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니버시티파크에 위치한 주립대학(Penn State), rd1=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1F5B, #011F5B)" {{{#!wiki style="margin: -7px;" || {{{#!wiki style="margin: -7px 0" [[파일: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아이콘.png|width=50]]}}}||{{{#!wiki style="margin: -7px 0" [[펜실베이니아 대학교|{{{#!html 펜실베이니아 대학교}}}]][br]{{{-1 {{{#!html 관련 틀}}}}}}}}} ||}}}}}} || ||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아이비 리그 소속대학)] [include(틀:콜로니얼 칼리지)] [include(틀:미국 대학 협회)] [include(틀:대학 연구 협회)] [include(틀:카네기 분류 R1)] [include(틀:글로벌대학리더포럼)] [include(틀:AACSB 글로벌인증대학)] }}}}}} || ||<-3>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1F5B, #011F5B)" [[파일:UPenn white logo.png|width=200]]}}} || ||<-3><#fff,#1f2023> [br][[파일: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문장.svg|width=250]][br][br] || ||<-3><#011F5B> {{{#fff '''대학 정보'''}}} || ||<|3> '''모토''' || '''라틴어''' ||'''Leges sine moribus vanae''' || || '''영어''' ||'''Laws without morals are useless''' || || '''한국어''' ||'''도덕 없는 법률은 공허하다''' || ||<-2> '''설립 연도''' ||[[1740년]] [[11월 14일]] ^^ ([age(1740-11-14)]주년) ^^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소재'''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br]{{{-2 (Philadelphia, Pennsylvania, United States)}}} || ||<-2> '''분류''' ||[[사립대학]] || ||<-2> '''설립자''' ||[[벤저민 프랭클린]] || ||<-2> '''총장''' |||| ||<-2> '''발전기금''' ||$20.5 billion ^^({{{-1 2021년}}})^^[* 한화 약 26조 6,000억원] || ||<-2> '''합격률''' ||5.68% ^^({{{-1 2021년, Regular Decision}}})^^[* [[https://www.thedp.com/article/2021/04/penn-admissions-class-of-2025-acceptance-rate]]] || ||<|2> '''재학생''' || '''학부''' ||10,106명 ^^({{{-1 Fall 2021}}})^^ || || '''대학원''' ||12,924명 ^^({{{-1 Fall 2021}}})^^ || ||<-2> '''교직원''' ||4,793명 ^^({{{-1 Fall 2018}}})^^ || ||<|2> '''상징''' || '''마스코트''' ||[[퀘이커(종교)|퀘이커]] (The Quaker) || || '''색상'''[* [[https://branding.web-resources.upenn.edu/logos-and-branding/elements-penn-logo]]] ||{{{#!wiki style="text-align:left; margin:0 auto; display:inline"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990000; font-size: 0.9em" {{{#fff '''Penn Red''' ({{{-2 #990000}}})}}}}}}[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011F5B; font-size: 0.9em" {{{#fff '''Penn Blue''' ({{{-2 #011F5B}}})}}}}}} }}}}}}}}} || ||<|3> '''링크''' || '''웹사이트''' ||[[http://www.upenn.edu/|[[파일: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아이콘.png|width=25]] {{{#011F5B,#fff '''공식 홈페이지'''}}}]] || || '''대학 언론''' ||[[https://www.thedp.com/|{{{#!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the daily pennsylvanian logo.png|width=145]]}}}]] || || '''SNS''' ||[[https://www.linkedin.com/school/university-of-pennsylvania/|[[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19]]]] | [[https://www.facebook.com/UnivPennsylvani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9]]]] | [[https://www.instagram.com/uofpen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9]]]]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enn, 크기=19)] | [[https://www.youtube.com/univpennsylvan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3> '''위치''' || ||<-3><#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University of Pennsylvania, 너비=100%, 높이=100%)]}}} || ||<#fff>{{{#!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YYGhAMQ--s,width=100%)]}}}|| ||<#011F5B> {{{#fff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소개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Penn campus 1.jpg|width=100%]]}}}|| ||<#011F5B> {{{#fff '''캠퍼스 사진'''}}}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hilly-penn-skyline-quad.jpg|width=100%]]}}} || || [[파일:UPenn white logo.png|width=150]] || >''' ''Leges sine moribus vanae'' ''' >{{{#011F5B,#fff '''도덕 없는 법률은 공허하다'''}}} 흔히 펜(Penn), 유펜(UPenn)으로도 불리며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연구 중심의 종합 [[사립대학]]이다. 1740년 [[벤저민 프랭클린]]이 설립한 이 학교는 미국에서 네 번째로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이며 미국 건국 전에 세워진 9개 [[콜로니얼 칼리지]] 중 하나이자 [[아이비 리그]]에 속하는 [[명문대학]]으로 2023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 기준 종합랭킹 전미 6위에 올라 있다. [* [[https://www.usnews.com/best-colleges/rankings/national-universities]]] 학교의 상징 색은 [[붉은색|{{{#!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990000; font-size: 0.9em" {{{#fff '''붉은색'''}}}}}}]]과 [[파란색|{{{#!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11F5B; font-size: 0.9em" {{{#fff '''파란색'''}}}}}}]].[* [[https://archives.upenn.edu/exhibits/penn-history/penn-colors]]] 설립자인 벤저민 프랭클린은 현대의 교양 교육 과정과 유사한 상업, 정부, 공공 서비스 분야의 지도자들을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학교를 설립했다고 한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엔 4개의 학부와 12개의 대학원 및 전문 학교가 있다. 대학원 및 전문 학교 중에는 미국 헌법 초안을 작성한 로스쿨, 북미 최초의 의학전문대학원(Perelman School of Medicine, 1765년), 북미 최초의 대학 경영전문대학원(Wharton School, 1881년)이 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는 9,600명이 넘는 학부 학생들과 10,100여 명이 되는 대학원 학생들로 총 1만 9,800여 명이 공부하고 있다. 캠퍼스 안에 120여 개가 넘는 빌딩들은 오래된 벽돌 집부터 현대식 건물까지 섞여 있다. 특히 푸른 가로수가 줄지어 있는 거리(Locust Walk)는 인상적이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은 또한 최초의 학생 연합 건물과 단체(휴스턴 홀, 1896년), 북미 최초의 가톨릭 학생 클럽(뉴먼 센터, 1893년), 2층짜리 대학 축구 경기장([[프랭클린 필드]], 1924년 덱이 건설됨)와 [[영연방]]의 공식 [[수목원]]인 모리스 수목원이 있다. 최초의 범용 전자 [[컴퓨터]]([[에니악]])이 1946년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개발되었으며 공식적으로 전용되었다. 2019년, 이 대학은 146억 달러(16~17조 원)의 기부금을 받았는데, 이는 미국의 모든 대학에서 6번째로 큰 기부금이며, 연구 예산은 10억 2천만 달러(1.2조 원)에 달했다. 대학의 육상 프로그램인 퀘이커스는 NCAA 디비전 I 아이비 리그 컨퍼런스의 일원으로 33개 종목의 대학 팀을 출전시킨다. 2018년 현재 저명한 동문 및/또는 신탁통치자에는 [[도널드 트럼프]]를 포함한 2명의 [[미국 대통령]], [[미국 연방대법관]] 3명, [[미국 상원]] 의원 32명, [[미국 주지사]] 46명, [[미국 하원]] 의원 163명, [[미국 독립선언서]] 서명자 8명, [[미국 헌법]]의 서명자 7명(양쪽 4명)이 있다. 또 대륙 회의의 24개국과 14명의 외국 정상, 36명의 [[노벨상]] 수상자, 80명의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64명의 [[억만장자]], 29명의 로즈 스콜라, 15명의 마셜 스콜라, 그리고 16명의 [[퓰리처상]] 수상자가 이 대학 출신이다(2019년 10월 기준). 조셉 와튼이 설립한 이 대학의 '''와튼 스쿨'''(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상경대학]] 중 한 곳으로 인정되고 있다. 와튼 스쿨 내 전공 중 [[재무학]], [[마케팅]],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등이 모두 최고 수준이지만, 그중에서도 [[금융]] 분야는 미국, 더 나아가 세계 최고를 다투고 있다. 평균적인 [[US News]] 순위는 5위에서 10위 사이를 기록하고 있다. (6위, 2024년) [* 출처: [[https://publicuniversityhonors.com/2017/09/13/u-s-news-rankings-for-57-leading-universities-1983-2007/|[U.S. News Rankings] 1983 - 2007]], [[https://publicuniversityhonors.com/2015/06/13/u-s-news-national-university-rankings-2008-present/|[U.S. News Rankings] 2008 - 2015]], 및 [[https://publicuniversityhonors.com/2016/09/18/average-u-s-news-rankings-for-126-universities-2010-1017/|[U.S. News Rankings] 2015 - 2022]]][* [[https://www.usnews.com/best-colleges/rankings/national-universities]]] == 학과 == [[파일:upennschool2.jpg|width=100%]] 펜실베이니아 대학은 4개의 칼리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바로 [[철학]]과 [[정치학]]부터 [[수학]]과 [[물리학]]까지 다 있는 College of Arts & Sciences(문리과학대학), 다양한 공학 전공이 있는 Schoo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공과대학), 그 유명한 경제 경영의 와튼 스쿨(Wharton School, 경영대학), 그리고 School of Nursing(간호대학). 와튼 스쿨 외에도 일반대학원과 [[의학]], [[치의학]], [[간호학]], [[법학]], [[사회복지학]], [[디자인학]], [[커뮤니케이션학]], [[건축학]] 등의 전문대학원이 있어 훌륭한 [[종합대학]]을 이루고 있다. 이들 각각의 (전문)대학원들은 미국 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최상위권에 속하며, 전 세계에서 매우 우수한 인재들이 입학을 하고 있다. 일반 학부 과정 이외에 8가지의 특수 학부 과정(Specialized Degree Program)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지원 과정을 거쳐 선발되며, 일반 과정보다 합격 난이도가 크게 높다. 각 프로그램의 명성은 최상위권에 속하며, 지원자가 수준 미달일 경우 정원이 차지 않더라도 선발하지 않는다. 소속 학부생들은 졸업하면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예: 경영학사+공학사). 이중 전공과는 필요한 공부량이 많이 다르다.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하는 프로그램들은 아래와 같다. * [[http://huntsman.upenn.edu/|Huntsman]](The Huntsman Program in International Studies and Business, 헌츠맨) 전 세계에서 45명이 매년 선발된다. 미국 상경 계열 학부 프로그램 중 최고로 분류되며, 와튼 스쿨과 문리과학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 [[http://www.viper.upenn.edu/|VIPER]](The Roy and Diana Vagelos Integrated Program in Energy Research, 바이퍼) 전 세계에서 10~15명이 매년 선발된다. 미국 이공 계열 학부 프로그램 중 최고로 분류되며, 공과대학과 문리과학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 [[http://lsm.upenn.edu/|LSM]](The Roy and Diana Vagelos Integrate Program in Life Sciences and Management, 엘에스엠) 전 세계에서 25명이 매년 선발된다. 경영 계열 최고의 명성을 가진 와튼 스쿨, 그리고 문리과학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 [[https://fisher.wharton.upenn.edu/|M&T]](The Jerome Fischer Program in Management and Technology, 엠엔티) 전 세계에서 50명이 매년 선발된다. 오랜 명성을 가진 프로그램으로, 경영 계열 최고의 명성을 가진 와튼 스쿨과 공과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 [[https://www.bio.upenn.edu/undergraduate/submatriculation/accelerated-dental-program|Bio-Dent]](Seven Year Bio-Dental Program, 바이오덴트) 전 세계에서 10~20명이 매년 선발된다. 7년제 치의대 프로그램이며, 문리과학대학과 치의대학에서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 [[https://www.nursing.upenn.edu/nhcm/|NHCM]](Nursing and Health Care Management, 엔에이치씨엠) 간호대학과 와튼 스쿨에서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학사 학위를 한 개 수여하지만, 특수 학부 과정인 프로그램들은 아래와 같다. * [[https://www.nets.upenn.edu/|NETS]](The Rajendra and Neera Singh Program in Networked and Social Systems Engineering, 넷츠) 공과대학에서 학위 한 개를 수여받는다. 네트워크 계열 및 사회 시스템 특수 전공이다. * [[http://cg.cis.upenn.edu/dmd_program.html|DMD]](Digital Media Design Program, 디엠디) 공과대학에서 학위 한 개를 수여받는다. == 입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학입시/미국)] 합격률이 5.68%이다. 몇 년에 걸친 훌륭한 과외 활동이 있는 학생 중에서 매우 뛰어난 고교 [[내신]], 최상위권의 [[SAT]] 점수, 다양한 수상 경력이 있어야 약간의 합격을 기대할 수 있다. 지원자의 수에 맞추어 매년 합격률은 낮아지고 있다. Huntsman, M&T와 같은 특수 학부 과정 합격률은 공식적으로는 공개조차 잘 하지 않는다. 미국 내 여러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3% 대로 짐작 가능하지만 확실한 정보는 없다. 고등학교 때부터 특수한 목표 의식을 가지고 대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기에 지원자조차 모두 최상위권이다. 참고로 미국 대학 중에서 졸업생이 가장 높은 연봉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학교로 뽑히기도 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5181520|#]] == 규모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는 각각 1만 명 내외의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로 총 2만 명 내외의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다. 캠퍼스 안에 위치한 120여 개의 빌딩들은 오래된 벽돌 집부터 현대식 건축물까지 골고루 섞여져 있다. 특히 푸른 가로수가 줄지어 있는 거리인 Locust Walk는 아름답고 인상적이다. 다만 캠퍼스가 미국에서도 최악의 도시 빈민가인 서부 필라델피아의 동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시카고 대학교]]와 함께 미국의 명문대 중에서 위치 측면에서는 최악이라고 볼 수 있다. 통계상 미국 전체에서 범죄율이 가장 높은 도시인 뉴저지의 [[캠든]]을 델라웨어 강 건너 [[위성도시]]로 거느리고 있는 필라델피아 안에서도 최악의 [[슬럼]]가인 동시에 노상에서 [[마약]]을 버젓하게 판매하는 등 [[공권력]]도 손 놓은 곳이 바로 서부 필라델피아다.[* 물론 무능하기로는 둘째 가기 서러운 필라델피아 경찰청과 궁극적으로 이런 필요한 [[도시계획]]은 안 하고 쓸데없이 멀쩡한 공원을 갑자기 [[스케이트보드]] 금지 구역으로 만드는 등 삽질만 거듭하는 필라델피아 시 정부의 책임도 크다.] [[카더라]] 통신에 따르면 일부러 이 점을 노려서 부잣집 출신의 대학생들이 주말에 필라델피아 시내에서 흥건하게 마시고 술에 엉망이 돼서 밤 늦게 학교로 돌아오는 걸 노리는 [[삥뜯기]]도 성행한다고 한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학교 '밖' 슬럼가 이야기이며, 학교를 둘러싼 지역은 모두 골목마다 24시간 버티고 서 있는 사설 [[경찰]]들에 의해 보호된다. 으슥한 곳을 걸어가야 할 경우 에스코트를 요청할 수도 있고, 무료 셔틀을 제공하는 등 사실 위험한 지역을 사서 가지만 않으면 위험할 일은 거의 없다. 그리고 요즘 들어 학교가 근처 땅을 조금씩 사면서 치안 수준을 상승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캠퍼스가 분포한 서쪽으로는 43번가까지, 북쪽으로는 Market St까지, 그리고 남쪽으로는 Baltimore Ave까지는 비록 [[한국]]만큼은 아니지만 미국치고는 안전한 편이다. 따라서 유펜 학생이라면 이 범위 밖으로는 애써 나가지 않는 게 좋으며, 특히 서쪽의 50번가, 북쪽의 Spring Garden St, 그리고 남쪽의 Woodland Ave 바깥쪽부터는 진정한 의미의 [[무법지대]]가 펼쳐지니 절대로 가지 말자. 또한 필라델피아 다운타운을 기준으로 북쪽의 North Philadelphia, 남쪽의 South Philadelphia, 그리고 북동쪽의 Kensington 역시 마찬가지로 치안이 매우 불안정하니 접근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캠퍼스 == [[파일:upennschool3.jpg]]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많은 건축물은 Cope and Stewardson 회사에 의해 설계되었다. [[옥스퍼드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고딕]] 건축과 지역 풍경을 결합하여 대학 고딕 양식을 확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자세한 설명은 [[옥스브리지#여담]] 문서 참고. 현재의 핵심 캠퍼스는 웨스트 필라델피아 대학교 도시 구역의 인접 지역에 36만 6천 평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오래된 캠퍼스의 중심부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캠퍼스 구역으로 분류된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모든 학교와 연구소는 이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주변에는 여러 식당, 술집, 대규모 고급 식료품점, 캠퍼스 서쪽 끝에 있는 영화관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암 연구 센터 위스타 연구소도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 출신 인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on-muskupenn.jpg|width=100%]]}}} || || '''[[일론 머스크|{{{#fff 일론 머스크}}}]](Wharton 학부, 물리학과)''' || 경영인, 산업 디자이너, 그리고 엔지니어다. [[스페이스 X]]의 설립자, CEO, CTO 및 수석 디자이너, 초기 투자자이며 [[테슬라]]의 CEO, 제품 설계자, [[뉴럴링크]]의 공동 설립자, [[OpenAI]]의 공동 설립자인 머스크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중 한 명이다. 캐나다의 퀸스 대학교에서 2년간 공부한 뒤 편입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naldtrumpupenn.jpg|width=100%]]}}} || || '''[[도널드 트럼프|{{{#fff 도널드 트럼프}}}]](Wharton 학부)''' || 미국의 경영인이자 정치인이다. 미국의 45대 대통령이었다(2017~2021). 그의 자녀인 [[이방카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도 모두 와튼 학부를 다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arrenbufettupenn.jpg|width=100%]]}}} || || '''[[워런 버핏|{{{#fff 워런 버핏}}}]](Wharton 학부)''' || 미국의 투자자, 자선가, 그리고 [[버크셔 해서웨이]]의 회장 겸 CEO이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투자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2020년 12월 기준으로 856억 달러 이상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ohnlegendupenn2.jpg|width=100%]]}}} || || '''[[존 레전드|{{{#fff 존 레전드}}}]](College)''' || 미국의 가수이다. 데뷔 앨범 Get Lellid(2004)를 발매하기 전에도 이미 유명한 아티스트들과 협업하여, [[카녜 웨스트]]의 [[GOOD Music]]과 계약했다. 제이 지의 "Encore", [[앨리샤 키스]]의 "You Don't Know My Name", [[포트 마이너]]의 "High Road" 그리고 [[로린 힐]]의 "Everything"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 네 번째 음반 《Love in the Future》(2013)의 레전드 싱글 〈All of Me〉는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에 올랐다. * [[다니엘 로이]] (타짜. 전문적으로 사기도박과 마술을 공부한다,뇌과학 전공.수석 졸업으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상위 5%이내.) * [[도널드 트럼프]](와튼 스쿨 금융학 학사) *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튼 스쿨 금융학 학사) * [[이방카 트럼프]](와튼 스쿨 금융학 학사) -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했다고 한다. 미국의 입시 특성상 부친 덕에 입학은 수월했겠지만 학력은 진짜배기인 듯. * [[티파니 트럼프]](사회학 학사) * [[일론 머스크]](와튼 스쿨 경제학 학사, 물리학 학사) * [[스티브 코헨]](와튼 스쿨 경제학 학사) * [[워런 버핏]](와튼 스쿨 금융학 학부 과정 중퇴) * [[놈 촘스키]](언어학 학사, 석사, 박사) * [[리처드 가필드]](수학 박사) * [[유리 밀너]](와튼 스쿨 MBA) * [[힐러리 퍼트넘]](수학, 철학 학사) * [[한충희]](국제관계학 석사) * [[정문열]](공학 박사) * [[이상욱]](공학 박사) * [[존 레전드]](학사) * [[네기시 에이이치]] - 201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 가와시마 다쓰히코(川嶋辰彦)(대학원) - [[일본]]의 여성 황족 [[키코 비]]의 친정 아버지. * [[장하성]](와튼 스쿨 경영학 박사) * [[존 스컬리]](와튼 스쿨 MBA) * [[마크 테토]](와튼 스쿨 MBA) * [[서수길]](와튼 스쿨 MBA) * [[시오자키 아키히사]](와튼 스쿨 MBA) * [[안철수]](EMTM 최고 경영자 대상 기술 경영 석사, 와튼 스쿨 Executive MBA) * [[안설희]](생화학·수학 학사/화학·수학 석사) - [[안철수]]의 딸. * [[홍지호]](치의학 학사) - 배우 [[이윤성(배우)|이윤성]]의 남편이며 [[치과의사]]로 재직하고 있다. * [[씨잼철]] - [[슛포러브]] 진행자. * [[피터 린치]](와튼 스쿨 MBA) * [[변재일]](국제정치학 석사) * 황형준(와튼 스쿨 MBA) - [[보스턴컨설팅그룹]]코리아 대표. * [[궈타이치]](정치학 박사) * [[서재필]] - 의사, [[독립운동가]]. * [[콰메 은크루마]](행정학 석사) * [[김주진]] - [[아남그룹]] 회장. * [[윤영석]] - 대우그룹 총괄회장. * [[김주채]] - 아남그룹 부회장. * [[박병찬]] - 전 (주)삼창 회장. * [[김관봉]](정치학 석사 및 학사) -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강찬수]] - [[서울증권]] 회장. * [[이봉서]] - 한국능률협회 회장,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공부 장관]]. * [[구본걸]] - [[LG패션]] 회장. * [[전재국]] - 시공사. * [[이세훈]] - [[한국유리공업]] 사장. * [[안용찬]] - [[애경산업]] 사장. * [[양지을]] - [[TVING]] 대표. * [[조선형]] - 왕컴퓨터코리아 사장. * [[강신택]] - [[서울대]] 교수. * [[한성신]] - [[연세대]] 교수. * [[홍연숙]] - [[한양대]] 교수. * [[박근]] - 전 [[UN]] 대사. * [[이휘소]](물리학 박사) * [[이철승]](정치학 석사) * [[조경철]](천문학 석사, 박사) * [[토리 버치]] * [[쑨위천|저스틴 선]](동양사학 석사) * [[제해성(건축가)|제해성]](건축학 박사) - 제4기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 스포츠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스포츠 팀들은 퀘이커, 또는 레드&블루라고도 불린다. [[파일:upennsports.jpg|width=100%]] === [[크리켓]] ===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필라델피아는 미국의 크리켓의 중심지였다고 볼 수 있다. 크리켓은 상류층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고 동부 해안(아이비리그 쪽) 전역에 크리켓 클럽이 생겨났다. 크리켓은 펜실베이니아에서 처음으로 조직된 스포츠였다. 펜 크리켓 팀은 캐나다와 영국 섬을 자주 순회하며 1895년에 옥스퍼드-케임브리지 팀을 물리치기도 했다. === [[조정(스포츠)|조정]]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조정 팀은 1854년에 설립되었다. 현재 헤비급과 라이트급 남자 팀과 오픈급 여자 팀을 모두 운영 중이며, 모두 동부권 최고로 분류된다. 또한 1955년 남자 헤비급 조정팀은 헨리 로열 레가타에서 열린 그랜드 챌린지 컵에서 우승한 유일한 4개의 미국 대학 중 하나이다. === [[미식축구]]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풋볼(미식축구) 팀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미식축구 팀 중 하나이다. [[파일:footballupenn.jpg|width=100%]] [[클리블랜드 브라운스]]의 감독인 케빈 스테판스키가 펜실베이니아 퀘이커스 출신이다. 대학 시절 포지션은 디펜시브 백. === 농구 === [[파일:external/cityportals-statecollegecom-assets.s3.amazonaws.com/1024614_8200.jpg]] 11대 감독 딕 하터(1966~1971 재임, 2012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1971) [[파일:external/image.cdnllnwnl.xosnetwork.com/NONXHVUUXRHHRQM.20090509161028.jpg]]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감독으로 잘 알려진 [[척 데일리]](1971~1977 재임, 2009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1972) [[파일:external/image.cdnllnwnl.xosnetwork.com/FRSADSVYWVCJRNU.20120501185641.jpg|width=350]] 13대 감독 밥 웨인하워(1977~1982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4강 진출(1979) [[파일:external/www.markets.businessclubsamerica.com/fran_dunphy.jpg]] 16대 감독 프랜 던피(1989~2006 재임) - NCAA 토너먼트 32강 진출(1994) 농구에서는 [[프린스턴 대학교]]와 라이벌리를 형성 중이며, [[NBA]] 선수 맷 말로니가 이 대학 동문이다. == 관련 문서 == * [[미국/교육]] * [[Precalculus]] * [[대학입시/미국]] * [[SAT]] * [[ACT(시험)|ACT]] * [[Advanced Placement|AP]] * [[Common Application]]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북미]] * [[콜로니얼 칼리지]] * [[미국 대학 협회]] * [[대학 연구 협회]] * [[대학 서열화/외국/미국]] * [[아이비 리그]] * [[카네기 분류]] * [[유학/국가별 정보]] * [[외국 유학 장학금]] * [[NCAA]] * [[글로벌대학리더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