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포르투갈 대통령)] [include(틀:포르투갈 관련 문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500 0%, #006127 20%, #006127 80%, #003500)" [[파일:포르투갈 대통령기.svg|width=60]][br]{{{+1 {{{#fff '''포르투갈 공화국 대통령'''}}}}}}[br]{{{#fff '''Presidente da República Portuguesa[br]President of the Republic of Portuga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헤벨루 드 소자 대통령.jpg|width=100%]]}}} || || {{{#fff '''현직'''}}}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 제20대,, || || {{{#fff '''취임일'''}}} ||[[2016년]] [[3월 9일]] || || {{{#fff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8c00; font-size: .9em" [[사회민주당(포르투갈)|{{{#fff '''사회민주당'''}}}]]}}} || || {{{#fff '''관저'''}}} ||벨렝 궁 || [목차] [clearfix] == 개요 == [[포르투갈]]의 [[국가원수]]. 정식 명칭은 [[포르투갈 공화국]] 대통령(Presidente da República Portuguesa)이다. 현임 대통령은 20대째인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 [[임기]] 및 선출 == 임기는 5년이며 중임 제한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나 3연임 이상은 불가능하다. 즉 두 번 대통령을 하고 한 번 쉬고 다시 대통령이 되는 것은 가능하다. 현재와 같이 임기가 정해진 것은 [[카네이션 혁명]] 이후인 [[1976년]]이다. 포르투갈 [[대통령 선거]]는 [[결선투표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1986년]] 선거를 제외하면 결선투표가 실시된 적이 없다. 포르투갈 대통령은 [[직접선거]]로 선출된다. == 권한 == 포르투갈은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포르투갈 대통령의 권한은 [[내각]]의 감시, [[외교]], [[국방]]에 국한된다. 때문에 [[의원내각제]]보다는 [[대통령]]의 권한이 강하지만 [[프랑스 대통령]]보다는 약한 편이다. 포르투갈 대통령은 [[포르투갈 총리]] 임명권, [[의회 해산|의회 해산권]], [[국군통수권]], 법률 공포권, [[국민투표]] 부의권 등의 권한을 가진다. == 역대 대통령 == === [[포르투갈 제1공화국]] (1910년 ~ 1926년) ===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정당 || 비고 || || '''(임시)''' || [[테오필루 브라가]][br],,(1843~1924),, || 1910년 10월 5일 || 1911년 8월 24일 || || || || 1 || 마누엘 드 아히아가[br],,(1840~1917),, || 1911년 8월 24일 || 1915년 5월 26일 || || [*A 임기 중 사임] || || 2 || [[테오필루 브라가]][br],,(1843~1924),, || 1915년 5월 29일 || 1915년 8월 5일 || || || || 3 || 베르나르디누 마샤두[br],,(1851~1944),, || 1915년 8월 6일 || 1917년 12월 5일 || || [*A] || || 4 || 시도니우 파이스[br],,(1872~1918),, || 1918년 4월 28일 || 1918년 12월 14일 || || [* 임기 중 암살] || || 5 || 주앙 두 칸투 이 카스트루[br],,(1862~1934),, || 1918년 12월 14일 || 1919년 10월 5일 || || || || 6 || 안토니우 조제 드 알메이다[br],,(1866~1929),, || 1919년 10월 5일 || 1923년 10월 5일 || || [*A] || || 7 || 마누엘 테이셰이라 고메스[br],,(1860~1941),, || 1923년 10월 6일 || 1925년 12월 11일 || || [*A] || || 8 || 베르나르디누 마샤두[br],,(1851~1944),, || 1925년 12월 11일 || 1926년 5월 31일 || || [* 임기 중 쿠데타로 사임] || === [[포르투갈 국가독재]] (1926년 ~ 1932년) ===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정당 || 비고 || || 9 || 조제 멘데스 카데사다스[br],,(1883~1965),, || 1926년 5월 31일 || 1926년 6월 19일 || || || || 10 || 마누엘 고메스 다 코스타[br],,(1863~1929),, || 1926년 6월 19일 || 1926년 7월 9일 || || || || 11 || 오스카르 카르모나[br],,(1869~1951),, || 1926년 7월 9일 || 1928년 4월 15일 || || || === [[포르투갈 제2공화국]] (1932년 ~ 1974년) ===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정당 || 비고 || || 11 || 오스카르 카르모나[br],,(1869~1951),, || 1928년 4월 15일 || 1951년 4월 18일 || || [* 임기 중 사망] || || '''(대행)''' ||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br],,(1889~1970),, || 1951년 4월 18일 || 1951년 7월 21일 || || || || 12 || 프란시스쿠 크라베이루 로페스[br],,(1894~1964),, || 1951년 7월 21일 || 1958년 8월 9일 || || || || 13 || 아메리쿠 토마스[br],,(1894~1987),, || 1958년 8월 9일 || 1974년 4월 25일 || || [*A] || === [[포르투갈 제3공화국]] (1975년 ~ 현재) ===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정당 || 비고 || || 14 || 안토니우 드 스피놀라[br],,(1910~1996),, || 1974년 5월 15일 || 1974년 9월 30일 || || || || 15 || 프란시스쿠 다 코스타 고메스[br],,(1914~2001),, || 1974년 9월 30일 || 1976년 7월 13일 || || || || 16 || 안토니우 하말류 이아느스[br],,(1935 ~ ),, || 1976년 7월 13일 || 1986년 3월 9일 || {{{#fff 민주혁신당}}} || || || 17 || 마리우 소아르스[br],,(1924 ~ 2017),, || 1986년 3월 9일 || 1996년 3월 9일 ||<|2> [[사회당(포르투갈)|{{{#fff 사회당}}}]] || || || 18 || 조르즈 삼파이우[br],,(1939~2021),, || 1996년 3월 9일 || 2006년 3월 9일 || || || 19 || 아니발 카바쿠 실바[br],,(1935 ~ ),, || 2006년 3월 9일 || 2016년 3월 9일 ||<|2> [[사회민주당(포르투갈)|{{{#fff 사회민주당}}}]] || || || 20 ||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br],,(1948 ~ ),, || 2016년 3월 9일 || 2026년 3월 9일(예정) ||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 및 총통 일람)] [[분류:포르투갈 대통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