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족]]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Fenrir-EE2-JP-R.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펜리르, 일어판명칭=フェンリル, 영어판명칭=Fenrir, 레벨=4, 속성=물, 종족=야수족, 공격력=1400, 수비력=12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묘지에서 물 속성 몬스터 2장을 제외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다음 상대 드로우 페이즈를 스킵한다.)] 물속성 몬스터 2마리를 제외해서 등장하는 것 치고는 공격력이 너무 낮다. 1마리를 제외하고 튀어나오는 [[물의 정령 아쿠에리어]]도 공격력이 1600은 된다. 하지만 그 대신에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하면 상대 턴의 드로우 페이즈를 확실하게 스킵한다. 상대 필드에 마법/함정 카드가 없거나 [[패 트랩]]마저도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든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는 데 성공하면, 그 몬스터가 어디로 향했든 상관없이 상대의 발을 확실하게 묶어버릴 수 있다. 제대로 쓰려면 낮은 공격력을 보완할 수단, 그리고 지속적으로 상대 필드 위에 파괴할 수 있는 몬스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유명한 조합은 [[미라클 플리퍼]]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고, [[패 트랩]] 차단을 위해 [[로빈 고블린]]을 함께 투입하기도 한다. 레벨이 4이고 물 속성이라 [[제외 해산물]]과의 연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미라클 플리퍼가 없다면 [[방해꾼 트리오]]나 [[리바이벌 기프트]]처럼 상대 필드 위에 토큰을 소환하는 조합도 생각해볼 수는 있다. 아무리 상대의 패가 0장이라도 상대의 덱에 따라서 펜리르로 전투 파괴할 몬스터가 그 턴에 상대 필드에 남아버리면 엑스트라 덱 몬스터 소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점, 묘지나 제외 존에서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는 주의해야 한다. 같은 팩에 등장한 같은 속성 몬스터를 제외하고 특수 소환하는 몬스터 중 이 카드만 소재가 2장 필요하다. 같은 드로우 페이즈 스킵 효과가 걸린 [[야타 까마귀]]나 [[시간봉인]]이 16년 넘게 금지 카드로 지정되었던 것이나, 하위 호환인 [[요위(유희왕)|요위]]의 효과도 듀얼 중에 드로우 페이즈 스킵 효과를 1번만 사용할 수 있는 등 드로우 페이즈 스킵 효과는 굉장히 강력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대신 한 번 정규 소환에 성공하기만 하면 쓰기가 가장 여유롭다는 점은 야타 까마귀와 같고, 추가로 특수 소환도 불가능하고 스피릿의 자체 효과로 엔드 페이즈에 패로 되돌아가는 야타 까마귀나, 함정이라 발동이 느린 시간봉인보다 재활용하거나 발동할 수단이 더 많다는 점도 장점이다. 최초의 야수족 / 물속성 몬스터로, 이 카드가 등장하고 나서 오랜 세월을 거치고 나서야 2번째로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이 등장했다. 원작(?)인 북유럽 신화에선 오딘을 끔살했지만, '''유희왕의 세계에선 턱도 없는 소리'''가 되었다. 왜냐하면 [[삼극신]]의 일원인 [[극신성제 오딘]]이 공격력 4000짜리가 되어 나와버렸기 때문. 이후 [[극성(유희왕)#극성사랑 펜리르|극성사랑 펜리르]]가 나와 겨우 삼극신들을 위협할 수 있게 되었지만, 기껏 오딘과 붙어서 자폭해도 오딘은 극성천을 제외하면 다시 부활해버리니 결국 펜리르의 판정패다.[* 다만 [[월경의 방패]]가 출시되면서 마냥 허황된 소리는 아니게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에서는 [[죠노우치 카츠야]]가 상대한 듀얼리스트 중 하나인 소년이 사용. [[대목인18]]과 함께 [[가젯트#합성마수 가젯트|합성마수 가젯트]]의 소환 제물로 바쳤다. [[말살의 지명자]]로 [[크샤트리라 펜리르]]를 선언하려다 펜리르라고 축약해서 불렀는데 상대가 저지를 부르고 이 카드를 선언한 것 아니냐고 주장해서 말명자가 불발 처리되었다는 일화가 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cggame&no=1254059&exception_mode=recommend&page=1|관련 사례]]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3-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306-020 | '''混沌を制す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3-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4-JP008 | [[해룡신의 분노|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竜神の怒り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3-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2-JP020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6-06-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C8-JP003 | 2006/06 プロモーション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04-03-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IOC-020 | '''[[혼돈의 지배|INVASION OF CHAO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5-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4-EN008 | [[해룡신의 분노|STRUCTURE DECK FURY FROM THE DEEP]]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10-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2-EN020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IOC-EN020 | [[혼돈의 지배|INVASION OF CHAO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5-06-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OC-KR020 | '''[[혼돈의 지배]]'''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5-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4-KR008 | [[해룡신의 분노|스트럭처 덱 - 해룡신의 분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11-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2-KR020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물의 정령 아쿠에리어]] === === [[극성(유희왕)#극성사랑 펜리르|극성사랑 펜리르]] === === [[크샤트리라 펜리르]]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령(유희왕), version=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