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포천시의 시내버스]][[분류: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분류:199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의정부시 경유 관외 노선]] [include(틀:포천시의 버스)] [include(틀: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810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81035.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포천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포천시 좌석버스 13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포천 138 노선도.jp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경복대입구) ||<-2>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입구) || ||<|2> 종점행 || 첫차 || 04:50 ||<|2> 기점행 || 첫차 || 05:50 || || 막차 || 00:20 (심야 22:50, 23:20) || 막차 || 23:20 (심야 23:50, 00:20) || ||<-2> 평일배차 || 15~20분 ||<-2> 주말배차 || 평일과 동일 || ||<-2> 운수사명 || [[포천교통]] ||<-2> 인가대수 || 13대 || ||<-2> 노선 ||<-4> [[경복대학교]] - 윤중, 신포천A - 농업기술센타 - 가채2리 - 가채2리, 승방동 - 아트교사거리 - 포천농협, 하나로마트 - [[포천시청]] - 포천고등학교앞 - 어룡2통 - 자작2통, 군단앞 - 선단1통, [[대진대학교]] - 설운3통, 여단앞 - 송우리터미널 - 원일아파트, 송우5리 - 소흘읍사무소 - 이동교1리, 용상골 - 부인터사거리 - 이동교3리, 무란마을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북부광역행정타운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부대찌개거리,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경찰서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한화생명 → 시장앞 → 구.터미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 개요 == 포천교통에서 운행하는 좌석버스로 총 운행거리는 64.3km이다. [[http://map.naver.com/?busId=17502&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93년 10월 14일부터 [[선진고속(의정부)|영종여객]]에서 운행을 개시했다.[[http://media.daum.net/breakingnews/view.html?cateid=100000&newsid=19931012170400002&p=yonhap|관련 기사]] * [[리즈시절]]에는 [[포천교통]], [[영종여객]], [[경기버스|대진운수]], [[명진여객]]등 총 4~5개 회사에서 공동으로 운행하였지만 이중 신원여객은 1994년 10월 31일에 공동배차를 철수하였으며, 차량은 모두 영종여객에 매각하였다. 그리고 [[선진네트웍스]]가 2004년 포천을 장악하면서, 최종적으로 포천교통 단독으로 운행하게 된다.[* 대진운수 운행분은 포천교통에 흡수됐고, 영종여객 운행분은 포천교통의 660번 및 660-1번과 교환되었다. 계열사가 아니었던 명진여객의 운행분은, 138번 운행분을 포천교통이 챙겨가되 대신 72-1번을 명진여객 단독으로 주는 식으로 처리했다. 이는 72-1번과 138번 모두 흑자노선이기에 가능했다. 포천교통에 의정부시 면허가 존재하는 것은 선진시내(72바 10XX~11XX), 명진여객(72바 12XX~13XX) 출신 차량이 있기 때문.] * 이후 신북초교를 경유하는 138번, 신포천아파트를 경유하는 138-1번, 소흘읍사무소 대신 송우주공아파트를 경유하는 138-2번으로 나뉘어졌다. 2005년 연초 기준으로 138, 138-1번의 댓수를 합쳐서 37대 가량이 있었고 138-2번은 선진네트웍스 인수 이후에 신설된 것으로 보인다. * 2012년 3월에 구 138-1번을 기준으로 노선이 통합되었다. * 2013년 10월 8일부터 포천시청 대신 왕방로(포천시보건소, 포천초등학교)를 경유하는 138-1번이 신설되었다. * 기존에는 경복대학교에서 22:30 차량이 출발한 후 다음 차(막차)는 1시간 30분 뒤인 00:00에 출발했었는데, 2014년 7월 1일 시각표 개정으로 138-5, 7, 8의 막차시각이 당겨지는 대신 경복대입구에서 23:20, 23:40에 출발하는 차가 생겼다.[* 기존에는 의정부역 기준으로 138-5 막전차, 막차가 00:20, 00:40에 출발하던 게 138번이 00:20과 00:40에 출발하는 걸로 변경되었다.] 즉, 22:30차 이후 23:20~00:00까지 20분 간격으로 3회 더 차편이 있던 것이다. * 2014년 7월 19일부로 138-1번이 수요 감소로 인해 폐선되었다. * 2018년 1월 1일부로 심야시간표가 변경되었다. * 2019년 1월 1일부로 심야시간표가 변경되었다. 최종 막차시각이 경복대 23:20 의정부역 00:20으로 앞당겨졌다.[* 의정부 ~ 포천동 구간에서는 01:05경에 의정부터미널을 통과하는 [[포천 버스 3200|3200번]]의 막차가 사실상 종전의 138번의 심야버스 역할을 대체하게 되는데, 의정부역 일대에서는 00:45~50경에 의정부역을 통과하는 [[의정부 버스 35|35번]] 막차를 타고 의정부터미널에 하차하면 내린 그 자리에서 3200번 막차로 환승할 수 있다. 게다가 의정부 - 송우리 - 대진대 구간이라면 3200을 놓쳐도 3100과 3500이 남아있고, 소흘읍 - 선단동까지는 3600도 있다. 다만, 전 정류소를 정차하는 138번과 달리 3100, 3200, 3500, 3600번은 일부 정류소에만 정차하므로 목적지에 따라 인접 정류소에 내려 걸어간다거나 하는 불편이 있을 수는 있다.] == 특징 == * 경기도 일반좌석버스 승객 수 4위 노선이다. * 138번 시리즈의 모체이자, 가장 수요가 많은 노선이다.[* 경기도 좌석버스 순위에서도 최상위권에 위치하며, 일반좌석버스로 범위를 좁히면 '''3위'''에 위치한다. 3006번과 함께 포천교통을 먹여살리는 노선.] 138-n은 모두 이 노선에서 갈라진 노선. * 138-n 노선들과 138번의 노선거리 차이가 엄청 많이 난다.(138-5번과는 54.1km, 현재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된 [[포천 버스 1386|138-6번]]과는 47.3km, 138-7번과는 49.6km의 차이가 난다) * 노선 선형이 '''끝내주게 좋다.''' 경복대 기점에서의 회전을 제외하면 일직선이라 봐야된다. 때문에 중단거리 수요는 [[포천 버스 72|72번]], [[포천 버스 72-3|72-3번]]에 더 많고, 이 노선은 장거리 수요가 대부분이다. * [[포천 버스 72|72번]], [[포천 버스 72-3|72-3번]] 등 경로가 비슷한 일반시내버스 노선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착석 가능성이 높은 덕분에 사람들이 잘 타는 편이다. * 72번, 72-3과 138-5, 6, 7번이 경복대를 안가게 변경되면서 포천시청 이북에서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근 20년을 시내버스요금 내다가 갑자기 좌석버스 요금을 내게 생긴 경복대 인근 주민들만 곤란해졌다.[* 다만 저 노선들이 단축된 원인은, 포천시청 이북(신북)은 예전부터 경복대를 빼면 큰 수요처가 없는 구간이었는데 경복대가 보건계열을 뺀 나머지 학과를 진접으로 옮기면서 그 학생 수요마저 큰 폭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이후 72-3번은 교통소외지역에 투입, 138-5,6,7번은 운행거리가 왕복 100km을 넘기는 장거리 때문에 그렇다고 쳐도, 72번까지 단축되는 건 예상 못했던 사람이 많긴 했다.] * 13~14시 전후로는 전부 설운동에 있는 가스충전소[* 모든 포천시 천연가스버스가 여기서 충전한다. 애초에 포천에는 충전소가 이 1곳 뿐이다.]에서 가스를 충전한다. 따라서 가스충전소 경유 팻말이 있는지 꼭 확인하고 탈 것. 이는 72번 등의 타 노선도 마찬가지다. 2015년 말부터는 경복대/포천 방향으로 가는 중간에 충전을 하는 듯하다. 디젤차는 의정부역 방향으로 가는 도중 신북대교[* 138-5번이 유일하게 본 교량을 통과하며 나머지 노선들은 구)신북대교로 우회.] 삼거리를 지나서 있는 에스오일 주유소에서 주유한다. 여담이지만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디젤차는 의정부시 금오동에서 주유했다. * 심야버스를 운행한다. 아래는 출발시간이다. * 심야버스 이전 막차: 경복대 22:00, 의정부역 23:00 출발. * 경복대 기준: 22:50, 23:20 * 의정부 기준: 23:50, 00:20 * 선형도 좋고, 포천교통의 고참 기사들만 들어가는 노선이어서 무조건 [[포천 버스 72|72번]]을 해야 138번을 배정 받는다. 이유는 138번을 먼저 받으면 난폭 운전을 심하게 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경력이 있든, 없든 무조건 72번을 먼저 배정해 준다. * 이 노선의 가장 큰 문제는 '''[[포천 버스 72|72번]]과 큰 시간차이가 안난다는 점.''' 금오지구를 경유하냐, 안하냐 차이 정도로 기껏해야 5~10분 차이이다. 실제로도 72번의 배차간격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고, 138번은 전성기 시절 3~8분에서 평균 10~15분 정도로 배차간격이 박살나버렸다. 경복대 통학 수요 및 신북면 독점수요로 버티고 있지만 그마저도 얼마 안된다. 여러모로 미래가 밝지 않은 노선. * 과거 대비 수요와 운행횟수가 많이 줄었다. 3100, 3200, 3500, 3600번이 장거리 이동 수요를 가져가 조금씩 수요가 줄어들던 상황이었는데 경복대학의 학과 이전으로 한번 타격을 제대로 입었고, 게다가 3006번의 운행 개시로 잠실까지 바로 갈 수 있게 되자 의정부 또는 서울 북부가 목적지가 아닌 이상에야 굳이 138번 타고 의정부로 나가는 수고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 게다가 위 설명대로 72, 72-3번 대비 큰 메리트는 없는 주제에 요금은 2배씩 하는지라 예전처럼 수익이 나질 않는다. 살아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한 부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정부역]]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경전철]]: [[의정부중앙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