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펠그란트)] [목차] == 설명 == [include(틀:유희왕/OCG/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파일:フェルグラント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펠그란트 드래곤, 일어판명칭=フェルグラントドラゴン, 영어판명칭=Felgrand Dragon, 속성=빛,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8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1=이 카드는 묘지에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며\,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지지 않으면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도 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대상 몬스터의 레벨 × 200 올린다.)]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거대룡의 부활]]의 커버 몬스터. 묘지에서 특수 소환에 성공하면 묘지의 몬스터 1장의 레벨에 비례해서 공격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주로 사용하게 된 레벨 4 몬스터를 지정하면 공격력이 3600이 되고, 고레벨 몬스터를 많이 운용하는 덱이라면 공격력이 4000을 넘어간다. 문제는 특수 소환 제약이 심하게 걸려 있다는 점. 이 카드를 유일하게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조건은 필드에서 묘지로 갔을 경우뿐이다. 즉 패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어드밴스 소환을 해야 할 텐데, 어드밴스 소환이 환경에 맞지 않는다는 점은 둘째 치고 이 카드는 처음 소환할 때는 일반 몬스터나 다름이 없는지라 차라리 다른 최상급 드래곤족 몬스터들을 사용하는 것이 낫다. 거기에 어쩌다가 패에서 묘지로 보내지기라도 하면 활용이 크게 제약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패 / 덱으로 되돌리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에 번거롭다. 효과로는 알기 힘들지만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진 후, 묘지에서 제외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공격력 상승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아예 묘지 이외에서의 특수 소환에 제한이 걸려있는 것. 그래서인지 영문판에서는 텍스트가 "이 카드는 오로지 묘지에서만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그것도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에만 한한다.[* This card cannot be Special Summoned except from the Graveyard and only if it was sent there from the field.]"라고 되어있다. 거신룡의 부활에서 재록된 한글판 카드도 이를 따라 변경되었다. 아무튼 이래저래 실전에 사용하기엔 많이 부족한 카드. 하다못해 "이 카드는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지지 않았을 경우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같은 텍스트로 묘지 소생에만 특수 소환 제약이 달려있다면 쓸 만한 카드였겠지만... 사실 이 카드의 정보가 처음 공개되었을 때는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특수 소환한다'라는 흠좀무한 불사신의 효과로 해석해서 사기가 될 것이라 설레발 떠는 사람들이 좀 있었지만 현실은 그것과는 정반대의 페널티 효과라 그저 눈물... 사실 통상 소환을 하지 않은 채로, 필드로 올려놓았다가 묘지로 보내는 방법이 존재하긴 한다. 바로 '''장착 카드''' 취급으로 필드에 올려놓은 뒤 묘지로 보내는 것. * 1번째는 [[사이버 다크 드래곤]], [[사이버 다크니스 드래곤]]의 드래곤족 장착 효과. 그러나 원래 공격력이 훠얼씬 높은 [[Sin 트루스 드래곤]]이 등장했다. * 2번째는 제법 흠좀무한 점인데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의 효과로 장착했을 때다. 이 경우에는 위와 같이 필드에 나온 걸로 처리되는 걸로도 모자라 레바테인의 유언계 효과인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 소생 효과로 넘어가서 이 카드를 바로 꺼낼 수 있다는 것. 묘지에 일단 레바테인은 반드시 있을 것이니 이 카드의 공격력은 '''4400'''.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이라도 있으면 4800에 F.G.D가 있다면 공격력 5200이라는 흠좀무한 괴물이 된다. 또한 이제는 소생 제약도 없어졌겠다 암흑 메탈 드래곤만 나오면 바로 이런 괴물이 같이 선물로 튀어나오는 대참사가 벌어지게 된다. * 3번째는 이 카드와 [[거대룡의 부활]]을 리메이크해 묘지 소생 드래곤을 지원하는 스트럭처 덱 R [[거신룡의 부활]]에 수록된 [[펠그란트|기사들의]] 효과로 덱 / 패에서 장착하는 것. 효과 자체가 이 카드를 노리고 만들어진 것이기에 앞의 방법들보다도 훨씬 간편하게 소생 조건을 채울 수가 있다. * 4번째는 [[유니온 캐리어]]를 사용하는 방법. 빛 속성 몬스터라면 아무 몬스터에나 장착할 수 있으며, 걍 유니온 캐리어에 달 수도 있다. 상당히 긴 시간이 지난 후 [[섀도우 스펙터즈]]에서 놀랍게도 '''[[신룡기사 펠그란트]]'''라는 엑시즈 몬스터가 등장하고, 거기다 펠그란트 드래곤의 갑옷을 그대로 착용한 모습이기 때문에 이 카드와의 관계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쓸 생각은 절대 하지 말자. '''엑시즈 소재가 묘지로 가는 건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기껏 큰맘 먹고 꺼낸 펠그란트가 허투루 날라가게 된다. 게다가 신룡기사의 효과로 이 녀석을 지정하면 기껏 올린 공격력이 원래대로 돌아와 공격력 2800의 바닐라가 되어버리니 상성이 매우 안 좋다. 또다시 긴 시간이 지나 이 카드가 수록되었던 거대룡의 부활의 리메이크인 스트럭처 덱 R [[거신룡의 부활]]이 발매되면서 [[거신룡 펠그란트]]로 부활했다. 같이 발매된 [[펠그란트#s-2.1.1|파라딘 오브 펠그란트]]로 패/덱에서, 혹은 [[펠그란트#s-2.1.2|가디언 오브 펠그란트]]로 패/묘지에서 이 카드를 장착하면, 그 뒤 [[거신룡의 유적]] 등으로 장착된 카드를 묘지로 보냄과 동시에 토큰을 소환하고, 이때 펠그란트 드래곤은 필드에서 묘지로 갔기에 전술된 카드의 효과 등으로 부활이 가능해진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거대룡의 부활]]- || SD13-KR00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거대룡의 부활|거룡의 부활]]- || SD13-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거대룡의 부활|Rise of the Dragon Lords]]|| SDRL-EN00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거신룡 펠그란트]] === === [[신룡기사 펠그란트]] === === [[거해룡 펠그란트]] ===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