[괴담 동아리]]: [[김은정(괴담 동아리)|폰은정을 모티브로 한 괴담이 등장한다.]] * [[놀면 뭐하니?]]: "폰단톡방"이라는 표현을 썼다.[* 유재석이 조세호에게 자신이 한 말들을 개그맨 후배들이 있는 단톡방에 올려달라고 한 것. 물론 그런 톡방이 없어서 '실존하지 않는 폰단톡방'이라는 자막이 나갔다.] * [[돌아온 씽씽이]]: 의사의 이름이 [[https://www.youtube.com/watch?v=twNvR1N91_M|폰이 박사]]이고, 책꽂이에 있는 책 중에 《[[https://www.dogdrip.net/348302333|내친구 폰은정]]》이 있다. * [[열정 품은 타이머]]: 타이머 앱으로 앱 내의 열정 카페에서는 폰은정+열품타를 합친 용어인 '폰품타'를 사용한다. * [[오늘부터 시작하는 소꿉친구]]: '폰꿉친구'라고 불린다. 실제로는 소꿉친구가 아니지만 소꿉친구가 된 것과, 소꿉친구라고 하지만 사실상 연인사이기 때문이다. * [[유추프라카치아]]: 김하인의 2001년 소설 《허브를 사랑하나요》에 등장해서 알려진 가상의 꽃인데, 2002년 1월 경 이 꽃에 대한 글이 인터넷 상에서 [[http://cbrlike.blogspot.com/2006/11/ucupra-cacia-uchiufra-caacheea_22.html|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가수 테이의 앨범명과, 토니 안의 [[https://www.youtube.com/watch?v=1SZJozqw7t4|동명의 곡]]의 소재가 되고, [[https://blog.naver.com/misoboystory/80150943342|꽃말]]까지 만들어지자 이 [[밈(인터넷 용어)|밈]]이 유명해진 이후에는 가상의 꽃이 실제로 존재하는 식물인 것처럼 돌아다녀서 그런지 [[https://theqoo.net/square/1563107457|폰식물]]이라는 드립이 있다. == 관련 문서 == * [[속어 유행어 관련 정보]] * [[신어조작증]] * [[허세]] * [[허언증]] [[분류:디시인사이드/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