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블러썸 크리에이티브)]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56d78 20%, #1c1f22)" {{{#FFFFFF ''' 편혜영의 주요 수상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7> '''{{{#white 제38회 [[이상문학상]] 수상 }}}''' || || [[김애란]][br]침묵의 미래[br](2013) || → || '''편혜영[br]몬순[br](2014)''' || → || [[김숨]][br]뿌리 이야기[br](2015) || ||<-7> '''{{{#white 제42회 [[동인문학상]] 수상 }}}''' || || [[김인숙(소설가)|김인숙]][br]안녕, 엘레나[br](2010) || → || '''편혜영[br]저녁의 구애[br](2011)''' || → || [[정영문]][br]어떤 작위의 세계[br](2012) || ||<-7> '''{{{#white 제10회 [[이효석문학상]] 수상 }}}''' || || 김애란[br]칼자국[br](2008) || → || '''편혜영[br]토끼의 묘[br](2009)''' || → || 이기호[br]밀수록 다시 가까워지는[br](2010) || ||<-7> '''{{{#white 제60회 [[현대문학상]] 수상 }}}''' || || [[황정은]][br]양의 미래[br](2014) || → || '''편혜영[br]소년이로[br](2015)''' || → || [[김채원(작가)|김채원]][br]베를린 필[br](2016) || ||<-7> '''{{{#white 제13회 [[김유정문학상]] 수상 }}}''' || || [[한강(소설가)|한강]][br]작별[br](2018) || → || '''편혜영[br]호텔 창문[br](2019)''' || → || 미정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56d78 40%, #1c1f22)" '''{{{+1 편혜영}}}[br]片惠英 | Pyun Hye-yo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yun Hye-young.jpg|width=100%]]}}}|| ||<|2> '''출생''' ||[[1972년]] ([age(1972-01-01)]세) || ||[[서울특별시]] || || '''본관''' ||[[편(성씨)|절강 편씨]]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학력''' ||[[서울예술대학교]][* 93학번. 즉 22살에 입학했다. 글쓰는 걸 배우고 싶었는데, 어느 학교로 가야할지 몰라 방황했다고. 그러던 중 아는 선배 하나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라디오 작가를 하고 있어서, 여기 가면 되겠구나 싶어 뒤늦게 진학했다고 한다. 이후 [[천운영]]에게 서울예술대학교를 추천해 준다.] {{{-2 ([[문예창작과]] / [[전문학사]])}}}[br][[한양대학교 대학원]] {{{-2 ([[국어국문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7905429|박완서 가족소설 연구]](2000).])}}} || || '''경력''' ||[[명지대학교]] {{{-2 ([[문예창작학과]] / [[부교수]])}}} || || '''직업''' ||[[소설가]], [[교수]] || || '''소속''' ||[[블러썸 크리에이티브| [[파일:블러썸크리에이티브_로고.png|width=100]]]] || || '''등단'''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이슬 털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소설가]]. == 작품 특징 == 편혜영의 소설은 섬뜩할 정도로 [[그로테스크]]한 문체로 정평이 나 있다. "하드고어 원더랜드"라는 평을 들은 소설집 『[[아오이가든]]』이 대표적이다. 인간의 대표적인 불안과 공포 속에서 피어나는 삶을 녹여낸 문장에 빠진 마니아 층이 꽤나 많은 편. 하지만 그런 문체의 작품은 『[[아오이가든]]』 이후로 줄어들었다. 대신 섬뜩한 느낌 자체는 이야기 자체에서 나온다. 모호한 배경, 초자연적인 존재와의 접촉 등이 그러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킨다. 비교적 최근의 두 장편인 『선의 법칙』이나 『죽은 자로 하여금』의 경우에는 평소 편혜영의 스타일과 상당히 다른 작품이다. 『선의 법칙』은 스릴러와 복수극의 플롯을 바탕으로 하는 청춘 이야기이고, 『죽은 자로 하여금』은 윤리적 딜레마를 핵심으로 다루는 일종의 메디컬 드라마다. '하드고어 원더랜드' 계열의 작품에 익숙한 독자들에게는 꽤 신선하게 다가오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작품 목록 == || '''{{{#fff 제목}}}''' || '''{{{#fff 발간연도}}}''' || || [[아오이가든]] || [[2005년]] || || 토끼의 묘[*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09》 수록] || [[2009년]] || || 재와 빨강 || [[2010년]] || || [[저녁의 구애]] || [[2011년]] || || [[사육장 쪽으로]][* 2021년 소설집 출간] ||<|2> [[2012년]] || || 서쪽 숲에 갔다 || || 밤이 지나간다 || [[2013년]] || || 몬순[* 《2014년 제3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수록] ||<|2> [[2014년]] || || 소년이로[* 《2015 제60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수록, 이후 2019년 소설집 출간] || || 선의 법칙 || [[2015년]] || || 홀[* 2015년 현대문학상 자선작으로 냈던 단편 「식물 애호」를 장편화한 소설이다.] || [[2016년]] || || 죽은 자로 하여금 || [[2018년]] || || 어쩌면 스무 번[* 《2019년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수록, 이후 2021년 소설집 출간] ||<|2> [[2019년]] || || 호텔 창문[* 《2019년 제13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수록] || || 홀리데이 홈 || [[2020년]] || || 술과 농담[* 에세이, 공저 (부분 저술)] ||<|2> [[2021년]] || || 우리가 가는 곳[* 《놀이터는 24시》 수록] || == 수상 == || '''{{{#fff 연도}}}''' || '''{{{#fff 시상식}}}''' || '''{{{#fff 작품명}}}''' || ||<|2> 2007 || '''제5회 자랑스런 문화인상''' || || || '''제40회 [[한국일보]] 문학상''' || 「사육장 쪽으로」 || || 2009 || '''제10회 이효석문학상''' || 「토끼의 묘」 || || 2010 ||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문학부문''' || || || 2011 || '''제42회 [[동인문학상]]''' || 「저녁의 구애」 || || 2014 || '''제38회 [[이상문학상]] 대상''' || 「몬순」 || || 2015 || '''제60회 [[현대문학상]] 소설 부문''' || 「소년이로(少年易老)」 || || 2018 || '''[[셜리 잭슨상]] 장편부문''' || 「홀」 || || 2019 || '''제13회 [[김유정문학상]]''' || 「호텔창문」 || || 2022 || '''제7회 김승옥문학상''' || 「포도밭 묘지」 || == 기타 == * [[2014년]]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몬순」이 표절의혹을 받았다. [[http://blog.newstapa.org/songyiahn/2033|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작, 편혜영의 ‘몬순’도 표절의혹]] * 소설가 [[김애란]]과 가까운 사이다. * 소설집 밤이 지나간다에 실린 단편 해물 1킬로그램은 박영주 감독이 '1킬로그램'라는 제목의 단편 영화로 만들었다. * [[MBTI]]는 [[INFJ]]이며, 인프제 특징중 "집순이다." 라는 부분에 가장 공감했다고 한다. * 요즈음 즐겨 하는 취미는 [[당근(플랫폼)|당근]]. 특히 동네생활 메뉴를 애용한다고 한다. * 한국드라마 1회 보기가 취미이다. 이유는 1회만 보고 앞으로 더 볼지 말지 정하기 위해서라고.. * 최근에는 '[[괴물]]'을 재밌게 보았다고 한다. '[[그것이 알고싶다]]' 와 '[[궁금한 이야기 Y]]' 를 좋아해서 한동안 즐겨 시청했다고 한다. 요즈음에도 꾸준히 챙겨보는 편이다. * '어쩌면 스무 번' 에서 장편화 하고 싶은 소설은 '리코더' 이며, 영화화 하고 싶은 소설은 '홀' 이라고 한다. * 좋아하는 배우는 [[손석구]]이다. * 동물이 된다면 되고 싶은 동물은 [[코알라]]이며, 쉬고 싶기 때문이라고 한다. * 10년 뒤 하고 싶은 것은 프랑스 자수, 바느질. 하지만 바느질은 눈이 나빠진다는 이야기가 있어 고민된다고 한다. * 2021년 버킷리스트는 [[휴대폰]] 덜 하기, [[에코백]] 그만 사기, 다이어리 12월 까지 꾸준히 쓰기이며 휴대폰을 덜 하기 위해 폰을 안 보면 나무가 자라는 어플까지 깔았다..! * 딱 한 번 퇴고를 해야한다면, [[저자]]의 이름을 고치고 싶다고 말했다. * 최근 [[명지대학교]] 교원 평가에서 강의 우수 교원으로 선정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교수]][[분류:절강 편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72년 출생]][[분류:서울예술대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