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6.25전쟁 전투 및 작전 목록)] [목차] == 개요 == [[파일:영천_포항_방어선_1950.jpg]] [[1950년]] [[8월]], [[대한민국 육군]] [[제3보병사단|제3사단]]이 [[포항시|포항]] 독석동에서 벌인 철수작전. 위의 작전도에서 포항 이북 해안에 아군 방어선으로 나타난 곳이 해당 지역이다. == 상세 == [[조선인민군 육군]]은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를 점령한 뒤 유엔군의 해, 공군의 강력한 화력으로 동해안 도로를 이용할 수 없게 되자 해안으로부터 서쪽으로 2~8Km 떨어진 야산지대를 따라 침투하기 시작했다. 8월 13일 아침 국군 제3사단은 하송동에서 부대정비를 끝마친 제22연대 2개 대대를 제23연대 방어지역 좌측방에 있는 462고지 일대에 배치하고 1개 대대를 [[사단(군사)|사단]] 예비로서 하송동에 대기시켰다. 한편 [[사단장]] [[김석원]] [[준장]]은 모든 보급을 선박 수송에 의존하고 있는 어려움과 북한군이 사단 방어지역을 남북 양편에서 협공하려는 징후가 포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해상철수의 시기가 임박했다고 판단했다. 또한 이를 위해 사단 참모진을 동원해 해안선을 답사한 뒤 독석동-조사동 간의 1km 해안이 선박 접안에 적합하고 승선을 위한 해안 교두보 확보에도 용이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지역 내의 이용 가능한 [[어선]]을 은밀하게 파악하면서 우발사태에 대비하였다. 한편 462고지, 봉황산, 구계동 방어선 일대에선 쉴 새 없는 교전이 이어지고 있었다. 15일 새벽에는 포항 흥해 북쪽에서도 북한군이 출현함으로써 육군 제3사단은 머지않아 그들의 협공이 가해질 것이라고 직감하게 되었다. 한편 이 와중에 서쪽에서 병행중인 [[영천·신녕전투|안강-기계지구의 전황]]이 좀처럼 호전될 기미가 보이지 않을 뿐더러 3사단이 구계동, 월포동에 고립되자 [[대한민국 육군본부]]는 [[미8군]]과 협조 후 3사단에 해상철수명령을 하달하였다. 이에 3사단도 이날 저녁 23연대를 지경동, 화진동에 재배치하고 그 엄호 하에 22연대를 철수시켜 화진동, 독석동에 배치하였다. 16일 오후 9시 3사단은 [[UN]]군이 고용한 [[일본]] [[상선단|민간 해운사]]의 [[전차상륙함|LST]] 4척이 독석동 해안에 접안할 것이라는 육군본부의 전문을 받았다. 김석원 장군은 북한군과 접전 중인 상황 속에서 해상철수를 해야 하는 이 어려운 작전의 성패는 오직 기도비닉에 달려있다고 판단하고 해상철수를 극비에 부치는 한편 특히 피난민의 동태를 살피도록 강조하였다. 이는 이 당시 피난민 속에 협조자 및 반공 인사 외에도 친북 성향의 편의대와 첩자들이 섞여 있었기 때문으로, 이들에게 누출된다면 수적으로 유리한 북한군이 철수 전 피해를 최대한 주려고 전면 공세를 펼칠 게 뻔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일련의 대책이 강구된 뒤 김석원 장군은 각 [[연대장]]과 [[참모]]들을 소집해 해상철수작전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설명하고 다음과 같은 해안지대까지의 철수계획을 하달하였다. > * 각 [[연대(군대)|연대]]는 각 [[대대]]별로 1개 [[중대(군대)|중대]] 규모의 잔류접촉분견대를 편성한 후 8월 16일 오전 9시에 일제히 공격을 가하여 대치 중인 북한군을 격퇴한 직후 지정된 해안지대로 철수한다. > > * 잔류접촉분견대는 17일 오전 4시 약정된 신호탄이 발사되면 지체 없이 철수한다. 기타 병력과 장비는 일선 연대가 승선하기 이전에 병력 승선과 장비 탑재를 마친다. 기만대책으로는 [[트럭]] 6대를 동원하여 17일 자정부터 1시간 30분 동안 독석동 방화동 간 2Km 구간을 왕복운행하면서 국군 증원병력이 상륙한 것처럼 가장한다. > > * 제11야전포병부대의 1개 중대는 잔류접촉분견대가 철수할 때까지 독석동 해안에서 요란사격을 계속한다. 그리고 김 장군의 의도대로 각 병력들은 야음을 틈타 승선과 장비 탑재를 진행할 수 있었다. 17일 오전 6시 부상자 125명을 포함한 3사단 병력 9,000명과 [[경찰]] 1,200명 그리고 지방[[공무원]] 및 노무자와 [[반공]]투사 [[피난민]] 등 10,000여 명이 승선을 완료하고 모든 장비와 '''[[송아지]]'''까지 여유롭게 실었다.[* 피난민들이 송아지를 끌고 배에 오르려는 걸 미군이 막자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8&num=3543|송아지가 없으면 농사를 못짓는다]]'''며 결국 태워갔다고. ~~일본군 출신이라고 다 똑같은 게 아니다~~] 사실 병력 승선계획을 수립할 당시 김석원 장군은 경찰과 지방공무원 및 반공인사들을 필히 탑승시켜야 한다고 역설했는데, 자기 병력과 장비 챙기기에도 급급한데도 이렇게 한 이유는 국군이 작전을 할 때마다 민간인들이 제보나 편의 제공, [[노무자|물자 운송]] 등 소박하면서도 큰 도움을 주었기 때문으로, 자기들끼리 멋대로 철수한다면 향후 이들의 협력을 얻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이 와중에 북한군은 제3사단의 의도를 알아차리고 오전 6시 정각이 조금 지났을 때부터 독석동 뒷산에서 [[박격포]]와 [[기관총]]을 사격하며 들이닥쳤고, 앞서 출항준비를 끝마친 3척의 LST는 먼저 해안을 떠났다. 그리고 홀로 남아 3사단 참모진들과 철수중인 잔류 분견대를 기다리던 한 척은 포탄이 바로 앞까지 떨어지자 멋대로 철수를 감행하려 했으나, 이미 승선중인 사단 [[군사경찰|헌병]] 몇 사람이 일본인 [[선장]]을 설득해 다시 접안하게 하였다. 그리고 오전 7시 경 마지막 철수병력들과 김석원 장군과 참모진들까지 다 탑승함으로서 마지막 철수가 시작되었다. 또한 직후 [[미합중국 공군|미 공군]] [[전투기]] 편대가 상륙지점에 나타나 몰려온 북한군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었다. 한편 LST 4척은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 [[순양함]] [[볼티모어급 중순양함|USS 헬레나 함]]과 [[구축함]] 4척의 호위 속에서 오전 10시 30분쯤 후방 [[구룡포읍|구룡포]]에 도착함으로써 제3사단의 해상철수작전은 종결되었다. == 영화 [[고지전(영화)|고지전]]에서의 왜곡 == [[2011년]]에 개봉된 [[대한민국]]의 전쟁영화 [[고지전(영화)|고지전]]에서는 단 한 사람의 낙오자 없이 민간인에 [[송아지]]까지 태우고 유유히 빠져나간 이 작전을 '''철수하는 육군 장병들 중 일부가 탑승한 해군 상륙정이 승선인원을 초과하자 같은 중대원들을 쏴 갈기고 내뺀 추악한 철수작전으로 왜곡'''하여 많은 사람들한테 욕을 먹었다. 또한 실제 철수는 일본 상선단의 LST로 이뤄졌음에도, 현장에 동원되지 않은 [[대한민국 해군]] [[상륙정]]이 등장한 것도 고증오류다. 전쟁의 잔혹한 면을 보여주는데 적합한 실패한 작전이나 패배한 전투가 많았음에도, 누가봐도 성공한 철수작전을 왜곡했다는 점이 심각한 문제. 실제로 이 영화처럼 개봉 당시 군 관계자들을 거북하게 만든 [[미국]]의 전쟁영화 [[플래툰(영화)|플래툰]]의 경우, 영화상으로 나온 [[베트남전]]의 처참한 군상들은 감독 올리버 스톤이 각색한게 아니라 실제 [[베트남전]]에서 있었던 것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다. 반면에 [[고지전]]에서 나온 포항 철수작전은 '''완전히 왜곡'''된 것이다. 정치성향을 떠나 거북하지 않을 수가 없다. 다만 아예 역사고증물이 아닌, 그냥 [[6.25 전쟁]]을 배경으로 한 반전주의(라기보단 전쟁의 잔혹함에 대한 표현) 위주의 '''대체역사물''' 임을 명확히 표명했으면 문제없이 넘어갈 수 있었을 것이다. 아니면 '애록'처럼 가상의 지명을 사용했다면 나았을 것이다. [[분류:1950년 전투]][[분류:6.25 전쟁/전투]][[분류:포항시의 사건사고]][[분류:제3보병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