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노회찬)] ||<-2> [[파일:평등하고 공정한 나라 노회찬재단 로고.svg|width=80%]] || || '''정식 명칭''' ||재단법인 평등하고 공정한 나라 노회찬재단 || || '''영문 명칭''' ||ROH HOE-CHAN Foundation || || '''설립일''' ||[[2019년]] [[1월 24일]] || || '''이사장''' ||[[조승수]] || ||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101동 1501호 || || '''홈페이지''' ||[[http://hcroh.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 '''SNS''' ||[[https://www.facebook.com/hcroh641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instagram.com/rohhccamp/|[[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youtube.com/user/chanblo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비영리 [[재단법인]]. 주무관청은 [[국회사무처]]. [[대한민국 정부]] 또는 특정 [[정당]]의 지원 없이, 100% 후원회원의 후원금을 바탕으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의당]] 전 원내대표 [[노회찬]] 의원의 사후 설립된 재단으로, [[노회찬]]의 정치철학을 계승해 정치개혁, 경제민주화, 사회약자의 권리 향상 등과 관련한 국회의 입법활동 지원 및 선진민주정치 사례 연구 등을 통해 민주주의와 진보정치의 발전을 꾀하고, 평등하고 공정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을 둔 [[재단]]이다. 약칭은 '노회찬재단'이다. [[2018년]] [[9월 9일]] 설립이 제안되어, [[2019년]] [[1월 24일]] 설립되었다. [[노무현 재단]]의 [[유시민]] 이사장이 노회찬 재단의 설립 발기인으로 이름을 올린바 있으며, [[박중훈]], [[정우성]], [[이찬진]], [[이재웅(기업인)|이재웅]] 등 연예인, 기업인등의 인사들도 후원회원으로 가입하였다. [[2019년]] [[10월 26일]] 재단의 핵심 사업 중 하나인 노회찬 정치학교 프로그램이 열렸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262991|노회찬 정치학교 열리던 날(프레시안)]] [[2020년]] 7월, 서거 3주기 개봉을 목표로, '명필름', '시네마6411'과 함께 [[다큐멘터리 영화]] <노회찬6411> 제작을 진행중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B4aTPMcxEoU|메인예고편 보기]] 재단을 후원하고 후원회원이 되면 가입 기념 선물로 노회찬 관련 서적을 받아볼 수 있다. == 노회찬아카이브 == [[https://archivecenter.net/hcroh|노회찬아카이브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tV1sRSJDj14|노회찬아카이브 소개영상]] '''우리가 가는 길이 바로 역사이고 이를 기록하는 것이 나의 임무라 생각했다.''' 제13회 [[전태일]]문학상 특별상 수상작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69437|힘내라 진달래(노회찬 저)]] 서문 중에서 노회찬재단이 운영하는 디지털아카이브로서, 2021년 1월 25일 문을 열었다. 노회찬 의원이 전생애에 걸쳐 남긴 소중한 기록을 정리, 보존, 서비스한다. 노회찬아카이브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을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디지털아카이브를 통해서 목록 및 원문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또한 소장하고 있는 기록을 활용하여 구성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추모주간에 맞추어 기획 전시를 열어왔으며, 지난 1~3주기 추모전시도 살펴볼 수 있다. 문의 : 노회찬재단 대표전화 02-713-0831 기록연구실 070-5222-6314 == 노회찬정치학교 == 노회찬의 정치철학을 계승할 제2, 제3의 노회찬을 양성하고 지원하며, 동시에 사회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시민을 위한 인문학습의 장을 제공하고자 개설되었다. 2019년 10월 기본과정 1기 모집을 시작으로, 코로나19 이후에 개설된 기본과정 2기 및 심화과정 1기는 비대면(ZOOM) 방식으로 진행했다. 기본적으로 봄/가을 시기에 개설되며, 재단 후원회원은 수강료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http://hcroh.org/policy-result/|지난과정 결과보기]] - 기본과정 1기 2019.10.26~20.2.8 - 기본과정 2기 "재난시대, 한국사회와 정치를 탐색하다" 2020.10.17~11.28 - 심화과정 1기 "2022년 이후 정치를 상상하라" 2021.4.24~5.29 == 노회찬상 == [[노회찬]]의 정치절학을 계승해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발전에 기여, 노동·여성·장애인 등 사회약자의 권리 확대, 경제민주화와 사회정의 실현을 위해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매년 시상한다. * 1회 수상자 * 노회찬 정의상: [[이탄희]] 변호사 * 노회찬 인권과 평등상: [[김미숙(노동운동가)|김미숙]] [[김용균(1994)|김용균]]재단 이사장 2019년 7월 20일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노회찬 1주기 추모행사와 함께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02123.html|기사]] * 2회 수상자 * [[진보네트워크센터]] (평등부문) * 전쟁 없는 세상 (정의부문) 2020년 7월 18일 마석 모란공원에서 추모제와 함께 노회찬상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http://omn.kr/1oc1w|기사]] 2회 까지는 추모주간에 시상식이 열렸으나, 3회 부터는 매년 1월 재단 창립기념일에 시행될 예정이다. == 헌정음반 <새벽첫차6411> == 2020년 7월, 2주기를 앞두고 헌정음반 <새벽첫차 6411>이 발매되었다. '이등병의 편지'로 유명한 김현성 작곡가가 후배 뮤지션들과 함께 작업했다. 음반(CD)의 경우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https://tumblbug.com/6411cd|텀블벅]]을 통해 한정판매 되었으며, 음원(MP3)의 경우 주요 음원사이트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본 음원관련 수익은 전액 문화예술분야 지원사업비로 쓰인다.) [[https://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10469806|멜론]] / [[https://music.bugs.co.kr/album/20341142|벅스]] / [[https://www.genie.co.kr/detail/albumInfo?axnm=81522877|지니]] / [[https://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4734492|네이버]] / [[https://www.music-flo.com/detail/album/edehehzzo/albumtrack|플로]] [[https://www.youtube.com/watch?v=T8jeBUWJSxQ&list=PL9hxgo0orqDNxlj6zLssFwYmEnOVEnKux|재단 유튜브 채널]]에서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타이틀 곡은 1번 트랙에 수록된 '반가워요(김현성 작사,작곡,편곡)이며, 특히 노회찬이 고교 시절 작곡한 것으로 알려진 '소연가'가 수록된 점이 눈에 띈다. [[정가(국악)]] 보컬리스트 '정마리'와 함께 부른 버전이 담겼다. 2020년 7월 23일, 헌정음반 수록곡을 중심으로 TBS를 통해 2주기 특별 추모 공개방송이 진행됐다. [[https://www.youtube.com/watch?v=368envqYXWA|방송 다시보기]] [수록곡] 01 반가워요 / 김현성 02 은하버스 6411 / 한보리 03 우리 집 / 새실 04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 / 우리나라 05 정류장에서 / 조준 06 흔들리며 피는 꽃 / 우리나라 07 흥겨운 버스 / 우리나라 08 새벽첫차 / 김현성 09 낯익은 것들 / 김현성 10 간이역 / 조준 11 벗에게 / 김현성 12 소연가 (석남꽃) / 노회찬, 정마리 13 멀리가는 그대여 / 김진휘 [크레딧] * 작곡 / 김현성, 한보리, 노회찬 * 작시 / 김수영, 정희성, 정호승, 도종환, 박노해, 김현성, 임의진 * 프로듀서 / 김현성, 임의진 * 진행 / 강욱천, 이강준 * 노래 / 김현성, 한보리, 백자, 노래패 우리나라, 노회찬, 정마리, 새실, 테너 조준 * 녹음, 믹싱, 마스터링 / UT 스튜디오 이신철 * 연주 / 피아노, 키보드, 아코디언 정은주 / 베이스 박우진 / 어쿠스틱, 일렉기타 조성우 / 드럼, 퍼커션 송기정 / 바이올린 김보은 / 첼로 박혜림 / 우크렐레, 하모니카, 퍼커션, 기타 김현성 / 트럼펫 유희원 / 풀륫 박영운 / 코러스 한선희, 박일규, 이혜진, 백자,이광석, 김현성 * 음악감독 / 김현성, 정은주 * 디자인 / 일상의실천 == 다큐영화 <노회찬6411> == [[https://www.youtube.com/watch?v=B4aTPMcxEoU|메인 예고편]]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5986|영화정보]] <공동경비구역 JSA>,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건축학개론> 등으로 널리 알려진 영화제작사 '명필름'의 제안을 바탕으로 시작된, 故 노회찬 의원에 대한 첫 번째 다큐멘터리 영화. 영화의 제목은 지금도 회자되며 여러 사람의 마음을 울린 [[https://www.youtube.com/watch?v=mvmQav1IoHs|‘6411 연설’]]에서 가져왔다. 노무현 前대통령의 기적의 역전 드라마를 그린 다큐멘터리 [[노무현입니다]]로 국내 다큐멘터리 흥행 신화를 쓴 제작사 '시네마6411'이 공동제작자로 함께 참여하고 있다. 연출은 <소규모 아카시아 밴드 이야기(2009)>, <미스터 컴퍼니>(2013), <뜻밖의 수업>(2014), <어린 인생>(2015), <제주노트>(2018), <청춘 선거(2020)> 등을 작업한 민환기 감독이 맡았다.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1022215081661699?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전주 시네마프로젝트에 선정]]되었으며, 서거 3주기 추모주간(2021.7)에는 [[http://hcroh.org/notice/293/|추모상영회]]라는 이름으로 재단 후원회원 대상의 전국 시사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2021년 10월 14일 전국 개봉 예정.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162|[인터뷰] 노회찬이 떠난 지 3년 <노회찬 6411> 이 도착했다]] == 사무처 및 이사회 == 사무처 * 운영실, 사업기획실, 기록연구실 제3기 임원진 (2023.1.4.~2025.1.3) * 이사장 조승수 (제17-18대 국회의원,울산북구청 구청장 (민선 1기)) * 사무총장 [[김형탁]]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전 정의당 부대표) * 특임이사 강상구 (전 정의당 대변인 및 교육연수위원장,전 의문사진상규명 위원회 조사관) * 이사 * 김가영 (정의당 중앙당 당직자,노회찬 정치학교 기본과정 1기 심화과정 1기 수료) * 김창희 (전 프레시안 편집국장,전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정책위원장) * 권김현영 (여성학자,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집행위원,전 한극종합예술학교 객원교수) * 금동혁 ((주)우리밀 대표이사,전 월간말 편집국장) * 나순자 (보건의료노동조합 위원장,공공상생연대기금 이사) * 문종찬 (한국비정규직노동센터 소장,전 서울노동권익센터 소장) * 민정연 (희망의 노래 꽃다지 기획자,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민간위원) * 박종현 (정의당 사무총장,20대 국회 여영국의원 보좌관) * 신희주 (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중대재해전문가넷 공동대표) * 이채은 (학교비정규직노동센터 상임활동가,전 청년유니온 위원장) * 정광필 (서울시 50+인생학교 학장) * 감사 * 박갑주 (법무법인 지향 변호사,전 정의당 정책연구소 감사 및 민주노동당 선거관리위원장) * 임영탁 (임영탁 세무회계사무소 대표) 제2기 임원진 (2021.1.4.~2023.1.3.) * 이사장 조돈문 (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이사장) * 사무총장 [[김형탁]] (협동조합마실지역사회연구소 이사장) * 특임이사 조현연 (한국정치연구회 연구위원, 전 진보신당 정책위의장) * 이사 * 김수정 (법무법인 지향 변호사) * 나순자 (보건의료노동조합 위원장) * 문종찬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 * 민정연 (희망의노래 꽃다지 기획팀장) * [[신장식]] (법무법인 민본 대표변호사) * 장석 ((사)한국문명교류연구소 이사장) * 정광필 (서울시 50+ 인생학교 학장) * [[조승수]] (제17-18대 국회의원) * 주은경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원장) * 감사 * 임영탁 (임영탁 세무회계사무소 대표) * 최정식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 제1기 임원진 (2019.1.4.~2021.1.3.) * 이사장 조돈문 (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이사장) * 사무총장 김형탁 (협동조합마실지역사회연구소 이사장) * 특임이사 조현연 (한국정치연구회 연구위원, 전 진보신당 정책위의장) * 이사 * 김수정 (법무법인 지향 변호사) * [[김조광수]] (영화감독, 청년필름 대표이사) * [[김지선(노동운동가)|김지선]] (노회찬의 처, 노동운동가) * [[신장식]] (법무법인 민본 변호사, 전 정의당 사무총장) * [[여영국]] (전 국회의원, 정의당 대표) * 오한숙희 (여성학자) * 이남신 (노동운동가, 서울노동권익센터 소장) * 장석 (시인, 한국문명교류연구소 이사장) * 정광필 (서울시 50+ 인생학교 학장) * 주은경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원장) * 감사 * 임영탁 (세무사) * 최정식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 == 관련 문서 == * [[노회찬]] * [[정의당]]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분류:노회찬]][[분류:재단법인]][[분류:2019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