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 글자 차이의 비슷한 역, rd1=포항역)]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tickySableAlikeRose, 합의사항1=경의선 분류를 추가하는 것으)] {{{+1 Phohyang Station }}} ||<-3> {{{+2 '''포향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신의주 특별 행정구 신의주시 락원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Phohyang || || [[한자]] ||<-2> - || || [[간체자]] ||<-2> - || || [[일본어]] ||<-2> ポヒャン || ||<-3> '''주소''' || ||<-3> [[평안북도]] [[신의주시]] 락원1동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개천철도총국 관리) || ||<-3> '''운영 기관''' || || [[평의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3> '''개업일''' || || [[경의선]] ||<-2> 1906년 4월 3일 || ||<-3> '''열차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룡천역|룡 천]][br]← 7.1 ㎞ || '''[[평의선]]'''[br]포 향 || [[신의주청년역|{{{#585858 {{{#!html
신의주청년 방면
}}}}}}]][[남신의주역|남신의주]][br] 3.1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의선]]의 철도역. [[신의주시]] 락원동 소재. 경의선에서 이 역부터 북위 40도선 이북에 속한다. == 상세 == 이 역의 이름을 두고 락원역[* 두음법칙 미적용시의 명칭이다.두음법칙을 적용할 경우 낙원역.], 포향역, 신포향역으로 자료마다 엇갈리는데, 북한에서 2009년 발간한 철도역명유래에서 정확히 포향역으로 기재하고 있다. 개명 시기도 1990년 2월로 확실히 적어놓고 있다. 비교적 최근에 개명되었기 때문에 국내 자료들마다 혼동이 온 것으로 보인다. 포향, 신포향은 지명이 아니라 사람 이름으로, 1984년 8월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은 여성당원인 신포향의 이름을 딴 것이다.[* 신포향은 당시 락원기계제작소 주물직장 당원이었는데, 1952년 6월 21일 공장 당세포총회에 참가한 김일성이 전후복구 문제를 걱정하자 "우리 로동계급이 있는 한 복구는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는다."며 호언장담, 자신이 근무하는 주물직장의 당원 10명과 함께 자신의 결의를 관철하여 김일성이 훗날 "일생을 통해 잊을 수 없다."고 했다 한다. 비슷한 사례로 종파투쟁 당시 현지지도길에서 김일성을 붙잡고 "수상님, 우리 인민들은 오로지 수상님만 믿습니다."라며 힘을 줬다는 태성할머니 이야기가 있는데 신포향과 달리 태성할머니는 아직도 정체 불명.] 인근에 락원기계련합기업소 신포향주철공장이 있다. 역은 신의주시의 남부에 있으며, [[천마군]] 만풍호에서 발원하여 [[압록강]]으로 합류하는 삼교천의 하류가 이 역에서 남쪽으로 1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이 역과 [[룡천역]] 사이에 립암역이라는 역이 존재했던 것 같으나, 아무래도 폐역된 듯하다. 구글어스 지도를 통해 그 인근을 보았을 때 시가지 비슷하게 인구밀도가 높아 보이는 곳을 지나치는데, 거기가 립암역 인근. [[평라선]]에 락원역이 있는데, 이 [[락원역(평라선)|락원역]]은 광복 직후까지 [[함주군]] 퇴조면이었던 곳을 바로 옆의 [[홍원군]] 삼포면과 합쳐서 [[락원군]]을 신설하면서 락원역으로 명칭이 바뀐 것. 참고로 그 락원역은 [[지상락원|락원]]에서 유래했다. 여기 락원동도 마찬가지 아닌가 싶겠지만 이건 이미 조선시대부터 있었던 지명이다. 인근의 락청동(樂淸洞)이 여기와 한 세트다. 아마 통일 되면 낙원역으로 되돌리게 될 것 같다. 승강장은 2면 4선. 작기도 작지만 아주 좁다. 게다가 인근에 인입선이 쭉쭉 뻗어나가 있어서 이건 뭐 선로용량이 버텨날지 의심스러운 수준. [[신의주청년역|신의주역]]과 이 역 사이에 통학열차가 운행된 적이 있다고 한다. [[분류:평의선]][[분류:190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경의선의 철도역/북한]][[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