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르투갈 관련 문서)] [include(틀:유럽의 국가및 지역별 여권)]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600, #006600 40%, #FF0000 40%, #FF0000)" {{{#FFFF00 {{{+2 '''포르투갈 공화국 여권''' }}}[br]Passport of Portuguese Republic[br]Passaporte da República Portuguesa[br][[파일:전자여권 로고.svg|width=28]]}}}}}}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ortugal_passport_image.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5px" '''{{{#FFC224 발급 국가}}}'''}}}||[[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8]] [[포르투갈]] || ||<:> {{{#!wiki style="margin: -6px -15px" '''{{{#FFC224 발급 기관}}}'''}}}||[[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8]] [[포르투갈|포르투갈 내무부]] || ||<:> {{{#!wiki style="margin: -6px -15px" '''{{{#FFC224 포르투갈어}}}'''}}}||'''Passaporte da República Portuguesa'''[br]Passaporte português || ||<:>'''{{{#FFC224 영어}}}'''||'''Passport of Portuguese Republic'''[br]Portuguese passport || ||<:>'''{{{#FFC224 한국어}}}'''||'''포르투갈 공화국 여권'''[br]포르투갈 여권 || ||<:> {{{#!wiki style="margin: 0px -15px" '''{{{#FFC224 비자 현황}}}'''}}}||''''''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www.seul.embaixadaportugal.mne.pt/en/|주한 포르투갈 대사관 홈페이지]] [[포르투갈]]의 [[여권]]으로 [[스페인 여권]]과 비슷하게 식민지배했던 [[브라질]]의 영향으로 [[중남미]]에서 우대를 받는다. [[브라질]]이 [[포르투갈]]보다 강대국이지만, [[포르투갈]]이 1인당 GDP 등이 훨씬 높기 때문에 신뢰도가 더 높다. 게다가 [[유럽연합]] 중 [[이민]] 제도가 잘 정비되어있고 상당히 쉬운 까닭에 선호되는 여권 중 하나다.[* [[대한민국|한국]]과 [[중국]]의 GDP 차이와 1인당 GDP 차이를 보면 이해가 쉽다.] == 상세 == 포르투갈 여권 겉 표지는 [[포르투갈]]어로 되어있고, 여권과 관련된 메시지는 [[포르투갈어]], [[영어]], [[프랑스어]]로 되어있다. 포르투갈 내 [[유네스코 세계유산]]과 [[포르투갈어]]로 된 명시들이 속지들을 장식한다. [[유럽연합]] 회원국인데다 [[솅겐 조약]] 비준국이기 때문에, [[유럽연합]] 회원국과 [[솅겐 조약]] 비준국들에서는 [[이민|정주]]와 [[취업]]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미국]] [[ESTA]] 신청이 가능하고,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홍콩]], [[마카오]], [[한국]], [[일본]], [[대만|중화민국]], [[싱가포르]]와 같은 비유럽 [[선진국]] 무비자 입국 또한 가능하며,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회원국 대부분에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마카오]]에 합법적으로 거주하는 대부분의 주민들도 역시 이 여권을 가지고 있다. 포르투갈령 마카오 시절의 영향으로 중국 반환전 아예 포르투갈 여권을 발급했기 때문이다. 거기에 포르투갈은 속인주의를 채택중이기 때문에 그들의 후손들도 전부 포르투갈 국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마카오에 거주중인 상당수의 인물들이 포르투갈 국적과 마카오 국적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마카오는 홍콩에 비해 상당한 안전장치를 가지고 있는 셈이 된다. == 소지자 == * [[김한솔]] - 포르투갈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 [[필리페 쿠티뉴]] - 2018년 7월 20일에 포르투갈 국적을 취득하여 브라질-포르투갈 이중 국적자가 되었다. [[분류:여권]][[분류:포르투갈]][[분류:포르투갈의 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