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平壤 軌道電車 錦繡山線 / Kumsusan Line}}} [include(틀:평양 궤도전차 노선)] |||| {{{#ffffff 평양 궤도전차 금수산선}}} || ||운영기관 ||[[평양시 여객운수연합기업소]] || ||영업거리 ||3.5㎞ || ||궤간 ||1000㎜ || ||역수 ||2|| ||종류 ||노면전차|| ||지상구간 ||전구간 지상|| ||요금||무료|| ||개통연혁 ||1996.4.15 삼흥↔금수산기념궁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ram_North_Korea_PY.jpg]] [목차] == 개요 ==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무덤인 [[금수산태양궁전]]의 방문객들을 위하여 건설된 전차노선이다.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 [[삼흥역]]과 [[금수산기념궁전역]]을 잇는다.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 [[삼흥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폐역 당한 [[광명역(혁신선)|광명역]]과 삼흥역 간의 노선의 역할을 대신한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금수산태양궁전|그러라고 만든 노선이 아닐 거]]'''라는 게 문제이다. == 역사 == 김일성이 사망해서 금수산궁전에 안치된 뒤 방문객들을 위해 1994년부터 건설한 노선으로 김일성 생일인 1996년 [[4월 15일]] 개통하였다. == 역 == 역은 두 역만이 존재한다. || ㎞ |||| 역명 || 환승노선 || 소재지 || ||0.0 || [[삼흥역|삼흥]] || 三 興 ||{{{#009900 ●}}}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혁신선]][* 정확히 직접환승이 되지는 않고, 역을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야 되는 '''간접환승'''역이다.] ||<|1><#c0c0c0>[[대성구역]] || ||3.5 || [[금수산기념궁전역|금수산기념궁전]] ||錦繍山記念宮殿 || ||<|2><#c0c0c0>[[대성구역]] || [[분류:평양 궤도전차 금수산선]] == 차량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ram_North_Korea_PY.jpg]] 궤간은 [[표준궤]]를 사용하는 평양 내 다른 노면 전차 노선들과는 달리 1000mm [[협궤]] 규격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 탓에 해당 노선은 [[체코슬로바키아]] 등 구 동유럽권 국가들에서 사용하던 노면전차 대신 1000mm 궤간을 사용하는 몇 안 되는 국가인 [[스위스]]에서 제작된 것을 구매하여 사용 중이다. == 남북통일 이후? == --[[적화통일|이것만]] 아니라면-- '''전차 노선 자체를 폐선'''하고 셔틀버스로 대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는 이 노선이 광명역을 대신해 개통된 노선이기 때문에 광명역이 다시 개통되어 폐선될 수도 있다. 단 이는 경제성만 가지고 칼질할 경우에 따른 것으로 존치해서 관광상품화할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금수산기념궁전 자체가 거대 건축물인 만큼 통일 후에는 박물관 등으로 전용해서 쓸 가능성이 높은지라... ~~철거에도 돈이 듭니다~~ [[분류:평양 궤도전차 금수산선]][[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