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018, #0070C8)" [[민주당계 정당|{{{#FFFFFF '''대한민국의 민주당계'''}}}]][[대한민국 보수정당|{{{#FFFFFF '''·보수정당'''}}}]]}}}|| ||<|2><:>[[민주당(2008년)|민주당]]||<|3><:>{{{+1 →}}}||<|3><:>'''{{{#FFFFFF 평화민주당}}}'''||<:>{{{+1 →}}}||<:>[[정통민주당]]|| ||<:>{{{+1 →}}}||<:>[[국민행복당(2011년)|국민행복당]]|| ||<-2><:>[[파일:평화민주당 2010년 로고.svg|width=200]]|| ||<-2><:>{{{#FFFFFF '''평화민주당'''}}}|| ||<:>'''영문 명칭'''||Peace Democratic Party|| ||<:>'''등록 약칭'''||평민당|| ||<:>'''슬로건'''||정의롭게 푸르게 평화민주당|| ||<:>'''창당일'''||[[2010년]] [[4월 19일]]|| ||<:>'''해산일'''||[[2012년]] [[2월 14일]] ,,([[국민행복당(2011년)|국민행복당]]에 [[합당(정치)|흡수 합당]]),,|| ||<:>'''해산 전 주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22[br]가든빌딩 1001호|| ||<:>'''해산 전 대표'''||[[한영애(1941)|한영애]]|| ||<:>'''18대 국회 의석 수[br](해산 전)'''||0석 / 295석|| ||<:>'''광역단체장[br](해산 전)'''||0석 / 17석|| ||<:><|2>'''당 색'''||<:>{{{#FFFFFF 초록색 ,,(#00A850),,}}}|| ||<:>{{{#000000 노란색 ,,(#FFF200),,}}}||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0년 평화민주당 출범식.jpg|width=100%]]}}} ||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한화갑]]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유지를 계승한다는 명분으로 일부 [[동교동계]] 인사들을 규합하여 창당한 정당. [[김대중]]이 만든 [[평화민주당|같은 이름의 정당]]의 이름을 쓴 것도 이런 이유로 보인다. 민주당과는 차별화를 표방하며 '''"[[전라도]]에서 [[민주당(2008년)|민주당]] 간판만 달면 이긴다는 오만을 꺾겠다."'''는 자신감을 표방하여 선거 전선에 뛰어들었다. 당시에는 민주당이 [[김대중|전직]] [[노무현|대통령]]을 계승한다는 [[국민참여당]], 평화민주당이라는 두 당으로 인해 지방선거에 난항을 치를 수도 있다고 예상하였다. 일부 보수 언론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의 적통 세력이라고 띄워주기도 했다. 전남도지사 후보로 나온 [[김경재]] 전 의원이 [[변희재]]와 친분이 있기 때문.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민주당(2008년)|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났고, 평화민주당은 전라도에서 기초자치단체장은커녕 지방의원 하나도 차지하지 못했다. [[국민참여당]]은 [[유시민]]이 [[노무현]] 후광 말고도 자기 자신의 정치력이 어느 정도 있었고, 무엇보다 야권연대에 성공했지만, 평화민주당은 한화갑을 비롯하여 주요 인사 대부분이 정계에서 이미 존재감을 잃은 상황[* 심지어 당 대표였던 한화갑은 17대 국회의원 임기 중 의원직을 상실했고, 이후 18대 총선에서도 낙선한 그런 상황이었다.]이어서 유권자에게도 어필하지 못하고, 야권연대 대상으로 고려될 정도의 힘을 쓰지도 못했다. 결정적으로, 이들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가 자신들을 지지해주리라 믿었으나 이희호 여사는 이들에게 철저히 무관심했다. 결국 호남 유권자들의 표마저 얻지 못하고 망했다. == 이후 == 결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당 대표 한화갑이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해프닝이 발생하면서 구심점이 사라지자 그대로 [[국민행복당(2011년)|국민행복당]]에 흡수합당되었다. 이후 한화갑의 뒤를 이은 [[한영애(1941)|한영애]] 대표가 이 당의 비례대표에 출마했으나, 그 국민행복당도 총선에서 득표율 2% 미만으로 해산되면서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2011년에는 정재복[* 현 [[가나코리아]] 상임고문.]의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1106271141350121073|건국당]]을 합병하였다. [[http://museum.nec.go.kr/vote/voteKorea2.do|#]] 이 당이 해산된 직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정통민주당]]이 나타났다가 다시 망했다. [[한화갑]], [[김경재]], [[한광옥]]은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면서 확실히 민주당과 연을 끊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뒤의 두 명은 실제로 새누리당에도 입당하였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희대의 국정농단]] 사건 이후에도 계속해서 [[친박]] 행보를 보인다. == 역대 당직자 == [include(틀:평화민주당(2010년) 대표)] == 둘러보기 ==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이명박 정부))] [[분류:민주당계 정당]][[분류:대한민국의 보수정당]][[분류:2010년 정당]][[분류:2012년 해체]][[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