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농구의 포지션)] [[파일:external/basketballersz.weebly.com/3312282_orig.gif|width=500]] [목차] == 개요 == Point Guard 포인트 가드(영어: Point guard, PG)는 [[농구/포지션|농구의 포지션]] 중 하나이다. [[슈팅 가드]]와 함께 기본 [[가드(농구)|가드]]를 이룬다. 통상적으로 1번이라고도 불리는데, 포인트 가드의 "포인트"는 '''점수가 아닌 분위기(포인트)를 의미한다.''' == 수행하는 역할과 요구되는 역량 == * '''팀의 사령탑''': 보통 팀에서 가장 전술적 이해가 좋은 선수가 포인트 가드를 맡는다. 감독의 전술적 지시를 가장 잘 이해하고 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미식축구의 쿼터백과 비교되기도 한다. 이때문에 높은 BQ와 리더십, 넓은 시야를 가져야 한다. 감독이 계획한 작전에 따라 볼 순환을 매끄럽게 하는 역할이면서 볼을 제일 오래 가지고 있는 포지션이기 때문에 코트 상황과 전술에 대한 이해, 수행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단순히 드리블과 패스를 잘한다고 좋은 포인트 가드라고 볼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볼 핸들러''': 포인트 가드는 센터 혹은 포워드의 스크린 지원을 받아가며 공을 지켜야 한다. 따라서 공을 손으로 다루는 스킬이 뛰어나야 한다. 공격에 실패하고 공을 빼앗겼을 때 공을 빼내는 역할도 자주 수행한다. 가드라는 포지션 명칭 자체가 공격쪽이 가진 공을 상대 수비수에게서 지켜내는 포지션이란데서 유래했다. * '''볼 배급''': 포인트 가드는 아군에게 전술을 지시하며 패스로 공을 전달한다. * '''볼 캐리어''': 전술을 개시할 때 상대 골대 근처까지 공을 운반한다. 공을 운반하는 역할은 어떤 포지션이든 다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포인트 가드가 제일 많이 한다. 물론 [[시카고 불스]]의 [[스카티 피펜]], [[마이클 조던]],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의 [[코비 브라이언트]], [[르브론 제임스]] 등 유명 가드/포워드들은 대게 공 다루는 스킬도 화려하지만, 이런 선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팀에서 공 지키고 있는 역할은 포인트 가드의 몫이다. 동네 농구하면서 풀 코트를 뛰어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볼 운반이라는 임무를 과소평가하기 쉬운데, 28m의 길이에 달하는 풀 코트에서 공격을 시작할때 포인트 가드는 하프코트 바이얼레이션 룰에 따라 24초 중, 8초 안에 14m에 달하는 상대방의 코트 안까지 공을 들고 와야 한다. 당연히 상대방이 적극적인 전진수비로 방해할 수 있으며,[* 슬램덩크에서 [[산왕공고]]의 존 프레스가 바로 이 상대 포인트 가드를 적극적으로 압박하는 수비법이다.] 이에 밀려서 하프코트를 넘지 못하거나 공이 뒤로 밀려나면 공격권을 빼앗긴다. 정식 경기에서 포인트 가드는 이런 볼운반만 4~50번 이상 하기 때문에 절대 작고 사소한 일이 아니다. 포인트 가드가 볼 운반과 볼 통제가 안된다면 그건 이미 포인트 가드가 아니다. 아무리 개인기가 좋은 선수라도 이게 안 되면 포인트 가드 역할을 할 수 없다.[* 상대를 제치는 드리블과 볼을 뺏기지 않고 간수하는 드리블은 또 다른 문제다.] 체구가 작은 선수들이 고질적인 부상이 적고, 포지션 특성상 주력만 어느 정도 갖추면, 나머지 운동능력은 그다지 큰 상관이 없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베테랑들이 많다.[* 실제로 리딩 위주 포인트 가드 중 운동능력이 처지는 선수들도 많다. 초창기엔 패트릭 유잉과, 이후 레지 밀러와 함께 했던 191cm 포인트 가드 마크 잭슨은 가드치고 거북이처럼 느린 선수였는데, 가드치고 좋은 덩치를 이용해 포스트업을 적극 활용, 쏠쏠히 재미를 봤다. 다만 불스 시리즈에서 필 잭슨 감독이 201cm에 달하는 피펜을 붙히는 통에 피를 봤다.] * '''[[리바운드#s-2]]''': 포인트 가드의 수비 리바운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빅맨#s-2]]들이 리바운드해서 공을 전달 받는 것보다 직접 리바운드해서 달려나가는게 더 빠른 공격 전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매직 존슨]], [[제이슨 키드]] 등이 이에 해당했으며 현재는 [[러셀 웨스트브룩]], [[제임스 하든]], [[벤 시몬스]], [[루카 돈치치]] 등이 이에 해당된다. * '''체격 조건''': 센터와 포워드와는 달리 장신 선수가 많지 않다. 큰 체격보단 스피드, 방향 전환, 손끝 감각과 같은 부분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키가 작아야 더 유리한 부분도 있다. 키가 작은, 그러니까 농구 선수 평균 키에 못 미치는 선수가 자세를 낮추고 드리블하면 수비수가 공을 빼앗는 것이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평균신장이 2m 내외인 NBA에서도 2m를 넘는 포인트가드는 많지 않고 190cm를 겨우 넘기거나 그보다 작은 선수들이 더 많이 보이는 포지션이다. == 유명한 선수들 == [[:분류:포인트 가드]] 분류 참조. 유명한 포인트 가드로는 역대 최고의 1번으로 꼽히는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쇼타임 레이커스]]의 주역 '''[[매직 존슨]]''', 포인트 가드 스타의 원조 [[밥 쿠지]], [[트리플 더블]] 제조기 '''[[오스카 로버트슨]]''', [[뉴욕 닉스]] 황금기의 주역인 [[월트 프레이저]], [[디트로이트 피스톤즈#s-2.2|배드 보이즈]]의 선봉장 '''[[아이제아 토마스(1961)|아이제아 토마스]]''', 통산 어시스트/스틸 1위 '''[[존 스탁턴]]'''[* 그의 별명부터 "The Point Guard". 현역 당시 포인트 가드 그 자체 였다고 평가를 받았다.], [[케빈 존슨(농구)|케빈 존슨]], 최초의 포인트 가드 출신 DPOY인 [[게리 페이튼]], [[앤퍼니 하더웨이]], 통산 어시스트/스틸 2위에 뉴저지 네츠에서 백투백 파이널에 진출하고 댈러스에서 파이널 우승을 거머쥔 '''[[제이슨 키드]]'''[* 그는 현역 당시 퓨어 포인트 가드 그 자체 였다고 평가를 받았다.], 백투백 시엠 수상자이자 피닉스의 세븐세컨즈 런앤건 농구를 이끈 '''[[스티브 내시]]''' 등이 있다.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에는 Point God라는 별명을 가진 '''[[크리스 폴]]'''이 NBA 최고의 포인트 가드 자리를 지켰으며, 그밖에 최연소 MVP 수상자인 흑장미 [[데릭 로즈]],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전설 [[토니 파커]], [[보스턴 셀틱스]] 빅3와 함께한 [[라존 론도]] 등이 손꼽히는 포인트 가드였다. 2000년대 상반기가 [[슈팅 가드]]의 전성시대, 2000년대 하반기가 [[스몰 포워드]]의 전성시대였다면 2010년대에는 포인트 가드 춘추전국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뛰어난 선수들이 넘쳐났다. 2010년대 중후반 기준 역사상 최고의 3점 슈터 '''[[스테판 커리]]'''와 역사상 최고의 트리플더블러 '''[[러셀 웨스트브룩]]'''을 필두로 [[데미안 릴라드]], [[카이리 어빙]], [[카일 라우리]], [[마이크 콘리]] 등이 유명하며, [[존 월]], [[아이제아 토마스(1989)|아이제아 토마스]] 등의 선수들 또한 부상 전까진 올스타급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독보적인 No.1 슈팅 가드인 [[제임스 하든]]이 2016-17 시즌부터 사실상 포인트 가드 롤을 수행했지만 이후로는 [[듀얼 가드]]로 전향했으며, 2019년부터 MVP 컨텐더급의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루카 돈치치]]도 2년차부터는 온전히 포인트 가드 롤을 맡고 있다[* 사이즈로는 [[스몰 포워드]]급 이지만, 공격에서는 완전히 포인트 가드 롤을 수행하고 있다.]. 그밖에 [[켐바 워커]], [[벤 시몬스]], [[자말 머레이]] 등이 괜찮은 활약을 보이고 있다. 상술했듯 2010년대 중반 이후로 스타급 선수가 가장 많은 포지션이며, 계속해서 가드 포지션 유망주들이 상위픽을 차지하고 있다. 2017년 이후 드래프트에서도 [[트레이 영]], [[자 모란트]], [[타이리스 할리버튼]], [[디애런 팍스]], [[라멜로 볼]], [[다리우스 갈랜드]], [[셰이 길저스알렉산더]] 등 유망한 포인트 가드들이 다수 배출되었다.[* [[자 모란트]]는 2년차 플레이오프에서 컨퍼런스 1위인 [[유타 재즈]]와 대등하게 싸웠을 정도이고, [[트레이 영]]은 뛰어난 활약으로 팀을 컨퍼런스 파이널까지 이끌었다.] 대한민국에 프로농구가 출범하기 이전 시절은 남자농구의 사상 최초 아시아선수권(1969년 / 현재 FIBA 아시아컵)의 우승과 아시안게임(1970년) 금메달에 기여한 [[김인건]], 1981년까지 국가대표팀 주전이었던 [[김동광]],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금메달의 주역 중 1명인 [[신동찬]]이 뛰어난 리딩가드였으며, KBL에서는 과거의 --[[강동희]]--, [[이상민(농구)|이상민]], [[주희정]], [[신기성]], [[김승현(농구)|김승현]], [[양동근(농구)|양동근]], [[전태풍]], [[김태술]], 현역으로는 [[박찬희(농구)|박찬희]], [[김선형]], [[김시래]], [[이재도]], [[허훈(농구)|허훈]], [[이정현(1999)|이정현]]이 대표적인 포인트 가드이다. 여자농구는 프로농구 출범 이전에는 원조 '컴퓨터 가드' 박양계, 1984년 LA올림픽 은메달과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 여자농구 금메달의 주역 중 1명인 [[이형숙]], WKBL에서는 과거의 [[전주원(농구)|전주원]], [[이미선(농구)|이미선]], [[김지윤(농구)|김지윤]], [[최윤아]], [[이승아]] 현역으로는 [[박지현(2000)|박지현]], [[안혜지(농구선수)|안혜지]], [[허예은(농구선수)|허예은]] 등이 있다. == [[NBA 파이널|파이널]]에 약하다? == NBA에서 2010년대 듀얼 가드의 전성기가 열리며 슈퍼스타들이 넘쳐나는 포지션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7 NBA 파이널|2007년 파이널]]에서 [[토니 파커]]가 MVP를 수상한 이후로 오랫동안 파이널 MVP를 배출하지 못했고, 그 기간 동안 [[르브론 제임스]], [[케빈 듀란트]], [[카와이 레너드]] 등 주로 [[스몰 포워드]]들이 이를 독식했다. 그로 인해, 포인트 가드는 파이널의 강한 수비 압박 속에서 제 기량을 펼치기 힘들다, 미드레인지 샷을 갖춘 포워드들이 그와 같은 무대에서 더 유리하다는 식의 주장이 한국의 NBA 팬 커뮤니티에서 횡행하기도 했으나, 이는 단지 파엠 수상자만을 살펴보고 성급히 내린 결론일 뿐이다. 이러한 주장의 가장 주된 근거는 21세기 최고의 포인트 가드인 스테픈 커리의 '3우승 노파엠'이었으나, [[2022 NBA 파이널|22년 파이널]]에서 끝내 파엠을 수상하며 이를 보기 좋게 깨뜨린 상태다. 애초에 커리의 역대 파이널 시리즈 평균 득점은 27.3점에 달하므로 파엠 수상과 상관 없이 커리는 파이널에서 강하면 강했지 결코 약하다고는 할 수 없는 선수다. 커리가 우승을 달성하고도 파엠 수상에 실패하여 특히 체면을 구긴 것이 파엠 투표에서 단 1표도 득표하지 못한 채 롤플레이어인 [[안드레 이궈달라]]에게 파엠을 빼앗긴 [[2015 NBA 파이널|15 파이널]]이라 할 수 있는데, 막상 당시 커리의 기록을 살펴보면 평균 26.0득점, 5.2리바운드, 6.3어시스트로 상당히 준수한 수준이었다. 그렇기에 이궈달라의 파엠 수상은 지금까지 논란이 되고 있으며, 그러한 결과가 정당했는가는 논외로 하더라도, 적어도 '체구가 작은 포인트 가드 선수는 파이널에서 정규 시즌과는 차원이 다른 강한 수비를 만나게 되면 득점을 제대로 올리기 힘들다'는 식의 주장은 설 자리가 없는 것이다. 게다가 당시 파이널 MVP 수상자인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스몰 포워드 이궈달라의 평균 득점은 16.3점에 불과했으며,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상대 팀]] 1옵션이자 역시 당시 스몰 포워드로 뛰었던 르브론은 평균 35.8득점을 올렸으나 야투율은 39.8%로 매우 낮았다. 또한 르브론 제임스, [[케빈 러브]]와 함께 2010년대 후반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의 빅 3를 구성한 선수이자 리그의 대표적인 듀얼 가드형 포인트 가드인 [[카이리 어빙]]의 경우 자신이 경험한 두 번의 파이널에서 각각 평균 27.1점, 29.4점을 기록하며 큰 무대에서 전혀 위축되지 않는 득점 능력을 뽐낸 바 있다. 특히 [[2016 NBA 파이널|2016년의 파이널 시리즈]]에서는 시리즈 전적 1-3로 뒤지게 된 다음의 엘리미네이션 게임 3경기에서 무려 평균 30점을 퍼부은데다가, 7차전에서는 상대 에이스 커리 위로 위닝 샷을 꽂아넣으며 당시 파엠 르브론 못지 않게 우승에 혁혁한 공헌을 하기도 했다. 2021년 드디어 [[2021 NBA 파이널|파이널]]에 진출한 [[크리스 폴]]의 경우도, 비록 우승과 파엠 수상은 실패했으나, 평균 8.2어시스트에 더해 야투율 55%라는 높은 효율로 평균 21.8점을 기록하며 전성기 못지 않은 기량을 과시한 바 있다. 22 파이널 준우승 팀 [[보스턴 셀틱스]]의 주전 포인트 가드 [[마커스 스마트]]만 해도 비록 커리를 제어하는 데는 실패했으나, 공수 양면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며 15.2점 5.0어시스트 1.5스틸을 기록했다. 이와 같이 듀얼 가드 전성기에 펼쳐진 역대 NBA 파이널 시리즈의 실제 기록와 흐름을 면밀하게 살펴보면, 포인트 가드들이 [[NBA 파이널|파이널]]에서 실력 발휘를 못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희박함을 알 수 있다. == 창작물에서 == * [[슬램덩크(만화)|슬램덩크]] * [[북산]] * [[송태섭]] * [[이달재]] * [[능남]] * [[백정태]] * [[윤대협]][*스윙맨][* 포워드였지만 이정환을 상대했을 때 전술적인 이유로 포인트 가드를 본 케이스이다. 그래서 작중에서도 윤대협의 재능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포지션은 포인트 가드가 아닐까 하는 말이 나왔고, [[슈퍼슬램]] 게임에서는 아예 포인트 가드로 설정되었다.] * [[상양]] * [[김수겸]] * [[해남대부속고]] * [[이정환(슬램덩크)|이정환]] * [[풍전]] * [[나대룡]] * [[산왕공고]] * [[이명헌]] * [[정우성(슬램덩크)|정우성]][*스윙맨][* 미국 진출 이후 포인트 가드로 출전해 송태섭을 상대한다.] * [[디어보이스]] * [[후지와라 타쿠미(디어보이스)|후지와라 타쿠미]] * [[소라의 날개]] * [[쿠루마타니 소라]] - [[슈팅 가드]]에서 전환. * [[하나조노 치아키]] - 후에 포워드로 전환. * [[이가라시 코타]] - 슈터인 소라와 인사이드 플레이가 유리한 치아키와는 다른 정통파 포인트 가드 * [[쿠로코의 농구]] * [[이마요시 쇼이치]] * [[카사마츠 유키오]] * [[이즈키 슌]] * [[아카시 세이주로]] * [[타카오 카즈나리]] * [[하나미야 마코토]] * [[내시 골드 주니어]] * [[로큐브]] * [[나가츠카 사키]] * [[하세가와 스바루]] * [[가비지타임]] 포지션 파괴가 일어난 시대적 배경상 일부 선수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슈팅 가드]]도 병행하는 [[듀얼 가드]]들이 많다. * [[지상고등학교]] * [[진재유]] * [[정희찬]][*듀얼가드 [[슈팅 가드]] 병행][* 중학생 때는 포인트 가드만 했다.] * [[이현성(가비지타임)|이현성]] 감독[*듀얼가드][*선 선수 시절] * [[지상고등학교#서인진 코치|서인진]] 코치[*듀얼가드][*선] * [[조형고등학교]] * [[박병찬]][*듀얼가드] * [[이초원]][*듀얼가드] * [[조형고등학교#이규후 감독|이규후]] 감독[*선] * [[원중고등학교]] * [[조재석]][*듀얼가드] * [[박교진]][*듀얼가드] * [[신유고등학교]] * [[조신우]] * [[진훈정보산업고등학교]] * [[김기정(가비지타임)|김기정]] * [[장도고등학교]] * [[이규(가비지타임)|이규]][*스윙맨 이규와 최종수 둘 다 [[슈팅 가드]]와 [[스몰 포워드]]도 병행하는 올라운더다.] * [[최종수(가비지타임)|최종수]][*스윙맨] * [[주찬양(가비지타임)|주찬양]][*듀얼가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농구/포지션, version=169)] [[분류:포인트 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