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파일:フォーマッド・スキッパ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포맷 스킵퍼, 일어판 명칭=フォーマッド・スキッパー, 영어판 명칭=Formud Skipper, 레벨=1, 속성=빛,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의 링크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준다. 이 턴에 링크 소환할 경우\, 이 카드는 보여준 몬스터와 같은 카드명 / 종족 / 속성의 소재로도 취급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링크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5 이상의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이름의 유래는 [[포맷]](フォーマット, format) + [[말뚝망둥어]](マッドスキッパー, mudskipper). [[유희왕 VRAINS]] 118화에서 [[후지키 유사쿠|Playmaker]]가 [[아이(유희왕)|아이]]와의 마스터 듀얼 중 사용, [[사이바넷|사이바넷 옵티마이즈]]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고 [[프레임 버팔로]]와 함께 [[사이버스 위치]]의 링크 소환 소재가 됐다. 직후 ②의 효과로 [[디그레네이드 버스터]]를 서치했다. 다음 턴 [[사이버스|사이버스 가제트]]의 효과로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고, 사이버스 가제트와 함께 [[사이버스 위키드]]의 링크 소환 소재가 됐다. ①의 효과는 링크 소재로 할 경우 카드명 / 종족 / 속성을 베끼는 효과. 링크 소환 버전 [[퓨전 태그]]. 보통 링크 소재의 제한을 벗어나기 위해 쓰일 것이다. 그러나 링크 몬스터 대부분은 "같은 조건의 몬스터 2장 이상"으로 소재를 지정하고, 이 카드로 소재 1장을 충당하고도 다른 소재 1장을 별도로 준비해야 한다. 또한 종족이나 속성을 소재 지정하는 링크 몬스터는 효과도 전용 효과인 경우가 많아, 그 효과를 전부 활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즉, 카테고리와 속성의 제한을 만족하기 쉬운 카드와의 병용이 필요하다. ②의 효과는 링크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레벨 5 이상의 사이버스족 1장을 서치할 수 있는 효과. 이하의 몬스터들을 서치할 수 있다. ||<#000000> {{{#ffffff '''메인 덱 레벨 5 이상의 사이버스족 몬스터'''}}} || || '''레벨 5''' || ||ㆍ[[RAM 클라우더#s-4|SIMM 태블러스]][br]ㆍ[[링크슬레이어]][br]ㆍ[[마린세스|마린세스 크라운테일]][br]ㆍ[[마린세스|마린세스 슬리피메이든]][br]ㆍ[[부트 스태거드]][br]ㆍ[[샐러맨그레이트|샐러맨그레이트 패로]][br]ㆍ[[스크립튼]][br]ㆍ[[코드 토커#코드 엑스포터|코드 엑스포터]][br]ㆍ[[콘덴서 데스스토커]]|| || '''레벨 6''' || ||ㆍ[[@이그니스터|단마리@이그니스터]][br]ㆍ[[사이버스#s-2.1.4|사이버스 화이트햇]][br]ㆍ[[샐비전트 드라이버]][br]ㆍ[[인터럽트 레지스탕스]]|| || '''레벨 7''' || ||ㆍ[[디그레네이드 버스터]][br]ㆍ[[사이버스 매지션]][br]ㆍ[[세그멘탈 드래곤]][br]ㆍ[[스레숄드 보그]][br]ㆍ[[워터 리바이어던@이그니스터]][br]ㆍ[[클러스터 펜듈럼#s-2|클러스터 컨제스터]]|| || '''레벨 8''' || ||ㆍ[[@이그니스터|갓치리@이그니스터]][br]ㆍ[[@이그니스터|굿사리@이그니스터]][br]ㆍ[[듀얼 어셈블룸]][br]ㆍ[[샐러맨그레이트|샐러맨그레이트 B바이슨]][br]ㆍ[[샐러맨그레이트|샐러맨그레이트 에머랄드 이글]][br]ㆍ[[서프레스 컬라이더]][br]ㆍ[[패러렐엑시드]][br]ㆍ[[인공지능 ME-PSY-YA]]|| || '''레벨 11''' || ||ㆍ[[쌍성신 a-vida]]||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링크 브레인즈 박스]] || LVB1-KR002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소울 버너(스트럭처 덱)|소울 버너]]- || SD35-KR022 || [[노멀]] || 한국 || || || [[링크 브레인즈 박스|LINK VRAINS BOX]] || LVB1-JP002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소울 버너(스트럭처 덱)|ソウルバーナー]]- || SD35-JP022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소울 버너(스트럭처 덱)|Soulburner]] || SDSB-EN02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s of Legend: Armageddon || BLAR-EN087 || [[울트라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사이버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