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문단마다 ##문법으로 숨겨진 문장은 해당 문단의 가이드이므로, 이 문장을 포함해서 삭제하지 마세요. [include(틀:다른 뜻1, from=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other1=다이아몬드의 브릴리언트 컷, rd1=다이아몬드, anchor1=컷)] [include(틀:포켓몬스터 시리즈)] ||<-2>
'''{{{+1 {{{#ffcc00 포켓몬스터}}} {{{#c7f3fe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fff ·}}}{{{#f4defa 샤이닝 펄}}}}}}'''[br]{{{#ffcc00 ポケットモンスター}}} {{{#c7f3fe ブリリアントダイヤモンド}}}{{{#fff ·}}}{{{#f4defa シャイニングパール}}}[br]{{{#ffcc00 Pokémon}}} {{{#c7f3fe Brilliant Diamond}}}{{{#fff ·}}}{{{#f4defa Shining Pear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dspkor.png|width=100%]]}}} || || '''개발''' ||[[ILCA|[[파일:이루카 로고.png|width=60]]]] || || '''유통''' ||[[닌텐도|[[파일:닌텐도 로고.svg|width=80]]]] || || '''플랫폼'''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theme=light]][[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ESD'''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height=16]]]] || || '''장르''' ||[[롤플레잉 게임|RPG]] || ||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width=22]] [[2021년]] [[11월 19일]][* 일부 국가 제외.] || || '''엔진''' ||[[유니티(게임 엔진)|[[파일:유니티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유니티 로고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포켓몬 본가 시리즈 최초로 게임 프리크 자체 엔진이 아닌 상용 엔진을 사용했다. 사용 언어 자체는 비슷하다.]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e234c08a59d5cdeac4a57adcc790d861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심의 내용]]{{{-3 ^^(BD)^^}}}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b9b9d9daf66de867bdf6263a02edf7d7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심의 내용]]{{{-3 ^^(SP)^^}}}] || || '''해외 등급'''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파일:CERO A.svg|width=17]] '''{{{#000000,#dddddd CERO A}}}''']][br][[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Everyone.svg|width=16]] '''{{{#000000,#dddddd ESRB E}}}''']][br][[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7.svg|width=16]] '''{{{#000000,#dddddd PEGI 7}}}''']][br][[오스트레일리아 등급 위원회|[[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width=16]] '''{{{#000000,#dddddd ACB PG}}}''']] || || '''판매량''' ||'''1,506만 장''' ^^(2022. 12. 31.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s://pokemonkorea.co.kr/bds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한국^^]] | [[https://www.pokemon.co.jp/ex/bds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일본^^]]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nintendo.co.kr/70010000039952|[[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width=25]]]]^^BD^^ | [[https://store.nintendo.co.kr/70010000039957|[[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width=25]]]]^^SP^^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HF87PihuGc)]}}}|| || '''{{{#fff 소개 영상}}}''' || >'''[[신오지방]]에 숨겨진''' >'''[[디아루가|시간]]/[[펄기아|공간]]을 다스리는 포켓몬의''' >'''신화를 밝혀내자!''' >---- >''— 패키지 뒷면 문구''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그때 그 찬란함]]을 다시 한번''' >---- >''— 캐치프레이즈''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의 리메이크 작품. 8세대에 해당하는 만큼 바로 이전 작품인 소드실드에서 새롭게 추가된 몇몇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대코파스]]와 [[레지기가스]]가 [[바디프레스(포켓몬스터)|바디프레스]]를 배울 수 있다. / 성격 민트가 존재한다. / 특성에 관련하여, '위협'이 '정신력, 둔감, 마이페이스'에 무효화된다.] 포켓몬스터 본가 작품 중 최초로 [[게임프리크]]가 아닌 외주 개발사인 [[ILCA]][* 포켓몬 관련으로는 기존에 [[포켓몬 홈]]을 개발한 이력이 있다.]가 개발을 담당한다. 실개발은 ILCA가 맡았지만 원작 게임의 디렉터였던 게임 프리크의 [[마스다 준이치]]가 디렉터를 맡아 게임 개발을 총괄했으며, [[포켓몬 홈]]의 개발에 참여한 ILCA의 우에다 유이치(植田祐一)도 공동 디렉터로 게임 개발을 지휘하였다. 메인 프로듀서는 [[닌텐도]]의 키나시 아키라(木梨玲).[* 닌텐도 측에서 [[포켓몬스터]]를 전담하고 있는 개발자 중 1명으로, [[TETRIS 99]]의 프로듀서로 유명하며 [[별의 커비 시리즈]],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시리즈]] 등의 프로젝트 매니저이기도 했다.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부터 현지화 및 프로젝트 매니저로 포켓몬스터의 개발에 참가하다가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부터 포켓몬스터의 보조 프로듀서를 맡게 되었다. 이번 작품은 키나시 아키라가 외전작인 [[Pokémon Café Mix]]를 제외하면 포켓몬스터에서 처음으로 메인 프로듀서를 맡은 작품이다. 이후 키나시 아키라는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도 메인 프로듀서를 맡게 되는데 [[오오모리 시게루]]와 함께 [[마스다 준이치]]의 뒤를 이어 메인 프로듀서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듯.] 발매 기종은 [[닌텐도 스위치]]이다. 원작의 한국 발매명을 따를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으나, 리메이크는 제대로 "다이아몬드/펄"로 나왔다.[* DPPt 발매 당시는 [[한국닌텐도]] 출범 이전에 [[대원미디어]] [[대원게임/2007년 이전|게임 사업부]]에서 일본어판을 스티커만 붙이고 발매한 사정으로 인해 한국닌텐도 측 상표권 문제로(곧 출범할 한국닌텐도가 아닌 다른 회사에서 다이아몬드/펄 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면 안 되므로) 정발명이 DP 디아루가·펄기아로 바뀌어 발매할 수밖에 없었다.] 게임 타이틀 폰트는 원작과 동일하고, 다이아몬드와 펄의 폰트는 디아루가와 펄기아의 폰트와 일치한다. 이름의 브릴리언트와 샤이닝은 주인공들의 이름인 [[광휘(포켓몬스터)|광휘]][* 光輝의 뜻은 '눈이 부실 정도로 빛나는, 혹은 그 빛'이다. 또한 다이아몬드의 커팅 스타일 중 가장 유명한 '브릴리언트 컷'에서도 따온 중의적인 의미로도 보인다.]/[[빛나(포켓몬스터)|빛나]][* 히카리(光)=빛나는=shining]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 기본 구성 == ##본 작품의 기종에 관련된 정보를 서술합니다. 기종과 그래픽 문단은 고정하고, 양 버전간 비교 문단 이외 다른 서술거리는 게임 특성에 따라 서술거리가 적거나 없으면 삭제합니다. === 기종 === [[닌텐도 스위치]]로 발매된다. === 그래픽 === 실제 인간 체형과 유사하게 표현된 7, 8세대와 달리 6세대 이전과 같은 2등신 [[치비|SD]] 캐릭터 사이즈로 필드 내 캐릭터들이 표현되었다. 필드에서는 캐릭터의 모습이 SD 사이즈를 유지하다가 전투 돌입 시 실사화되는 방식으로, 6세대 이전의 표현법과 완전히 동일하다. 당시의 모양새 그대로 완전한 3D화를 목표로 한 것으로 보이며 표지를 포함한 [[일러스트]]는 모두 3D 그래픽 기반이고 로고의 [[몬스터볼]]도 입체로 바뀌었다. 문제는 이 그래픽이 이전 세대와 비교해도 퇴보한데다 부자연스러운 요소들이 많아 이 게임이 발매되지 않았음에도 긍정적인 평가보다 [[굳건이 빛나|부정적인 평가]]가 많다는 것이었다. 자세한 것은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평가#s-2.3|해당 문서]] 참조. 7월 6일 닌텐도 스위치 OLED 공개 영상에 아주 짧게 그래픽이 향상된 버전이 확인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다샤펄 그래픽.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다샤펄빛나볼던지기.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다샤펄 그래픽2.png|width=100%]]}}}|| 이후 2021년 8월 포켓몬 프레젠트에서 공개된 새로운 프로모션에서는 전체적으로 색감과 셰이더가 개선되었다.[* 다만 저열한 모델링을 셰이더로 땜빵했기 때문인지 화면이 뿌옇게 보이는 부작용과 동굴에서의 그래픽 버그가 생겨버렸다.] 북미 공식 유튜브에서는 싫어요 비율이 상당했던 [[https://www.youtube.com/watch?v=BjCwUk06ZSk&list=PLQWzKIaERirxjou7jtdnX5J4kL4zyUwaw|첫 공개 영상]]과 달리 [[https://www.youtube.com/watch?v=_WcGQTtI_zg&list=PLQWzKIaERirxjou7jtdnX5J4kL4zyUwaw&index=2|싫어요가 꽤 줄어들었다.]] 물론, 개선된 그래픽도 전작보다는 열화되었다는 의견이 주류다. === 양 버전간 비교 === || {{{#ffffff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에만 등장'''}}} || {{{#ffffff '''샤이닝 펄에만 등장'''}}} || || [[쥬쥬]], [[쥬레곤]][*A 소드·실드 존재 불가] || [[야돈]], [[야도란]], [[야도킹]] || || [[니로우]], [[돈크로우]][*A] || [[무우마]], [[무우마직]][*A] || || [[에버라스]], [[데기라스]], [[마기라스]] || [[아공이]], [[쉘곤]], [[보만다]] || || [[켈리몬]][*A] || [[노라키]][*A] || || [[두개도스]], [[램펄드]][*A] || [[방패톱스]], [[바리톱스]][*A] || || [[스컹뿡]], [[스컹탱크]] || [[나옹마]], [[몬냥이]][*A] || || [[디아루가]] || [[펄기아]] || || 캐터피, [[단데기]], [[버터플]] || 뿔충이, 딱충이, [[독침붕]][*A] || || 아보, [[아보크]][*A] || 모래두지, [[고지(포켓몬스터)|고지]] || || 가디, [[윈디(포켓몬스터)|윈디]] || 식스테일, [[나인테일]] || || 에레키드, [[에레브(포켓몬스터)|에레브]], [[에레키블]] || 마그비, [[마그마(포켓몬스터)|마그마]], [[마그마번]] || || 글라이거, [[글라이온]][*A] || 깜지곰, [[링곰]][*A] || || [[스라크]], [[핫삼]] || [[쁘사이저]] || || 도토링, 잎새코, [[다탱구]] || 연꽃몬, 로토스, [[로파파]] || || [[입치트]] || [[깜까미]] || || [[쟝고]][*A] || [[세비퍼]][*A] || || [[솔록]] || [[루나톤]] || || [[스이쿤]] || [[프리져]] || || [[라이코]] || [[썬더(포켓몬스터)|썬더]] || || [[앤테이]] || [[파이어(포켓몬스터)|파이어]] || || [[칠색조]] || [[루기아]] || * 실쿤과 [[뷰티플라이]][*A][* 샤이닝 펄에서 224번도로에 야생 출현]는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카스쿤과 [[독케일]][*A]은 샤이닝 펄에서만 야생 출현하지만, 개무소가 두 버전 공통으로 나오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 포챠나와 [[그라에나]][*A]는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델빌과 [[헬가(포켓몬스터)|헬가]][*A]는 샤이닝 펄에서만 야생 출현하지만, 지하대동굴에서 두 버전 공통으로 나오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 가보리 역시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에서만 야생 출현하지만, 갱도라와 [[보스로라]]가 지하대동굴에서 두 버전 공통으로 나온다. * 대굴레오와 씨레오 역시 샤이닝 펄에서만 야생 출현하지만, [[씨카이저]]가 지하대동굴에서 두 버전 공통으로 나온다. * 엔딩 전에는 [[마임맨]] 계열은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꼬지모]] 계열은 샤이닝 펄에서만 야생 출현하지만, 엔딩 후 두 버전 모두 자랑의 뒷마당에서 흉내내와 꼬지지를 모두 잡을 수 있다. == 정보 == ##본 작품의 기본 정보인 지방, 등장인물, 등장 포켓몬에 대해 서술합니다. 위의 '특징' 문단에서 더 서술하지 못한 정보가 있다면 하위 문단으로 분리해서 서술하세요. [include(틀: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발매 전 정보|발매 전 정보]] === ##[[/발매 전 정보]] 슬래시 앞에 해당 버전을 넣으세요.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발매 전 정보)] === 배경: [[신오지방]] === ##본 작품의 무대 지방에 대해 서술합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오지방)] === [[포켓몬스터/스토리 공략/신오지방|공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켓몬스터/스토리 공략/신오지방)] === [[포켓몬스터/등장인물/신오지방|등장인물]] === ##본 작품의 등장인물에 대응하는 문서를 넣습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켓몬스터/등장인물/신오지방)] ||<-2>
[[파일:브다샤펄광휘빛나.png|width=100%]] || 이전까지 출시된 리메이크 작품의 주인공들과 달리, 본작의 주인공 캐릭터의 외형은 원작과 대동소이하다. 이번 작품은 DS로 출시된 디아루가·펄기아의 리마스터판에 지나지 않는데다, 이미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에서 광휘 & 빛나와 비슷한 외모이면서 새로운 디자인을 띄고 있는 캐릭터들[* 4세대 주인공들의 조상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자세한 사항은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발매 전 정보]] 문서에서 시대관 예측 내용 참조.]의 데뷔가 예정되어 있기에 원본에 큰 수정을 가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4세대|등장 포켓몬]] === ## 작품의 등장 포켓몬들입니다. 기존의 포켓몬과 미등장 포켓몬은 수가 많아 접기&펼치기 기능으로 가립니다. ||<-3>
'''{{{+1 포켓몬 분류표}}}'''[br],,기존의 & 미등장 포켓몬은 아래의 상세 소개표 제외 및 접기기능),, || ||<-3> 작성하는 포켓몬 소개 기준 || || '''한국어명'''[br]일본어명[br]영어명 || ○ 타입 || ○○ 포켓몬 || ---- ||<-3>
'''{{{+1 [[스타팅 포켓몬/신오지방|스타팅 포켓몬]]}}}''' || ||<-3>[[파일:pokemon_brilliant_diamond_and_shining_pearl_starters_turtwig_chimchar_piplup.jpg|width=100%]]|| || '''[[모부기]]'''[br]ナエトル[br]Turtwig || [include(틀:풀타입)] 타입 || [[새싹]] 포켓몬 || || '''[[불꽃숭이]]'''[br]ヒコザル[br]Chimchar || [include(틀:불꽃타입)] 타입 || 꼬마[[원숭이]] 포켓몬 || || '''[[팽도리]]'''[br]ポッチャマ[br]Piplup || [include(틀:물타입)] 타입 || [[펭귄]] 포켓몬 || ---- ||<-3>
'''{{{+1 [[전설의 포켓몬]]}}}''' || ||<-3>[[파일:__dialga_pokemon_and_2_more__sample-f3443430545d9008ae9cb54b3841f202.jpg|width=50%]][[파일:__palkia_pokemon_and_2_more__sample-6206a9ccb0946df1e9cc4415ddf4d113.jpg|width=50%]]|| || '''[[디아루가]]'''[br]ディアルガ[br]Dialga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타입 || [[시간]] 포켓몬 || || '''[[펄기아]]'''[br]パルキア[br]Palkia ||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타입 || [[공간]] 포켓몬 || || '''[[기라티나]]'''[* 스토리에 개입을 하는 것은 아니다.][br]ギラティナ[br]Giratina ||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타입 || 반골 포켓몬 || ---- ||<-3>
'''{{{+1 이벤트 포켓몬}}}''' || ||<-3> 해당 작품에서 게임 외적으로 특수한 이벤트(특전 등)로 얻는 포켓몬들이다. || || '''[[마나피]]'''[br]マナフィ[br]Manaphy || [include(틀:물타입)] 타입 || 회유 포켓몬 || || '''[[지라치]]'''[br]ジラーチ[br]Jirachi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타입 || 희망사항 포켓몬 || || '''[[뮤(포켓몬스터)|뮤]]'''[br]ミュウ[br]Mew || [include(틀:에스퍼타입)] 타입 || 신종 포켓몬 || || '''[[쉐이미]]'''[br]シェイミ[br]Shaymin || [include(틀:풀타입)] 타입 || 감사 포켓몬 || || '''[[아르세우스]]'''[br]アルセウス[br]Arceus || [include(틀:노말타입)] 타입 || 창조 포켓몬 || || '''[[다크라이]]'''[br]ダークライ[br]Darkrai || [include(틀:악타입)] 타입 || 암흑 포켓몬 || ---- ||<-2>
'''{{{+1 전작의 포켓몬}}}''' || ||<-2> 1~4세대 포켓몬까지만이 존재 가능, 5세대 이후 포켓몬 전종이 존재 불가능하다. || || '''존재하는 포켓몬''' || '''존재 불가 포켓몬''' || || {{{#fff '''1세대 포켓몬'''}}} || {{{#fff '''5세대 포켓몬'''}}} || || {{{#fff '''2세대 포켓몬'''}}} || {{{#fff '''6세대 포켓몬'''}}} || || {{{#fff '''3세대 포켓몬'''}}} || {{{#fff '''7세대 포켓몬'''}}} || || {{{#fff '''4세대 포켓몬'''}}} || {{{#fff '''8세대 포켓몬'''}}} || == 본작만의 특징 및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오리지널 버전]]과의 차이점 == ##본작만의 특수사항이나 시스템 등에 대해 서술합니다. 해당 문단에서는 하위문단으로 더 나눌 수 없을만큼 한두줄정도로 적은 차이점을 서술하고, 서술 내용이 많으면 문단을 분리합니다. ##(전작/오리지널 버전)중 새로운 세대 버전이라면 '전작'을, 후속작이나 리메이크 버전이라면 '오리지널 버전'으로 선택하고 나머지를 지우세요. ===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의 변경점 계승 === * 지형 관련 * 나무의 모델링 형태가 DP보다는 Pt와 더 유사하다. * [[무쇠시티|무쇠탄갱]] 내부에서 석탄이 운반되고 있다. * [[꽃향기마을]]에 [[쉐이미|그라시데아꽃]]을 주는 NPC가 존재한다. * 잔모래마을의 마박사 연구소 디자인이 Pt 기반이다. * [[영원의 숲]] 내부에 그림자 효과가 있다. 다만 Pt만큼 어둡지는 않다. * [[갤럭시단 빌딩]]은 DP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지만, 1층 맨 왼쪽에 인테리어가 없는 빈 벽이 존재한다. 이는 Pt 비밀의 열쇠 이벤트의 벽 배치와 동일하며, 실제로 Pt에만 있던 비밀의 방에 들어가서 [[로토무]]를 폼체인지시킬 수 있다. * 배틀관련 * 전당등록 후 체육관 관장, 사천왕들, 난천이 2차배틀에서 pt 기반의 포켓몬을 사용한다. * BGM 관련 * Pt에 추가된 항목별 슈퍼 콘테스트 댄스 BGM이 등장한다. * Pt에 추가된 기라티나의 배틀 BGM이 등장한다.[* 단, 기라티나 전용 배틀 BGM은 [[귀혼동굴]]에서 잡을 때는 들을 수 없으며 [[해당화파크]]의 깨어진 방에서 그림자 기라티나와 배틀할 때만 들을 수 있다.] * [[이상한 소포]] BGM이 DP 기반이 아닌 Pt 기반이다. * 기타 * 조기 구입 특전으로 Pt의 의상이 제공된다. * [[상호교류광장]]에 스타팅 포켓몬이 출입 가능하다. * 게이트에 들어갈 때 자전거에서 내리지 않는다. * 엔딩 크레딧의 장면(게임의 컷인 모습 사용, 주인공이 어머니와 집에 귀환하는 엔딩)이 Pt 기반이다. === 시스템 === * 4세대 이후 작품에서 적용되었던 편의성 패치들이 해당 작품에도 적용되었다. * 6세대 이후처럼 모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졌다.[* 다만, 완전한 프리워크는 아니고 이동 방향은 8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십자키 사용 시에는 원작 그대로 4방향 1칸 단위 이동으로 조작된다. * L스틱으로 이동할 경우 크게 기울이면 달리기 상태가 되며, 십자키 사용 시엔 기존처럼 B버튼을 눌러서 달리기가 가능하다.[* 십자키 이동이라도 빠르게 방향 전환시 1칸 단위 이동을 무시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 달콤한 꿀의 대량 구매가 가능해졌다. * 5세대 블랙2·화이트2 이후처럼 벌레회피/실버/골드스프레이 만료시 자동으로 재사용 여부를 묻게 되었다. * 파도타기 상태의 속도가 증가했으며, 바위깨기/풀베기 등의 비전기술들의 시전 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같은 필드 내에서 같은 비전머신 사용 시에는 비전머신 사용 컷신이 나오지 않는다. * 포켓몬 박스가 언제 어디서든[* 체육관 및 포켓몬 리그 내부 제외.] 사용이 가능해졌다.[* [[포켓몬스터소드·실드|소드실드]]에서처럼 보유 포켓몬 목록에서 R키를 누르면 진입이 가능하다.] * [[비전머신|비전기술]] 시스템은 비전머신을 배운 포켓몬들을 데리고 다닐 필요 없이 [[포켓치]]로 [[포켓라이드|야생 포켓몬을 불러내 비전 기술을 사용하게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기존의 [[비전머신]]들은 모두 반복수급 가능한 1회성 기술머신으로 바뀌었다.] 사용 시 각각 비버니(풀베기, 바위깨기), 비버통(괴력, 파도타기, 락클라임, 폭포오르기), 찌르호크(공중날기, 안개제거)의 도움을 받는다. 모두 원작 DP에서 비전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포켓몬들이다. 비전머신 획득처는 원작과 동일하며, 비전머신에 해당하는 기술머신을 획득함과 동시에 비전기술이 포켓치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다만 플래시, 구멍파기 등 비전기술이 아니면서 필드에서 사용가능한 기술은 어플에 등록되지않으므로 해당 기술을 필드에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여전히 해당 기술을 배운 포켓몬이 필요하다. 또한 역으로 비전기술로 등록된 기술들은 포켓몬이 해당 기술을 배운 상태여도 필드에서 해당 포켓몬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체력 게이지 감소 속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원작과 달리 그간 HP 속도 비판을 상당히 의식했는지 전작 [[https://twitter.com/pokemon_memo/status/1445028952444006407|소드·실드와 비교해도 역대급으로 빠른 감소 속도로 조절됐다.]] 사실상 모든 기술이 제비반환 급으로 빨라진 셈. 그리하여 4세대는 가장 늦은 HP 소모 속도와 가장 빠른 HP 소모 속도 타이틀을 동시에 얻었다. 다만 발매 직전에 행해진 1.1.0 업데이트로 스피드가 조금 느려졌다. * [[기술머신]]은 [[기술레코드]]같은 반복수급 가능한 1회용 요소로 회귀했다. 장막시티 백화점에서 구매 및 [[지하대동굴]]의 NPC에게서 조각/구슬과 교환이 가능하며, 포켓몬은신처의 필드 도구로도 등장한다. 기술머신 목록은 일부를 제외하면 DPPt와 동일하며, 기술레코드는 아쉽지만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기술레코드 기술들은 엔딩 후 기술 가르침으로라도 풀어주지 않는 한 본작에서는 접할 수 없을 것으로 보였으나, 지하대동굴에서 등장하는 일부 포켓몬이 기술레코드로 습득 가능한 기술을 배운 채로 출현하며, 이 경우 유전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어 어느정도 해결되었다. * 학습장치가 소드·실드 사양으로 바뀐 것에 맞춰 네임드 트레이너들의 기술배치와 도구가 바뀌는 식으로 1회차 난이도도 상향됐다. 특히 1회차 사천왕의 경우 엔트리는 DP를 따라가되 그 포켓몬의 장점을 충실히 활용하는 기배로 바뀌어서 상성 찌르는 스윕도 힘들어져서[* 대표적으로 대엽. 3마리나 불꽃 타입이 아닌데 난이도가 전체적으로 올라가 물이나 땅으로 날로 먹기 힘들어졌다.] 오히려 타입 통일 파티보다 빡세다. * 이에 대응하여 206번도로에서 조우하는 마박사의 조수가 학습장치가 아닌 [[이상한사탕]]을 준다. * 일반 트레이너조차 본래는 기술 목록에 없었던 고위력기를 난사하는 바람에 DPPt에 비해 전반적인 스토리 난이도가 증가했다. === 컨텐츠 === * 나무열매의 성장 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었던 비료가 삭제되었다. * 208번 도로에서 비료를 판매하던 NPC는 나무열매를 판매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물뿌리개의 경우 한 번에 2개의 칸이 동시에 뿌려지지만,[* 일부 위치는 4곳이 한번에 뿌려지며 213번 도로에 있는 밭은 2,1,1칸씩 뿌려지는 등 중구난방인것으로 보아 인접한 밭을 하나의 그룹화처리로 물을 주기 쉽게 하려고 한 듯 하나 제대로 적용이 안된 것으로 보인다.] 전작과 달리 4개가 한 줄로 있는 포인트에서 물을 주면서 옆으로 이동하여 전부 물을 주는 것이 불가능. *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처럼 [[동행 포켓몬|포켓몬 하나를 꺼내놓고 다닐 수 있다.]] * 6세대부터 도입된 커스터마이징 기능이 제한적으로나마 추가되었다.[* 레츠고와 유사하게 헤어스타일부터 상하의까지 정해진 세트로만 바꿀 수 있다.] * 캐릭터 생성시에 6세대 이후부터 가능했던 피부색 선택이 가능하다. 본작에서 머리와 눈색을 설정할 수 있는 유일한 기능으로 레츠고와 마찬가지로 머리색, 눈색 등의 변경은 불가능하며 헤어스타일은 의상 커스터마이징을 그대로 따라간다. * [[장막시티]]에 사행성으로 말이 많던 [[도박|게임코너]]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의상 세트를 살 수 있는 '패션스타일 [[손가락흔들기]]'가 생겼다.[* 게임코너 옆의 경품 교환 코너는 옷가게의 창고로 바뀌었다. 여담이지만 이 과정에서 게임센터에 상주해있던 자두의 아빠도 삭제되어 버렸다.] * 자전거 탑승 시 보호구를 착용한다. 배틀 장면에서는 8세대처럼 기본 복장으로 등장하지만 자전거에서 내릴 수 없는 [[사이클링 로드]]에서는 배틀에서도 자전거 복장을 착용한다. * 커스터마이징이 생긴 것에 대한 상호작용으로 [[선단시티]]의 NPC의 대사가 주인공의 복장에 따라 달라진다.[* DP에선 주인공의 옷을 보고 추워보인다는 반응을 보였고 Pt에선 따뜻하다는 반응을 보이는데 본작에선 주인공이 겨울 의상을 입고 있으면 주인공의 복장을 칭찬하며 볼씰을 준다.] * [[지하통로]]가 파워업하여 [[지하대동굴]]로 등장한다. 신오지방 전역의 지하를 탐험할 수 있고, 기존의 탐험 컨텐츠와 더불어 포켓몬 은신처가 추가되었다. 은신처의 가장 큰 특징으로 지상과는 달리 심볼 인카운터 시스템으로 필드에 포켓몬들이 돌아다니는게 표시된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ttK1EPd7gKltKcW_W7EAG-tfFGj8PXVH7rtSXXJy5is/edit|스프레드 시트]] * 원작과 다르게 북서쪽의 지하통로는 사라졌다. * 비밀기지 꾸미기 기능은 포켓몬 상만 가능하며, 깃발뺏기, 함정 컨텐츠는 사라졌다. * 슈퍼 콘테스트 미니게임이 '슈퍼 콘테스트 쇼!'로 파워업한다. * 포켓몬 컨디션과 볼 데코로 점수를 메기는 비주얼 심사와 리듬 게임의 요소가 도입된 댄스심사 순으로 진행되며, 기존의 기술 심사는 댄스 심사 도중 기술을 시전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장신구는 삭제되었다. 이 때문에 장신구를 주던 NPC들은 전부 실을 주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슈퍼 콘테스트 쇼!'를 인터넷에 접속하여 함께 즐길 수 있게 되었다. * 유니언 룸과 지하대동굴은 [[포켓몬스터소드·실드|소드·실드]]의 [[와일드에리어]]처럼 온라인에 접속해 전세계 사람들과 통신을 즐길 수 있다. * [[상호교류광장]]에 최대 6마리의 포켓몬까지 한 번에 출입이 가능하다. 상호교류광장 내에서 포켓몬들과 포핀을 만드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팔파크]]는 디아루가, 펄기아 이외의 전설의 포켓몬을 잡을 수 있는 '[[해당화파크]]'로 변경된다. [[지하대동굴]]등에서 입수 가능한 '석판'[* 해당 전설의 포켓몬이 처음 등장하는 게임팩 카트리지 모양을 닮았다.]을 해당화파크 특정한 방 안에 끼워 넣으면 전설의 포켓몬이 출현한다. * 등장하는 전설의 포켓몬 종류 중에 버전에 따라 달라지는 내용도 있다. 라이코, 앤테이, 스이쿤은 다이아몬드 버전에서만 포획이 가능하고, 파이어, 프리져, 썬더는 펄 버전에서만 포획이 가능한 식. * [[깨어진세계]]는 해당화파크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방문이 가능하며, 깨어진석판을 넣으면 레벨 100의 그림자 기라티나(오리진폼, 포획 불가)를 쓰러뜨리고 백금옥을 얻을 수 있다.[* 기라티나 자체는 DP디아루가·펄기아 때처럼 [[귀혼동굴]]에서 잡아야 한다.] * 승부장소는 삭제되었지만 관장들과의 재대결 자체는 에메랄드 및 레츠고 때처럼 체육관에서 가능하며, Pt 기라티나 당시를 기반으로 조금 더 강화된 6마리 풀 엔트리를 들고 덤벼온다. 또한 포켓몬 리그에 2/3회차가 추가되었다. 2회차는 Pt 당시의 엔트리를 사용하며, 3회차는 5명 다 Pt에서 더 강화된 6마리 풀 엔트리를 들고 덤벼온다. * [[용식(포켓몬스터)|용식]]은 유일하게 엔딩 후에 상대하는 트레이너들 중 상향을 받지 못했으나, Pt 시절의 기믹을 어느 정도 이어받은 [[광휘(포켓몬스터)|광휘]]/[[빛나(포켓몬스터)|빛나]]가 신규 라이벌 트레이너로 등장하여 배틀타워 7연승 후 배틀이 가능해졌다. * [[배틀타워]]에 슈퍼 [[배틀트리]]에 가까운 '마스터 랭크'가 추가되었다. 하지만 꼭 연승이 아니라도 이기기만 하면 됐었던 소드실드 때와는 달리, 본작에서는 7세대까지의 연승제로 회귀하여 난이도가 대폭 상승했다. 10개의 랭크 등급으로 7연승 시 승격이 가능하며 7연패시 랭크가 하락된다. 각 등급마다 마스터 트레이너가 있으며 이 마스터 트레이너들은 체육관 관장들과 같은 기존 NPC. 추가로 '''갤럭시단 간부들 및 태홍과도 재대결이 가능하다.''' * 볼캡슐 요소가 강화되어 메뉴에서 바로 진입이 가능해졌고 3D 형식으로도 꾸밀 수 있다. * 원작에서 일어난 '''[[https://twitter.com/DPPt_Shitpost/status/1428830948787896320|각종 참사]]'''를 막기 위해 안농과 관련된 알파벳씰은 삭제됐다.[* 알파벳 볼캡슐을 주던 신수마을의 NPC는 안농을 보여주면 평범한 볼캡슐을 준다.] 대신 원작에는 없던 사천왕과 챔피언 전용 캡슐 데코가 생겨서 체육관에서 승리 시 관장들이 사용하던 볼 캡슐을 준다. * 원작에는 없던 NPC들이 등장하여 종종 볼캡슐을 준다. * 지하통로 비밀기지 꾸미기 아이템도 포켓몬 동상 외에는 삭제된 만큼 플라워숍 각양각색의 교환 아이템도 볼캡슐로 바뀌었다. * 볼캡슐 적용 포켓몬을 박스에 맡길 수 없도록 제한하던 것이 사라졌다. * TV 방송국의 꾸미기 코너에서는 꾸미기가 사라진 만큼 관장, 사천왕, 챔피언의 볼캡슐을 전시하는 방으로 바뀌었으며 네임드 트레이너의 볼캡슐을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 기타 === * 태홍이 [[디아루가]]/[[펄기아]]를 제압할 때 사용한 물건의 이름이 4세대에는 '붉은쇠사슬'이었으나 본작에서 '빨강사슬'로 바뀌었다. 원래는 어떤 소재인지 알 수 없었기에 쇠사슬로 번역되었지만,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에서 세 호수 포켓몬이 플레이어 눈앞에서 직접 만드는 걸 보여줬기 때문에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어떻게 보자면 9세대에 이루어진 오역 수정 작업의 일환으로 먼저 이루어졌다고 볼 수도 있다. * 주인공의 방에 있던 게임기가 [[Wii]]에서 [[닌텐도 스위치]]로 변경되었다. * 원작에서는 초반 [[축복시티]] 갤럭시단 이벤트 직후 축복시티 방송국 직원이 찾아왔지만, 이번작에선 [[이수진(포켓몬스터)|이수진]]이 찾아와 통쾌한 승부를 보여 준 보답이라며 박스를 어디서든 자유롭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포켓몬 대기 그래픽 및 아이템 그래픽이 도트에서 GTS같은 그림으로 바뀌었다. * [[규토리]]볼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나, 인게임에서 획득은 불가능하다. 다만, 일부 국가에서 사전예약 특전으로 배포했다. * [[입지호수 근처]]에 있는 게임프릭 사원들의 숙박소에서 상장을 받을 수 있는 것 외에 인원이 추가된다. * 내부의 디렉터로부터 엔딩 후 포획 크리티컬을 높이는 부적을 받을 수 있다. * 전당등록 후 뮤직 디렉터로부터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DS 플레이어]][* 하골소실에서는 GB 플레이어로 나왔고,말 그대로 포켓몬스터 금은 사운드로 바꿔준다.]를 받을 수 있다. DS 플레이어를 키면 BGM은 물론 6세대 이후 울음소리가 기계음으로 바뀌어, 피카츄와 이브이도 성우의 육성이 아닌 기계음 울음소리로 회귀한다.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 GBA 플레이어를 제공하지 않았던 것과 대비되는 부분. * 외부의 수영장에 있는 수영팬티소년은 모리모토로 엔딩 후 배틀이 가능하다. * 일부 환상의 포켓몬을 제외하고 DPPt 시절 전국도감을 더블팩만으로 완성시킬 수 있다. 이는 지하대동굴과 해당화파크에서 스타팅 포켓몬과 전설의 포켓몬을 자력으로 입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4세대 시절 도감 완성으로 애먹게 만든 신오 3인방 먹고자, 화강돌, 레지기가스 포획이 원작에 비해 쾌적해졌다. 다만 빈티나는 원작과 그대로 특정 타일에서만 나온다고 한다니, 이번에는 빈티나가 도감작 최종 보스로 군림할 듯.[* 다만 발매 후 빈티나의 위치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이 발견되어 비교적 쉽게 잡을 수 있게 되었다.] * 야생 포켓몬 배틀에서 뜬금없이 주인공 컷인이 뜰 경우, 2V 이상 확정이라는 정보가 확인되었다. [[https://twitter.com/waisukesan/status/1462200856439234561|#]] * 자전거를 고를 때 빨강·파랑·초록·노랑 중 색을 선택할 수 있다. * 7세대 이후처럼 메뉴에 들어가면 주인공의 다음 목표가 나오고 타운맵에 목적지가 표시된다. * 운하도서관 2층에 새로운 책 '[[https://gall.dcinside.com/game_nintendo/1349751|바다의 전설]]'이 추가되었다. 프리퀄에 해당하는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에서의 [[마나피]]의 포획법을 암시하는 책이다. 브다샤펄과의 직접적인 연동 요소 때문인지 마나피는 레전드 아르세우스에서 도감 완성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 GTS가 [[포켓몬 홈]]으로 통합된 만큼 GTS 센터는 GMStation으로 바뀌었다. [[미라클 교환]] 전용 시설이나, 빠듯한 개발일정으로 인해 발매 4개월 후인 1.3.0 버전에서야 개방되었다. * 원작 당시 도감에서 무게를 잴 시 포켓몬의 무게에 따라 플레이어 캐릭터가 피용 하고 날아가는 묘사를 발전시켜, 이번엔 아예 우주까지 날려지는 연출이 생겼다. 심지어 포켓몬의 몸무게가 매우 무거워 너무 세게 날아가면 [[레지기가스|달 표면에 뚝배기가 꽂히거나]], [[기라티나|아예 달을 뚫고 우주 저 멀리 날아가버리기도 한다.]] * 갤럭시단 아지트 앞 조무래기에게 창고열쇠를 빼앗을 때 여러 번 말을 걸어야했던 원작과 달리 한 번만 말을 걸면 창고열쇠를 내놓는다. 원작 당시 혼동을 일으켰던 것에 대한 방지로 보인다. * [[장막시티]] 백화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기술머신의 수가 '''대폭''' 증가했다.[* 원작에서 판매하는 기술머신 이외에도 [[화염방사(포켓몬스터)|화염방사]], [[10만볼트]], [[냉동빔(포켓몬스터)|냉동빔]](일명 [[삼색 빔]])을 '''3000원'''에 구매할 수 있고, [[사이코키네시스]], [[매지컬샤인]] 등 [[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실전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술]]도 구매할 수 있다. 이로인해 주요 기술머신을 얻기 위해 필드를 여러번 돌아다녀야 했던 불편이 해소되었다.] 또한 기술머신을 구매할 때 필요한 돈도 줄어들었다.[* [[불대문자]], [[번개(포켓몬스터)|번개]], [[눈보라(포켓몬스터)|눈보라]] 5500원→3000원, [[파괴광선]] 7500원→5500원] * 역대 포켓몬스터 메인 시리즈는 [[C++]] 코딩에 게임프리크만의 고유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커스텀 엔진(/gflib)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나[* 포켓몬 홈 포함], 본작은 유일하게 메인 시리즈이면서도 [[Unity]]와 [[C##]] 제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타 작품과 다르게 포켓몬 홈과의 연동이 늦어졌던 이유로 추정되는 유력한 이유. [[https://twitter.com/SciresM/status/1511217325583740928|#]] * [[224번도로]]에서는 원작과 달리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에서는 독케일이 샤이닝 펄에서는 뷰티플라이가 출현한다. * [[일본어]]로 플레이할 시 한자 표기를 지원한다. 참고로 [[포켓몬스터]] 게임은 5세대부터 한자 표기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OST|OS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OST)] == 관련 미디어 == ##관련 미디어입니다. PV, 오프닝은 고정이며 그 외 특별드라마나 애내메이션 등이 나오면 하위문단으로 나눕니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5ZzJxEcW0g)]}}}|| || '''첫 공개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gd_h83u92s)]}}}|| || '''프로모션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Pzy4dMrLc)]}}}|| || '''갤럭시단 홍보 영상'''[* 담당 일러스트레이터인 코토 츠미가 트레이싱 논란에 휩싸이면서 포켓몬 공식 채널에서는 비공개 처리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TCByYDp2uI)]}}}|| || '''FINAL PV'''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4y40uFJAHI)]}}}|| || '''포켓몬코리아 자체제작 특별영상 「약속」'''[* 원작 출시 당시 포켓몬을 플레이했던 청소년들이 성인이 되어 리메이크로 다시 한번 DP를 플레이하고, 오래전에 연락이 끊긴 한 친구와도 다시 재회하여 세 친구가 10대 시절의 우정을 재확인하며 기뻐한다는 훈훈한 내용. 다만 현실의 4세대 입문자(DP, HGSS)들은 당시 대부분 초등학생(1996~2003년생)이었을 텐데, 웹드라마 속 인물들은 중학교 시절에 추억을 쌓은 것으로 묘사된다. 물론 DP 발매 당시인 2008년에 중학생이었다면 현재 대략 만 26~27세(1994~1995년생)로 고증오류는 아니다. 참고로 영상 속 게임 매장은 [[용산 전자상가]] 내에 있는 [[전자랜드]] 4층으로서, 당시 각자 닌텐도 DS를 하나씩 끼고 온 동네를 우루루 몰려다니던 그 시절의 꾸러기 소년들에게는 가히 성지와도 같았던 곳이다.][* '추억'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국내 20대 유저들의 남다른 4세대 사랑을 제대로 저격했을 뿐만 아니라, 성인들간의 인간관계가 오래 지속되기 힘든 각박한 요즘 시대에는 정말로 보기 힘든, 오랜 세월이 지나도 흔들리지 않는 찐친들의 굳센 우정을 달달하게 묘사하여 공개와 동시에 많은 호평을 받았다.][* 여주인공의 담당 배우는 [[서혜원]].] || === 오프닝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 '''샤이닝 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j74U0HIHt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yMfT9iwyQs)]}}} ||}}} || || 작곡가 || 편곡가 || || [[마스다 준이치]][br][[이치노세 고]] || [[카게야마 쇼타]] || === 그 외 관련 미디어 === 프로젝트 팽도리 계정에서 11월 14일부터 발매일인 11월 19일까지 오후 6시마다, '검돌이와 방순이의 어머니'라 할 수 있는 미즈타니 메구미(水谷恵)가 작가인 단편 웹툰 [[https://twitter.com/prj_pochama/status/1459445979271372803|팽도리와 시작의 가방]](ポッチャマとはじまりのカバン)이 연재됐다. [[마박사]]가 소유한 세 스타팅 [[모부기]], [[불꽃숭이]], [[팽도리]]가 주역. [[https://twitter.com/prj_pochama/status/1459808380168585216|#1화]], [[https://twitter.com/prj_pochama/status/1460170780302585859|#2화]], [[https://twitter.com/prj_pochama/status/1460533195057905666|#3화]], [[https://twitter.com/prj_pochama/status/1460895551990517766|#4화]] ==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평가|평가]] == ##판매량도 평가에 관련되므로 판매량 관련도 여기에 적어놓습니다. 다만 평가는 기본적으로 주관적이 될 수 밖에 없으므로, 너무 사적인 평가보다는 대형커뮤니티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평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평가)] ||<-4>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white '''플랫폼'''}}} || {{{#white '''버전'''}}} || {{{#white '''메타스코어'''}}} || {{{#white '''유저 평점'''}}} || ||<|2>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white Switch}}}]]}}}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1b7d4; font-size: 0.75em" {{{#white BD}}}}}}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pokemon-brilliant-diamond, y=, score=7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pokemon-brilliant-diamond/user-reviews, y=, score=5.3)]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9fb4; font-size: 0.75em" {{{#white SP}}}}}}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pokemon-shining-pearl, y=, score=7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pokemon-shining-pearl/user-reviews, y=, score=5.6)]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11625, title=pokemon-brilliant-diamond-and-shining-pearl, rating=fair, average=74, recommend=51)] || '''리뷰사''' || '''평점''' || || [[IGN|[[파일:ign_logo.png|width=70]]]] || [[https://www.ign.com/articles/pokemon-brilliant-diamond-shining-pearl-review|8/10]] || || [[게임스팟|[[파일:800px-GameSpot_Logo_svg.png|width=70]]]] || [[https://gamespot.com/reviews/pokemon-brilliant-diamond-shining-pearl-review/1900-6417790/|7/10]] || == 흥행 == 일본에서 패키지판 발매 3일 판매량이 [[포켓몬스터소드·실드|소드·실드]]의 136.5만 장을 넘은 139.6만 장을 기록했다. 이는 [[모여봐요 동물의 숲]] 다음 수치로 닌텐도 스위치 게임 중 '''첫 주 판매량 역대 2위'''를 달성한 것이다. [[https://www.famitsu.com/news/202111/25242064.html|#]] 영국 주간 판매량 순위에서는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샤이닝 펄, 더블팩이 각각 1위, 2위, 9위를 차지하였다. [[https://www.gamesindustry.biz/articles/2021-11-21-pok-mon-brilliant-diamond-shining-pearl-is-the-second-biggest-boxed-game-launch-of-2021-uk-boxed-charts|#]] 흉흉한 여론과는 반대로 소드·실드와 거의 동등한 초기 흥행세를 보이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판매순위 1,2위에 랭크될 정도로 성공적인 초기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12월 8일, 포켓몬 컴퍼니는 다운로드판을 포함한 첫 주 판매량이 600만 장을 넘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https://automaton-media.com/articles/newsjp/20211208-185031/|#]] 전작 [[포켓몬스터소드·실드|소드·실드]]와 비슷한 수치이며,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레츠고 피카츄·이브이]]의 300만 장보다 두 배 가량 높은 수치이다. 2021년 4분기 보고에서 '''1,397만 장'''의 판매량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https://www.nintendo.co.jp/ir/en/finance/software/index.html|#]] [[하골소실]]의 누적 판매량인 1,272만장을 넘어섰으며, 역대 스위치 타이틀 판매량 9위에 해당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2, title=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흥행, version=122)] == 기타 == *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의 경우 무려 10글자로 역대 한글 포켓몬 타이틀 중 가장 길다. 반면 '샤이닝 펄'의 경우는 4글자로 리메이크 작품군 중에서는 가장 짧다. * 본작 및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가 최초로 일반에 공개된 날짜인 [[2월 27일]]은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시초인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이 일본에서 발매된 날이다. 이날은 공식적으로 "포켓몬의 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아시아판(번체중문)의 경우 [[포켓몬스터소드·실드|8세대]]부터 로고가 국제판을 따라가게 되면서 4세대 리메이크도 국제판 기준으로 따른다. 이제 전 세계에서 한국이 일본판 로고를 기반으로 하는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 [[게임프리크]]가 [[포켓몬스터썬·문]]부터 11월 세 번째 금요일에 발매하는 사이클[* SM 11/18, USUM 11/17, LPLE 11/16, SWSH 11/15, BDSP 11/19. 단 USUM은 [[2017년 포항 지진]] 때문에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도 수능이 1주 연기되어서]] 수능 전에 발매되었다.]을 고수하기 때문인지 이번 작품 역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다음 날에 발매되었다.[* 이는 우연이 아니며, 수능 역시 11월 세 번째 목요일에 이뤄지기 때문이다.] * 한국에서는 [[색이 다른 포켓몬|색이 다른]] 자시안과 자마젠타를 조기 구입 특전으로 시리얼 코드를 통해 배포한다.[* 소프트 구입 특전으로 풀리는 것은 한국어판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의 경우 소드 버전과 실드 버전이 등록되어 있는 스위치를 가지고 가서 해당 소프트의 아이콘을 보여주면 곧바로 시리얼 코드를 주는 형식의 이벤트가 진행되며, 북미의 경우 게임 스탑에서 시리얼 코드를 배포한다. 대신 반대되는 버전의 코드 하나만 받을 수 있는 다른 국가들에 반해 한국은 한 타이틀 구매 시 코드를 둘 다 지급한다.] * 2021년 11월 5일. 출시 약 2주를 앞둔 시점에서 또 게임이 유출되었다.[* 공교롭게도 11월 5일은 본작의 출시를 기념하는 닌텐도 스위치 라이트 디아루가·펄기아 에디션의 발매일이기도 하다.] * 게임 내에서는 1~4세대의 포켓몬 493종까지만이 존재한다. 즉 블랙/화이트~소드/실드의 포켓몬은 등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옮겨올 수 없다. * 기술의 경우 8세대까지의 모든 등장 기술중에서 [[다이맥스]] 기술과 [[Z기술]], [[파트너 기술]]을 제외한 기술중 74개의 기술[* 사용하지 못하는 기술 중에는 '''4세대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4세대 포켓몬의 준 전용기 취급인''' 기술이 몇 개 존재한다. [[마그넷봄]]이나 [[회복지령]]이 그 예시]을 제외한 512개의 기술이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소드실드에서 쓰지 못한 기술 중에서는 [[숟가락휘기]][* 소드실드 1.2 업데이트로 부활], [[플래시(포켓몬스터)|플래시]], [[잠재파워]], [[락클라임]]의 4개 기술이 부활한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잠재파워는 우려한 대로 [[안농]] 전용기로 부활했다. 사라진 기술은 다음과 같다. ||<-8> 사라진 기술의 첫 등장 세대 || || {{{#fff 1세대 기술[br](24개)}}} || {{{#fff 2세대 기술[br](8개)}}} || {{{#fff 3세대 기술[br](15개)}}} || {{{#000 4세대 기술[br](16개)}}} || {{{#fff 5세대 기술[br](8개)}}} || {{{#fff 6세대 기술[br](2개)}}} || {{{#000 7세대 기술[br](1개)}}} || 총합 74개 || || [[태권당수|{{{#fff 태권당수}}}]] || [[연속뺨치기|{{{#fff 연속뺨치기}}}]] || [[연속펀치|{{{#fff 연속펀치}}}]] || [[칼바람|{{{#fff 칼바람}}}]] || [[점프킥|{{{#fff 점프킥}}}]] || [[돌려차기(포켓몬스터)|{{{#fff 돌려차기}}}]] || [[더블니들|{{{#fff 더블니들}}}]] || [[소닉붐(포켓몬스터)|{{{#fff 소닉붐}}}]] || || [[용의분노(포켓몬스터)|{{{#fff 용의분노}}}]] || [[요가포즈|{{{#fff 요가포즈}}}]] || [[분노(포켓몬스터)|{{{#fff 분노}}}]] || [[배리어#s-2|{{{#fff 배리어}}}]] || [[참기|{{{#fff 참기}}}]] || [[따라하기|{{{#fff 따라하기}}}]] || [[알폭탄|{{{#fff 알폭탄}}}]] || [[뼈다귀치기|{{{#fff 뼈다귀치기}}}]] || || [[껍질끼우기|{{{#fff 껍질끼우기}}}]] || [[가시대포|{{{#fff 가시대포}}}]] || [[휘감기|{{{#fff 휘감기}}}]] || [[구슬던지기|{{{#fff 구슬던지기}}}]] || [[거품(포켓몬스터)|{{{#fff 거품}}}]] || [[잼잼펀치|{{{#fff 잼잼펀치}}}]] || [[사이코웨이브|{{{#fff 사이코웨이브}}}]] || [[각지기|{{{#fff 각지기}}}]] || || [[거미집(포켓몬스터)|{{{#fff 거미집}}}]] || [[악몽(포켓몬스터)|{{{#fff 악몽}}}]] || [[속여때리기|{{{#fff 속여때리기}}}]] || [[꿰뚫어보기(포켓몬스터)|{{{#fff 꿰뚫어보기}}}]] || [[은혜갚기(포켓몬스터)|{{{#fff 은혜갚기}}}]] || [[화풀이(포켓몬스터)|{{{#fff 화풀이}}}]] || [[매그니튜드(포켓몬스터)|{{{#fff 매그니튜드}}}]] || [[따라가때리기|{{{#fff 따라가때리기}}}]] || || [[정신차리기|{{{#fff 정신차리기}}}]] || [[조수(포켓몬스터)|{{{#fff 조수}}}]] || [[리프레시|{{{#fff 리프레쉬}}}]] || [[가로챔|{{{#fff 가로챔}}}]] || [[비밀의힘|{{{#fff 비밀의힘}}}]] || [[보호색(포켓몬스터)|{{{#fff 보호색}}}]] || [[흙놀이|{{{#fff 흙놀이}}}]] || [[아이스볼|{{{#fff 아이스볼}}}]] || || [[바늘팔|{{{#fff 바늘팔}}}]] || [[냄새구별|{{{#fff 냄새구별}}}]] || [[은빛바람|{{{#fff 은빛바람}}}]] || [[풀피리#s-2|{{{#fff 풀피리}}}]] || [[시그널빔|{{{#fff 시그널빔}}}]] || [[스카이업퍼|{{{#fff 스카이업퍼}}}]] || [[물놀이#s-2|{{{#fff 물놀이}}}]] || [[미라클아이|{{{#000 미라클아이}}}]] || || [[잠깨움뺨치기|{{{#000 잠깨움뺨치기}}}]] || [[자연의은혜|{{{#000 자연의은혜}}}]] || [[금제#s-1.1|{{{#000 금제}}}]] || [[마지막수단|{{{#000 마지막수단}}}]] || [[회복봉인|{{{#000 회복봉인}}}]] || [[쥐어짜기|{{{#000 쥐어짜기}}}]] || [[주술(포켓몬스터)|{{{#000 주술}}}]] || [[선취|{{{#000 선취}}}]] || || [[혼내기|{{{#000 혼내기}}}]] || [[진흙폭탄|{{{#000 진흙폭탄}}}]] || [[미러숏|{{{#000 미러숏}}}]] || [[마그넷봄|{{{#000 마그넷봄}}}]] || [[유혹(포켓몬스터)|{{{#000 유혹}}}]] || [[회복지령|{{{#000 회복지령}}}]] || [[괴상한바람|{{{#000 괴상한바람}}}]] || [[텔레키네시스#s-2|{{{#fff 텔레키네시스}}}]] || || [[불꽃튀기기|{{{#fff 불꽃튀기기}}}]] || [[싱크로노이즈|{{{#fff 싱크로노이즈}}}]] || [[야금야금|{{{#fff 야금야금}}}]] || [[프리폴|{{{#fff 프리폴}}}]] || [[기프트패스|{{{#fff 기프트패스}}}]] || [[하트스탬프|{{{#fff 하트스탬프}}}]] || [[하드롤러|{{{#fff 하드롤러}}}]] || [[일구기|{{{#fff 일구기}}}]] || || [[플라스마샤워|{{{#fff 플라스마샤워}}}]] || [[스포트라이트(포켓몬스터)|{{{#000 스포트라이트}}}]] || * 8월 18일 영상에서 은혜갚기가 등장했었으나 [[https://youtu.be/kdja9m4YlT4?t=783|13분 3초 피카츄 기술 참고]], 유출된 파일의 데이터'마이닝 결과 사용 가능 여부(isValid)에 은혜갚기(216)와 화풀이(218) 모두 불가능(0) 체크가 되어있는 게 확인되었다. 반면 사용 가능할 리 없는 후세대 포켓몬들의 전용기는 데이터가 남아있다. * NPC 포켓몬의 성별 공식은 5세대 이전을 따른다. 성비 1:1인 포켓몬은 트레이너 NPC와 동성이되, 한쪽 성별밖에 없거나 성비가 한쪽이 더 많은 포켓몬은 트레이너 NPC의 성별과 무관하게 많은 쪽 성별을 따른다. 이에 따라 용식의 로즈레이드는 성전환을 당하지 않았으며, 플레이어가 여자일 때 광휘가 사용하는 밀로틱 역시 수컷이다. * 체육관 관장과 사천왕, 난천등의 네임드 트레이너의 포켓몬은 DP와 동일하지만 기술배치와 지닌 도구 등은 달라졌고, '''첫 리그전 클리어 이후'''의 2회차, 3회차에 재대전이 가능하며, 2회차 이후는 포켓몬을 Pt시절 사용하던 포켓몬들을 포함하여 6마리 전부 채워서 나온다. 또 '''기술배치는 물론이고 개체값, 노력치까지 전부 재조정되면서 실전 성능으로 변한다.''' [[https://gall.dcinside.com/pokemon/9335930|#(난천 2회차)]][[https://gall.dcinside.com/game_nintendo/1322280|#(난천 3회차)]][* 포켓몬 레벨의 총합이 무려 '''513'''으로, LGPE [[레드(포켓몬스터)|레드]]를 제치고 역대 포켓몬 최강의 트레이너 타이틀을 차지했다.][[https://gall.dcinside.com/game_nintendo/1321863|#(강석, 유채 2회차)]] * 1.1.0 업데이트를 거치면서 거의 모든 전투 BGM의 변화가 생겼다. 초기 버전인 1.0의 BGM은 원작 버전과 더욱 가깝다면 1.1.0 업데이트 이후로는 좀 더 스위치 사양에 가깝게 수정되었다. * 공식 홈페이지에서 새로 공개되는 트레이너 및 포켓몬의 일러스트는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 시절 도트와 자세가 똑같다. * 이번 작부터는 공식적으로 스트리밍이 허용되어서, 수많은 버츄얼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들과 [[스트리머]]들이 발매되자마자 첫 방송을 진행하기도 했다. [[홀로라이브]], [[니지산지]] 버튜버 모두 [[에이펙스 레전드]] 붐[* 이때를 에펙 [[강점기]]라고 불렸던 것처럼 포켓몬 강점기라고도 불리고 있다.]이 터졌을 때처럼 오픈하자 마자 포켓몬 첫 방송을 하기도 했고, 조금 더 하드한 플레이를 원하는 버튜버들이 [[너즐록 챌린지]]를 진행하기도 했다. * 4세대 이후에 추가된 포켓몬과 실전용 도구들은 전부 잘려나갔지만, 원작에 존재하지 않고 이후 게임에 추가된 일부 도구들은 잔존함이 확인되었다. 병뚜껑, 성격 민트, 특성캡슐, 특성패치는 배틀타워에서 판매하고, 규토리볼은 배포로 얻을 수 있으며, 콤페볼, 드림볼, 울트라볼은 인게임에서는 얻을 수 없지만 이전 세대와의 연동을 고려해서 데이터는 남아 있다. * 버그가 많은 작품이라 그런지 [[스피드런]]이 꽤나 이르게 나왔다. 현재 기록은 17분 17초. [[https://youtu.be/NkiRNzmEz2o|#]] * 본가 시리즈 중 유일하게 상용엔진인 [[유니티]]로 제작되었기 때문인지, 온갖 개조와 모딩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 관련 및 하위 문서 == ##포켓몬스터 시리즈 하위 문서가 너무 많아 상위 틀 대신 문단으로 분리되었습니다. 해당 문단에 관련 및 하위문서를 정리해주십시오. * [[신오지방]] * [[포켓몬스터/등장인물/신오지방]]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4세대]] * [[포켓몬스터/스토리 공략/신오지방/추천 포켓몬(8세대)]] * [[포켓몬스터/평가#s-5]] *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 [[분류: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분류:나무위키 포켓몬스터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