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doraemon-anywhere-door.jpg]] [[어디로든 문|가장 대표적인 예시]] [목차] == 개요 ==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Main/PortalDoor|Portal Door]]''', [[포털]] + [[문]] 창작물에서 자주 쓰이는 소재중 하나로, 문 넘어가 [[포털|다른 공간하고 이어진 형태]]를 뜻한다. [[포탈]]이라는 설정 자체가 워낙 흔하고 [[문]]이 일상 생활에서 자주 쓰이다보니 쉽게 결합될 수 있는 아이디어라서, [[순간이동]]과 비슷한 수준으로 창작물에서 자주 쓰이는 설정이다. 경우에 따라 단순히 공간만 이어진게 아니라 다른 시공간하고 이어지며 공간이동 뿐만 아니라 시간이동까지 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일종의 타임포탈을 겸하는 것. == 목록 == * 문 자체가 특별한 경우는 🚪 표기. * 열쇠 자체가 특별한 경우는 🔑 표기. * 사용자 자체가 특별한 경우는 🧍 표기. (중복 표기 가능) * 등재 기준은 아래와 같다. * 반드시 '문' 이라는 '''물리적인 매개체'''가 필요해야하며, 단순히 그 자체로 있을 수 있는 포탈인 경우는 제외된다. 매개체 없이 그 자체로 있을 수 있는 포탈의 생김세 단순히 사각형[* [[로키(드라마)]]의 [[TVA]]가 사용하는 타임 도어, [[포탈 리로디드]]의 타임 포탈 등.]인 경우는 일단 이 문서 목록에서 정의하는 포탈 문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 매개체가 있더라도 원형의 게이트 같은 형식이 아닌 '문'의 형태여야 한다. * 공간이 직접적으로 물리적으로 이어진 형태여야하며[* 쉽게 말해 내가 직접 문을 통과하기 전에도 이미 문 넘어 출구쪽 공간의 풍경이 보여야한다.], 공간이 직접 이어진 것이 아닌 단순히 그 문 사이에 있으면 사용자를 워프시키는 방식은[* 마인크래프트의 네더 포탈 같은 경우.]은 인정되지 않는다. === 만화/애니메이션 === * '''[[도라에몽]] - [[어디로든 문]] ''' - 사실상 이 분야의 본좌 🚪 * [[하울의 움직이는 성(애니메이션)]] - '움직이는 성' 내에 존재하는 4색 나침반이 달린 문 🚪🧍 * [[몬스터 주식회사]] - 아이들 침실과 연결되는 문들 🚪 * [[청의 엑소시스트]] - 정십자 학원의 열쇠 🔑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1기 44화에서 등장한 쿠루루의 발명품 🚪 * [[스즈메의 문단속]] 🚪 - 저승으로 이어진 문이며, 열쇠는 이를 잠그는 역할을 한다. === 드라마/영화 === * '''[[로스트 룸]]''' - 열쇠 🔑 * [[별에서 온 그대]] - [[도민준]] 🧍[* 사실 일반적인 순간 이동도 가능하나 문을 포탈화 시키는 묘사도 종종 등장한다. 경찰서에서 취조받다 도망갈때나, 순식간의 병원에서 이재경의 사무실로 이동할때 등.[[https://www.youtube.com/watch?v=OVCeWS1JyYk|#]] 이때 장면을 보면 명백하게 벽 넘어로 병원 복도와 이재경 사무실이 물리적으로 이어져있다.] * [[도깨비(드라마)|도깨비]] - [[김신(도깨비)|김신]] 🧍 * [[닥터 스트레인지]] - [[https://marvelcinematicuniverse.fandom.com/wiki/Rotunda_of_Gateways|생텀에 존재하는 포탈 문]] 🚪 *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 [[비샨티의 책]]이 있는 차원과 이어진 통로 🚪 === 게임 === * [[슈퍼리미널]] - 게임 중 퍼즐 요소로 다른 공간과 이어진 문이 자주 등장하며, 문의 크기에 따라 통과하면 사용자의 크기도 변해진다. === 소설/기타 === * [[SCP 재단]] * [[SCP-004]] 🚪🔑[* 열쇠와 문 모두에 변칙성이 있어 각각 세트로 사용해야만 다른 공간과 이어진다.] * [[SCP-432]] 🚪 [[분류:클리셰]][[분류:판타지]][[분류:S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