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연쇄상구균속]][[분류:폐렴]] [include(틀:그람 양성균)] ||<-2> '''{{{#fff {{{+1 폐렴구균}}}[br]肺炎球菌 | Streptococcus pneumonia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폐렴구균전자현미경.webp|width=100%]]}}} || ||<-2> {{{-1 [[전자현미경]]으로 촬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폐렴구균가래.jpg|width=100%]]}}} || ||<-2> {{{-1 폐렴 환자의 가래에서 검출된 폐렴구균 (1000×)}}} || || [[학명|{{{#000 '''학명'''}}}]] || ''' ''Streptococcus pneumoniae'' '''[br](Klein 1884) Chester 1901 || ||<-2> {{{#000 '''분류'''}}} || || {{{#000 '''역'''}}} ||[[세균역]] (Bacteria) || || {{{#000 '''미분류'''}}} ||그람 양성균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후벽균문]](Firmicutes)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간균강(Bacilli)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유산균목(Lactobacillales)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연쇄상구균과(Streptococcaceae) || || [[생물 분류 단계#s-3.7|{{{#000 '''속'''}}}]] ||[[연쇄상구균속]](''Streptococcus'') || || [[생물 분류 단계#s-3.8|{{{#000 '''종'''}}}]] ||'''폐렴구균(''S. pneumoniae'')''' || [목차] [clearfix] == 개요 == 폐렴구균([[肺]][[炎]][[球]][[菌]], pneumococcus), 또는 폐렴쌍구균은 [[연쇄상구균속]]에 속하는 [[그람 양성]]균이다. 평상시에는 상기도나 코 안에서 상주하나 면역이 약화된 경우 [[폐렴]](pneumonia)과 [[수막염]](meningitis) 등 여러 질병의 원인 병원체가 되기도 한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폐렴구균사진.jpg|width=100%]]}}} || || '''쌍구균의 모양을 한 폐렴구균''' || 폐렴구균의 겉보기 모양에서 특징적인 것은 구 모양 두 개가 붙은 [[쌍구균]](diplococci) 모양이란 점이다. 그 외 조건부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 [[이산화 탄소]]를 성장 조건으로 요구하는 호이산화 탄소성(capnophilic), [[카탈레이스]](catalase) 음성 등의 특징을 다른 연쇄상구균속 세균들과 공유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폐렴구균용혈.jpg|width=100%]]}}} || || '''혈액 배지에서 나타나는 폐렴구균의 알파 용혈''' || 일반적으로는 혈액 배지에서 [[적혈구]]의 부분적인 [[용혈]]이 일어나 녹색으로 보이는 알파 용혈성(alpha-hemolytic)이다. 이는 [[녹색연쇄상구균]](viridans streptococci)에 속하는 다른 세균들과 공유하는 특징이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옵토친테스트.jpg|width=100%]]}}} || || '''옵토친 감수성 테스트 결과''' || 녹색연쇄상구균에 속하는 다른 세균들과의 차이점은 [[옵토친]](optochin)에 대한 반응으로, 다른 세균들이 옵토친 저항성을 보이는 데에 반해 폐렴구균만이 옵토친 감수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 특징은 거의 폐렴구균에서만 나타나므로 중요한 판별 기준이 된다. 위 그림에서 왼쪽의 다른 녹색연쇄상구균에서는 옵토친에 의해 균이 죽은 구역이 없으나, 오른쪽의 폐렴구균에서는 옵토친에 의해 죽은 구역이 보인다. [[화농성연쇄상구균]](S. pyogenes)이 분비하는 화농성의 독소는 생산하지 않으나, 용혈독소인 [[폐렴구균용혈소]](pneumolysin)를 생산한다. 또한 바깥의 [[피막]](capsule)을 이용하여 [[포식작용]]을 회피하며, 흔한 독성인자인 [[인베이신]](invasin)을 이용하여 표적 세포막을 뚫고 침입한다. == 질병 및 증상 == 면역이 약한 사람들에서 [[폐렴]], [[패혈증]], [[수막염]] 등의 원인이 된다. [[부비동염]]이나 [[중이염]], [[결막염]] 등 이비인후과-안과 질환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 진단 == 특이 [[항원]] 검출, 배양, 특징적인 쌍구균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등의 방법들이 사용된다. == 치료 및 예방 == 여타 다른 연쇄상구균들처럼 [[페니실린]](penicillin)이 가장 중요한 [[항생제]]이다. 폐렴구균은 유독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여러 항생제들에 대한 감수성 검사(sensitivity test)를 거친 후 처방하는 것이 좋다. 폐렴구균 백신(pneumococcal vaccines)은 폐렴구균으로 인한 폐렴 예방을 위해 접종된다. 크게 다당(류)백신(polysaccharide vaccine)과 단백접합백신(conjugate vaccine)으로 나뉘며 이 둘은 이용되는 [[항원]]에서 차이를 보인다. 다당백신은 세균 [[세포벽]]의 [[다당류]]를, 단백접합백신은 단백질 운반체(carrier)를 다당류와 결합시킨 복합체를 [[항원]]으로 사용한다. * 23가 다당백신(23-valent vaccine) - [[T 세포]]와 독립적으로 백신이 작동한다. [[항체]] 생산량이 비교적 적은 대신 가격이 싸다. 15개월 이하 영아는 다당류에 대한 항체 생산 능력이 떨어져 보통 13가 단백접합백신을 접종한다. 프로디악스23이 이에 해당한다. * 13가 단백접합백신(13-valent conjugate vaccine) - 생후 2개월 이상 15개월 이하 영아, 그 외 면역이 억제된 상태의 사람들에게 접종한다. 프리베나13가 이에 해당한다. * 10가 단백접합백신(10-valent conjugate vaccine) - 13가 단백접합백신에서 3가지 혈청이 제외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며 신플로릭스가 이에 해당한다. 2014년부터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지정되어 무료로 접종할 수 있으며 출생 후 2,4,6개월에 걸쳐 3회 기초접종을 하고, 12~15개월에 4차 추가접종을 할 수 있으며, 이 때 10, 13가 단백접합백신이 사용된다. 성인의 경우 65세 미만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만 실시하며, 65세 이상은 국가예방접종사업에 따라 무료접종한다. 이 때 23가 다당백신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