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포항시의 버스)] [[파일:포항버스 100번 신도색.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포항시 CI_White.svg|width=45]] {{{#ffffff 포항시 일반좌석버스 100번}}} || ||<-2><:>기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문덕차고지)||<-2><:>종점||<:>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토성리(신광면사무소) || ||<|2><:>종점행||<:>첫차||<:>05:20||<|2><:>기점행||<:>첫차||<:>05:50|| ||<:>막차||<:>22:20||<:>막차||<:>22:50|| ||<-2><:>배차간격||<-4><:>35분|| ||<-2><:>운수사명||<:>[[코리아와이드 포항]]||<-2><:>인가대수||<:>7대|| ||<-2><:>노선||<-4><:>문덕차고지 - 문덕2리 - 용산아파트 - 용산1리 - 용산2리 - 천마아파트 - 신문덕코아루 - 문덕3리 - 오천읍사무소 - 오천환승센터 - 오천초교 - 동해빌라 - 청림삼거리 - 남구보건소 - 포스코본사 - 현대제철 - 형산로터리 - 남구청.[[포항 야구장]] - 뱃머리 평생학습원 - [[포항터미널]] - 죽도시장 - 북부시장 - 드림스타트 - 우현경로당 - 영신고 - [[선린대학교]] - 초곡지구 - 흥해공고 - (← 흥해중 ←) - 롯데리아 - 흥해환승센터 - 한동맨션 - 매산리 - 용연저수지 - 신광면사무소|| ||<-6> [[파일:포항시 CI_White.svg|width=45]] {{{#ffffff 포항시 일반좌석버스 100번(냉수리)}}} || ||<-2><:>기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문덕차고지)||<-2><:>종점||<:>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냉수리(냉수리) || ||<|2><:>종점행||<:>첫차||<:>05:55||<|2><:>기점행||<:>첫차||<:>06:25|| ||<:>막차||<:>17:34||<:>막차||<:>19:19|| ||<-2><:>배차간격||<-4><:>1일 8회|| ||<-2><:>운수사명||<:>[[코리아와이드 포항]]||<-2><:>인가대수||<:>-|| ||<-2><:>노선||<-4><:>문덕차고지 - (본선과 동일하게 운행) - 신광면사무소 - 죽성입구 - 우각리 - 냉수리|| ||<-6> [[파일:포항시 CI_White.svg|width=45]] {{{#ffffff 포항시 일반좌석버스 100번(반곡리)}}} || ||<-2><:>기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문덕차고지)||<-2><:>종점||<:>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반곡리(반곡리마을회관) || ||<|2><:>종점행||<:>첫차||<:>07:05||<|2><:>기점행||<:>첫차||<:>08:45|| ||<:>막차||<:>18:44||<:>막차||<:>20:29|| ||<-2><:>배차간격||<-4><:>1일 5회|| ||<-2><:>운수사명||<:>[[코리아와이드 포항]]||<-2><:>인가대수||<:>-|| ||<-2><:>노선||<-4><:>문덕차고지 - (본선과 동일하게 운행) - 신광면사무소 - 신광시장 - 사정2리 - 만석2리 - 신광온천 - 반곡리마을회관|| == 개요 == 포항시 좌석버스 노선 중 하나. == 역사 == === [[신광면(포항)|신광]]행 노선의 역사 === * 터미널-흥해-신광(토성) (-냉수) (-반곡-기일-마북) 노선을 운영하였던 550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다. * [[성원여객|성원여객]] 매각으로 터미널 차고지 사용이 불가해짐에 따라 [[포항 버스 500|500번]] 노선으로 흡수합병되었다. * 2008년 11월 1일 대대적인 노선 개편으로 [[포항 버스 흥해지선|흥해지선]](흥해*신광지선)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551 : 흥해환승센터 - 신광면사무소 - 552 : 교도소 - 흥해환승센터 - 신광면사무소 - 냉수리종점 - 553 : 흥해환승센터 - 신광면사무소 - 반곡리 - 554 : 흥해환승센터 - 신광면사무소 - 반곡리 - 기일리 - 555 : 흥해환승센터 - 신광면사무소 - 반곡리 - 마북리[* 단지 개편안일 뿐이며 실제로는 554, 555 구분 없이 흥해-신광-반곡-마북-기일-반곡-신광-흥해로 운행] * 100번 노선이 신설되기 전까지 저녁시간대에는 500번 노선이 지원운행한다. === 신광지역 미운행 시절의 100번 버스 역사 === * 2008년 11월 1일 300번(오천-지곡) 노선 폐지 → 잉여 좌석차량의 130번(일반), 외곽지선 등지로 이동되었다. * 2008년 11월 22일 잉여좌석차량으로 배차간격 15분의 노선이 신설되었다. (문덕 - 오천 - 포스코 - 고속터미널 - 죽도시장 - 선린병원 - 흥해) * 대유,삼도아파트 및 야간 시간대 [[신광면(포항)|신광]]행 지원운행한다. === 좌석버스 100번 노선의 [[신광면(포항)|신광]]방면 운행 === * 2010년경 버스노선 개편으로 배차간격 35분의 신광행 노선으로 개편되었다. (문덕 - 오천 - 포스코 - 시외버스터미널 - 기존 550번 노선 - 신광) * 냉수리, 반곡리 계통 운행 지원으로 신광지선 노선이 폐선되었다. (기일, 마북행 노선은 [[포항 버스 청하지선|청하지선]]에 편입) * 2018년 10월 1일부터 기존 운전면허시험장-오천읍민운동장-문덕마을회관-화이트빌라-문덕교-문덕초등학교로 가지 않고, 음영지역 보완을 위해서 문덕2리(지선용)-용산아파트-용산1리-용산2리-천마아파트-신문덕코아루-문덕3리-청호하이츠 루트로 변경되었다. * 포항역 신설 당시에 흥해방면 노선 중 유일하게 포항역 경유없이 유지되었다가 초곡지구 신규 입주로 인하여 초곡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 초곡지구 인입도로(고가도로) 개통으로 인하여 지구내 노선이 개편되었다. == 특징 == * 서문에서 [[포항터미널]]까지의 유일한 노선이며, 오천읍 내를 관통하면서 포항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하는 가장 빠르고 유일한 노선이다. 하지만 배차간격이 30분대라 시간표를 보고 타는 것이 좋으며 만약 시간대가 안 맞는데 오천읍내에서 포항시외버스터미널을 가려면 남구보건소 앞에서 200번으로 환승하거나, 차라리 문덕차고지로 되돌아가 107번, 500번, 510번을 애용하자. * 신광면 주민들의 교통을 담당하는 노선이다. * 신광면사무소에서는 국사 시간에 배우는 [[포항 냉수리 신라비|영일냉수리비]]를 볼 수 있다. * 신광면 냉수리까지 8회, 신광면 반곡리까지 6회 연장 운행한다. * 흥해 초곡지구를 경유하는 유일한 시내버스이다. * 북구청, 포은중앙도서관 인근에서 신광 방향 포은중앙도서관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하고, 문덕 방향 북구청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 '한동맨션 - 신광면사무소' 구간은 독점 구간이다. 그 외에 냉수지선과 반곡지선은 지선 구간 모두가 독점구간이다. * [[포항역]] 신 역사는 경유하지 않으니 주의. * 천마아파트 주민들의 노력으로 기존 오어사지선이 다니던 일부 구간(청호하이츠, 문덕3리, 천마아파트)에 100번이 들어가며, 신문덕코아루 정류장이 신설되었다. * 2020년 7월 25일 개편으로 폐선되었다. 기존 구간은 306번과 308번이 대체하게 된다. * 문덕2리~청호하이츠 (보광그린타운, 용산삼주타운, 신문덕코아루, 천마타운, 오천청호하이츠) 구간은 308번이 담당한다. * 오천에서 시외버스터미널로 한 번에 가는 역할은 306번 신설 간선노선이 담당한다. * 초곡지구는 양덕순환(120/121번)과 308번이 담당한다. * 흥해~신광 구간은 신광까지 연장된 308번이 담당한다. * 2020년 7월 25일 개편으로 이 노선 차량들은 전부 9000번 급행버스로 넘어갔다. * (추후 9000번 노선 조정 및 근무조건 완화와 외곽노선 신설로 1대가 580번으로 넘어가긴 했지만...) * (결과 9000번은 9대에서 8대로 1대 줄어들긴 하였다. ) === 시간표 === [[http://www.pohang.go.kr/sites/bis/images/sub/guide/file/100.pdf|#]]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 [[괴동역]](여객업무 미실시) [[분류:포항시의 폐선된 시내버스]][[분류:2020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