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에서는 1987년 창당한 정당을 다루고 있습니다. 2010년 창당한 정당, rd1=평화민주당(2010년))]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918, #ffd918)" '''[[민주당계 정당|{{{#000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 [[통일민주당]] || {{{+1 →}}} || '''{{{#324a70 평화민주당}}}''' || {{{+1 →}}} || [[신민주연합당]] || ||<-2><:>[[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width=80%]]|| ||<-2><:>{{{#324a70 '''평화민주당'''}}}|| ||<:>'''공식명칭'''||평화민주당 (平和民主黨, Party for Peace and Democracy)|| ||<:>'''약칭'''||평민당|| ||<:>'''창당일'''||[[1987년]] [[11월 12일]] ,,([[통일민주당]]에서 분당),,|| ||<:>'''당명변경'''||[[1991년]] [[4월 15일]] ,,([[신민주연합당]]),,|| ||<:>'''해산일'''||[[1991년]] [[9월 16일]] ,,([[민주당(1991년)|민주당]]으로 신설합당),,|| ||<:>'''선행조직'''||[include(틀:통일민주당)][br],,(1987년 후보단일화 실패로 인한 분당),,||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33[br]([[여의도동]])[* 속칭 '여의도백화점'으로 알려진 맨하탄빌딩이다.]: 제1당사[br][[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318 ([[용강동(서울)|용강동]]): 제2당사|| ||<:>'''이념'''||[[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온건개혁주의[* 김대중 본인이 말한 이 당의 노선이다.]|| ||<:>'''총재'''||[[김대중]] / ,,5선 (5-8·13대),, || ||<:>'''원내총무'''||[[김영배(1932)|김영배]] / ,,3선 (10·12·13대),, || ||<:>'''사무총장'''||[[김봉호]] / ,,3선 (10·12·13대),, || ||<:>'''정책위의장'''||[[조세형(정치인)|조세형]] / ,,재선 (10·13대),, || ||<:>'''당 색'''||{{{#!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ADA5E; border: 1px #FADA5E;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324a70 노란색 {{{-2 (#FADA5E)}}}}}}}}} || ||<:>'''당기'''||[[파일:평화민주당 깃발.svg|width=200]]|| ||<:>'''국제 조직'''||[[중도민주 인터내셔널|기독민주 인터내셔널]](옵저버)[* [[http://www.hani.co.kr/arti/PRINT/493832.html|#]] 현 중도민주 인터내셔널(2001년 명칭 변경). 당에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총재였던 [[김대중]]이 생전 [[가톨릭]] 신자였음을 생각해 보면 놀랄 일은 아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yungmin_changdang.jpg|width=100%]]}}} || [[1987년]] [[10월 29일]] [[김대중]]이 [[통일민주당]] 내 자신의 [[동교동계]]를 규합해 [[분당(정치)|분당]]을 결행하여 만든 [[정당]]. 현 [[더불어민주당]]을 위시한 민주화 이후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민주당계 정당]]의 실질적 뿌리 중 하나가 바로 이 평민당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로 더불어민주당과 법적으로 연관이 있는 최초의 전신 정당은 1995년 창당된 [[새정치국민회의]]이다. 굳이 따지자면 평화민주당→[[신민주연합당]]→[[민주당(1991년)|민주당]][* 사실 여기도 실질적으론 직접적인 뿌리 중 하나다.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에서 [[노무현]] 등이 넘어오면서 이후 민주당계 정당의 세력 구도나 정체성이 많이 확립되었기 때문.]→[[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민주당]]→[[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을 거쳐 [[더불어민주당]]으로 이어진다.] 성향은 김대중 총재 왈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8020300209202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2-03&officeId=00020&pageNo=2&printNo=20411&publishType=00020|온건개혁주의 노선]]으로 [[사회주의]]적 혁신까진 아니지만 [[자유민주주의]]를 지지하는 노동계 등 재야 인사들을 적극 수용, 진보적 중산층과 노조의 지지도 받지만 자유시장경제 체제도 지지하는 미국 민주당을 롤 모델로 한다고 말했다. 연장선상에서 1988년 2월 3일 [[문동환]] 목사[* [[문익환]] 목사의 동생이자 배우 [[문성근]]의 작은아버지. 13대 전국구의원·부총재 및 광주특위위원장을 역임했다.] 등 [[서울]] 지역 재야인사 98명이 대거 평민당에 입당해 당의 체질에 변화를 줬다. 김대중 총재가 총선 이후 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8090200289103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9-02&officeId=00028&pageNo=3&printNo=95&publishType=00010|인터뷰]]에 따르면 "우리 당은 [[중도좌파]]와 [[중도우파]]가 모두 모여있는 당으로, 공산주의를 찬성하는 혁신 정당도 아니고[* 사실 이 혁신이란 말은 일본 정계에서 주로 쓰는 말인데, 이때만 해도 일본 사회당과 같은 주류 혁신정당은 한국에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에서 쓰는 단어를 쓴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알다시피 혁신보단 보수 vs 진보(혹은 개혁, 민주)가 더 많이 쓰인다. 즉, 혁신이란 말은 (좌파든 우파든) 자유주의가 아닌 사회주의 진영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고 보는게 정확하다.] 정의있는 자유경제를 지지하는만큼 보수 정당도 아닌 '''중도 정당'''"이라고 말했다. 창당 초기에 중앙당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4-11 [[대하빌딩]]에 소재했으나, 1988년부터 [[여의도백화점]] 6층으로 이전했다. 같은 해에는 마포구 토정동에도 제2당사를 뒀다. == 역사 == 1987년 [[13대 대선]] 통일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김영삼]]에 세불리를 느끼자, 대구 경북지역 노태우, 부산 경남 김영삼, 전라도 지역 [[김대중]]의 지역 구도로 선거를 몰아가면 승산이 확실하다고 생각하여, 동교동계(주로 전라도) 정치인을 데리고 [[통일민주당]](약칭 민주당)을 나와 1987년 10월 말에 창당발기인대회[* 창당발기인대회는 창당을 위한 법적 조직인 [[창당준비위원회]] 구성을 위한 사전절차다. 창당대회와 다르다.], 즉 창준위를 만들기 위한 대회를 열었고 발기취지문에서 “우리는 수구주의와 급진적 개혁주의의 양극을 배제, 온건한 개혁노선을 표방해 중산층과 근로계층의 이익을 대변하는 국민정당을 지향한다”고 밝혔다. 마침내 1987년 11월 12일 창당대회를 열어서 평화민주당을 창당하였는데 김대중을 총재 및 대통령 후보로 추대했다. 그리고 '평화민주연구회'라는 이름으로 재야 민주화 운동가들을 대대적으로 입당시키며 세를 불렸다.[* 당시 평민연 소속으로 입당한 재야 인사들은 [[이해찬]], [[임채정]], [[박영숙]], [[문동환(정치인)|문동환]] 등 총 98명으로 이들은 계속 민주당 계열에서 활동하면서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에서 국회의원, 장차관, 청와대 수석 비서관 등 고위직에 오른다.] 이미 통일민주당에서 민주당이라는 이름을 먼저 사용하고 있었기에 처음에는 당명을 평화당으로 하려 했다. 그러다가 "우리도 통일민주당처럼 민주당 이름을 못 쓸 이유가 없으니 우리도 평화당이라고 하지 말고 평화민주당이라고 하면 되는 게 아니냐?"라는 제안이 당무 회의에서 받아들여져 평화민주당이란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풀네임이 길어 일반적으로는 [[축약어]]인 평민당으로 불렀고, 애초에 의도되었다. 창당대회에서 채택된 정강·정책에 나타난 창당 이념 및 주요 정책은 진정한 민주정부 수립, 정의경제의 구현, 진정한 복지사회 실현, 자주적 평화통일의 달성, 국민화해 등이다.[* [[http://mn.kbs.co.kr/mobile/news/view.do?ncd=3676227|평화민주당 정강정책 발표]]] [[파일:13대 대선 김대중 후보 선거벽보.jpg|width=300]] '''"[[랩(음악)#펀치라인|평민은 평민당, 대중은 김대중]]"'''이라는 구호와 함께 의욕이 넘치던 출발에 비해 평민당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13대 대선]]에서 36.64%의 득표율로 당선된 [[민주정의당|민정당]] [[노태우]], 그리고 28.03%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한 [[통일민주당]] [[김영삼]]에 이어 [[김대중]]이 27.04%의 득표율을 얻어 3위로 떨어지면서 위기에 몰렸다. 사실 대선 당시 나름대로 전략도 있었다. 이 당시 [[노태우]]의 어부지리 당선을 염려한 민주화 세력은 양김의 단일화를 촉구하였다. 사실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가 번복하고 대선에 뛰어든 것이었던 [[김대중]]은 명분 싸움에서 밀리자 '[[4자필승론]]'이라는 반박 논리를 만들어냈는데, 내용은 이렇다. [[김대중|자신]]이 [[전라도|호남]], [[노태우]]가 [[대경권|TK]], [[김영삼]]이 [[부울경|PK]], [[김종필]]이 [[충청권|충청]]을 나눠먹을 테니, 자신이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 압승하면 도리어 양자 대결이 아닌 4자 대결일 때 승산이 높다는 것이었다.[* 후에 이것이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지역 등권론"으로 이어진다. 이 4자 필승론은 김대중의 오리지널 아이디어가 아니라 훗날 [[민주당(2008년)|민주당]]이 [[동교동계]] 푸대접을 하며 많이 진보화되자 '''[[평화민주당(2010년)|새로운 평화민주당]]'''을 창당하게 되는 [[한화갑]]이 제기한 아이디어라고 한다.] 하지만 [[KAL기 폭파 사건]]으로 [[부울경|PK]]와 [[충청도]]의 지역주의 정서가 옅어졌고, 군인 투표자들[* 부대에서 은근히 노태우를 뽑으라고 압박을 준 곳도 있었다고 하며, 이 과정에서 [[정연관 상병 구타 사망사건]]까지 일어났다.]의 표가 대부분 [[신군부]] 정권의 수뇌부였던 [[노태우]]에게 날아가면서 결과는 3등으로 끝났다. 당시엔 여론조사가 시범적으로 시행된 정도라 제대로 상황 파악을 하기가 불가능했다. [[한국갤럽]]에서 대선 여론조사를 진행했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전두환|독재 정권]] 시절이다보니 제대로 된 표본을 잡을지 의문시 되던 상황이었다. 그래서 정권에서 야권 분열을 위해 일부러 [[김대중]]에게 유리해보이는 분위기를 조성하려고 노력했다는 [[음모론]]도 존재한다. 심지어 [[앨빈 토플러]]의 책에도 등장하는 컴퓨터 선거 조작설도 [[전라도|호남]]에서의 지나친 몰표에 따라 큰 인기를 끌었으나 총선 결과를 보면 그다지... 다만 이전까지 호남은 여당 지지세는 전국 평균 수준으로 나쁘지 않았다. 물론 당대에는 관권 선거나 금권 선거가 대놓고 벌어진데다가 중대선거구제이기도 했지만... 이것이 단박에 뒤집어진 것은 김대중조차도 예측하지 못한 것이다. 다음 해인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3대 총선]]에서는 [[박영숙]] 총재 권한대행이 선거를 운영하였는데 당초 [[통일민주당]]과의 단일화에도 실패하여 [[김대중]]과 [[김영삼]]에 대한 실망감이 더더욱 강해지는 바람에 야권 성향 유권자들이 대거 기권해서 평민당과 통일민주당 모두 참패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지만 선거 막판에 [[민주정의당]]이 알아서 자폭한 덕택에 여당 표심이 옅어져서 [[전라도|호남]]과 [[전라도|호남]]에서 출향한 [[서울]] 시민들이 평민당에게 표를 대거 몰아주었고[* 다만 득표율로 보면 나름대로 골고루(?) 표가 나눠지기는 했다. 서울 지역 선거 득표율로만 본다면 평민당은 27%, 민정당은 26%, 민주당은 23%, 공화당은 16%의 득표율을 보였다.] 그에 따라 평민당은 [[서울]] 17석 + [[전라도|호남]] 36석+ [[경기도]] 1석을 얻어 [[통일민주당]]을 제치고 제1야당의 자리에까지 올라서는 반전을 일으켰다. 이런 평민당의 약진은 당 상징색이 누렇게 익은 벼를 상징하는 [[노란색]]이어서 이른바 '''황색 폭풍'''이라 불렸다.[* 후에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5대 총선]] [[자유민주연합|자민련]]의 선전과 2016년 [[20대 총선]]에서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이 [[전라도|호남]]에서 압승한 것을 두고 "녹색 바람" 또는 "녹색 돌풍"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를 통해서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때로는 [[합종연횡]]을 하면서 [[민주정의당|민정당]]을 견제했다. 2016년에 출범한 [[20대 국회]]와 비슷한 상황이 조성된 것이다. 그러나 [[민주정의당]]은 [[통일민주당]], 그리고 [[신민주공화당]]과 [[1990년]] [[3당 합당|합당]]해 [[민주자유당]]이 되면서 이런 여소야대 상황은 뒤집혀 버렸고, 평민당이 원내의 유일한 야당으로 남게 되었다. [[3당 합당]] 직후 [[민자당]]의 의석수는 무려 216석에 달했다. 반면 평민당의 의석은 70석에 불과했다.[* 사실 원래 민정당은 평민당을 합당 대상으로 삼아서 교섭을 진행하려 했다. 그러나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지 10년이 채 되지도 않는 시점에서 전두환 정권의 피를 이어받은 민정당과 한솥밥을 먹는다는 건 평민당 스스로가 텃밭인 호남을 배신하는 것이 되어버리는데다가 재야 인사들로부터 욕을 들어먹을 것이 뻔하기 때문에 포기했다.] 이렇게 여당과의 규모가 안드로메다급으로 나면서 밀려나게 되었다. 재미있는 것은 1990년 당시의 여론조사를 보면 민자당과 평민당간의 지지율 차이는 비슷비슷하게 20% 정도에서 형성되었지만 기존 통일민주당 성향 유권자들이 꼬마민주당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평민당의 지지율이 크게 늘어났던 것은 아니었고 [[1991년]] 3월 지방선거에서 선전을 목적으로 재야 인사들을 대대적으로 영입하면서 [[신민주연합당]]으로 명칭을 바꾸었지만 1991년 6월 [[1991년 지방선거|광역 의원]]에서 투표율 저조와 야권분열로 참패했다. 이후 평민당의 창당이 [[김대중]]이 불복의 멍에를 쓰는 데 가장 일조한 사건이 되었다. 사실상 1987년 단일화 실패의 가장 유력한 책임이라는 비판을 피하지 못하게 되었다. 김대중의 평민당 창당은 대한 민국에 엄청난 피해를 남겼다. 평민당 창당 이전에는 표심의 구도가 여소야대의 선거이었지만, 그 이후에는 표심이 동서로 나누어지고 지역감정이 극도로 악화되어 그 폐해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김대중은 [[제14대 대통령 선거]] 낙선의 정계 은퇴를 번복했고,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당선된 후 [[의원내각제]] 개헌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다. 개헌의 경우 1990년~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직전의 민자당(총 의석의 70%에 달했다.)과는 달리 [[새정치국민회의]]와 [[자유민주연합]]을 합해서 과반을 넘긴 했지만 '''개헌선에 한참 모자란 상태인데다가 개헌저지선은 확보한 한나라당에서 적극적으로 반대했기 때문에 내각제 개헌이 이루어질래야 이루어질 수가 없는 상태'''이긴 했지만. 거기에다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공조가 제대로 안 이루워지는 바람에 개헌선 확보는커녕 군소 정당과 무소속을 끌여들여서 겨우 과반을 확보했으니 내각제 개헌이 물건너갈 수밖에 없던 것.] 이후 [[1991년]] 9월 민주당(일명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과 합당하면서 [[민주당(1991년)]]이 된다. 합당 후에는 후자의 민주당과 구분하는 의미에서 통합민주당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 역대 당직자 == === 총재 === [Include(틀:평화민주당 총재)] === 원내총무 === [include(틀:평화민주당 원내총무)] == 역대 선거 결과 == *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 [[김대중]], 6,113,375표, 27.04% 낙선 (3위) *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전체 의석수 득표율 23.41% (원내 2당), 70/299 3,783,279표, 전국구 득표율 19.26% (전국구 전체 득표수 3위) == 둘러보기 ==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제5공화국-문민정부))] [Include(틀:제12대 국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제13대 국회의 원내 구성)] [[분류:민주당계 정당]][[분류:1987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1991년 해체]][[분류:중도개혁주의 정당]][[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분류:김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