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체코 대통령)] ||<-2> '''{{{#fff 체코 공화국 제4대 대통령[br]{{{+1 페트르 파벨}}}[br]Petr Pave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764px-Petr_Pavel.jpg|width=100%]]}}} || ||<|2> '''출생''' ||[[1961년]] [[11월 1일]] ([age(1961-11-01)]세)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플라나[br](현 [[체코]] [[플젠주]] 플라나) || ||<|2> '''재임기간''' ||제4대 대통령 || ||[[2023년]] [[3월 9일]] ~ [[현직]] || || '''서명''' ||[[파일:페트르 파벨 서명.png|width=15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하나 파블로바 {{{-2 (이혼)}}}[br]에바 파블로바 {{{-2 (재혼)}}} || || '''자녀''' ||3명 || ||<|3> '''학력''' ||비슈코프 지상군 군사대학교 {{{-2 (1979년~1983년)}}} || ||브르노 육군사관학교 {{{-2 (1988년~1991년)}}} || ||[[킹스 칼리지 런던]] 대학원 {{{-2 (국제관계학 / [[석사|M.A.]]) (2005년~2006년)}}} || || '''병역'''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2 (1979년~1989년)}}}[br]체코슬로바키아군 {{{-2 (1990년~1992년)}}}[br][[체코 육군]] [[대장(계급)|대장]] 전역 {{{-2 (1993년~2018년)}}}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목차] [clearfix] == 개요 == [[체코]]의 제4대 [[체코 대통령|대통령]]. == 생애 == [[1983년]] 체코슬로바키아 육군에 입대하여 [[공수부대]]에서 소대장으로 복무했다. 이 당시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에 입당해 [[벨벳 혁명]]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무너지는 [[1989년]]까지 당적을 유지했는데 이 때문에 NATO에서 활동할 때나 정치에 입문한 이후에도 공산당원 시절에 [[서방]] 국가들을 상대로 총구를 들이민 적이 있냐는 [[사상검증]]성 질문을 많이 받았다. 파벨은 "군인의 임무는 국민과 조국을 지키는 것입니다."라고 응수했다. 즉, 자신은 군인으로서 자신의 책무를 다했을 뿐 정치적 성향이 자신의 군생활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다. [[https://www.denik.cz/z_domova/petr-pavel-rozhovor-volby-prezident-20230804.html|#]] [[1989년]] 민주화 이후에는 당적 없이 무소속을 유지하고 있다. 1991년부터 3년간 군사 정보국에서 복무한 뒤 [[유고슬라비아 전쟁]] 기간 중 [[유엔 평화유지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소속 부대로 파병되었다. 1993년 보스니아에서 스릅스카군에 의해 포위된 프랑스군 55명을 구출하기 위한 작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평화유지군 파병을 마친 뒤에 [[2002년]] 준장으로 승진해 [[미국]] [[미합중국 중부사령부|중부사령부]] 체코군 대표를 역임하는 등 주로 국제 조직에서 체코군을 대표하는 역할을 맡았다. 덕분에 [[2011년]] 총참모차장에 이어 [[2012년]] 총참모장까지 승진하면서 군 수뇌부까지 올라갔다. [[2014년]] 7월, 체코 정부가 파벨을 NATO 군사위원회 의장으로 지명했고 [[2015년]]부터 임기를 시작해 2018년까지 군사위 의장으로서 임무를 수행했다. 임기를 마친 후 [[옌스 스톨텐베르그]] NATO 사무총장으로부터 찬사를 받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IlYM63uVixY|#]] NATO 군사위원장 시절에는 [[이순진]]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의장의 초청으로 3박 4일 동안 한국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531029024|#]] NATO 군사위원회 의장으로 있는 중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준동과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크림반도 합병]]으로부터 시작된 [[러시아]]의 위협 확산 등에 대응해야했는데 [[2016년]]에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보다 러시아가 더 위험하고, 이슬람 극단주의가 체코 등 동유럽에서 상당히 과대평가되고 있다는 평을 내리기도 했다. === [[2023년 체코 대통령 선거]] === [[2019년]]부터 [[시민민주당]], [[시장과 무소속]] 등 당시 야권 정당들이 모여 [[밀로시 제만]]의 뒤를 이을 차기 대선 후보로 누굴 지지할 것인지에 대하여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는데 NATO 군사위를 마지막으로 군복을 벗은 파벨이 유력 후보로 검토되고 있었다.[[https://www.seznamzpravy.cz/clanek/zacalo-hledani-nastupce-milose-zemana-vstoupit-do-boje-neodmita-ani-tezka-vaha-politickych-valek-79597|#]] 아무래도 당시 제만 대통령이 [[안드레이 바비시]] 총리와 [[ANO 2011]]을 향해 편향적인 애정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에 [[2023년]] 임기 만료를 시점으로 반드시 대통령을 제만 측 인사가 아닌 야권 측 인사로 만들어야한다는 공감이 있었던 것인데 결국 2022년 6월 29일, 파벨이 공식적으로 대선 출마 의사를 밝히면서 이에 화답했다.[[https://www.idnes.cz/zpravy/domaci/petr-pavel-kandidatura-na-prezidenta-republiky.A220906_050929_domaci_kop|#]] 대선에 앞서 열린 [[2021년 체코 하원 선거]]에서 SPOLU[* [[시민민주당]], [[기독교민주연합-체코슬로바키아 인민당]], [[TOP 09]]로 구성된 선거 연합]와 해적과 시장[* [[시장과 무소속]], [[체코 해적당]]으로 구성된 선거 연합]이 손잡고 정권 교체에 성공한 상황이었기 때문이 이제 여당이 된 SPOLU의 지지를 받게 되었다. 물론 SPOLU의 공식 지명을 받거나 한 것은 아니고 지지 내지 승인이라는 간접적인 형태다. 2023년 1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열린 1차 투표에서 1,975,056표를 득표해 35.4% 득표율로 1위를 차지, 결선 투표에 진출했다. 본선을 앞두고 바비시 전 총리와 1위 자리를 두고 여론조사상 엎치락뒤치락을 반복하고 있었는데 적은 격차로 바비시를 누르고 1위 자격으로 결선으로 갈 수 있었다.[[https://m.khan.co.kr/world/europe-russia/article/202301152130045|#]] 한편 1차 투표를 앞둔 1월 12일 진행된 결선 투표 여론조사에서 58% vs 42%로 함께 결선에 진출한 바비시 전 총리를 앞서고 있기 때문에 당선이 유력하다.[[https://www.novinky.cz/clanek/volby-prezidenta-bookmakeri-si-troufli-na-model-prvni-i-druhe-kolo-opanuje-pavel-40419840|#]] 1차 투표 종료 후 다누세 네루도바, 파벨 피셔 등 다른 중도 성향 낙선 후보들과 [[페트르 피알라]] 총리의 공식 지지를 받았다.[[https://www.ceskenoviny.cz/zpravy/fiala-podporil-pavla-druhe-kolo-podle-nej-bude-soubojem-hodnot/2311195|#]] 체코 대통령 선거 개표 결과 '''58.32%의 득표율로 바비시 전 총리를 압도적으로 누르고 파벨이 대통령에 당선됐다'''. 파벨은 [[유럽연합]], [[NATO]]와의 협력 증진을 추구하고, 대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을 전폭 지지하는 입장을 견지해 친러 ·친중 성향의 밀로시 제만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웠다. 체코 내 [[유로화]] 도입에 찬성하고 [[동성결혼]] 등에도 진보적인 입장이다. 파벨의 승리는 러시아와 대치 중인 유럽연합(EU)의 단합 강화와 포퓰리스트인 [[안드레이 바비시]] 전 총리의 패배를 의미한다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평가했다.[[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129500061|#]] === 체코 대통령 === 2023년 3월 9일, 4대 체코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했다.[[https://newsis.com/view/?id=NISI20230310_0001213950|#]] 취임 첫 100일간 대통령 관저인 프라하 성을 대중에게 개방하고 정부 여당과 야당 간의 소통을 잇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https://www.hrad.cz/file/edee/2023/06/230615_brozura_sto_dni.pdf|#]] 덕분에 체코 국민들의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취임 전 20%에서 58%까지 상승했다. 대표적으로 [[헌법재판기관|헌법재판소]] 재판관 3명을 지명한 후에는 협조를 구하기 위해 직접 상원과 하원에 출석해 지명 사유를 밝히고 지지를 요청했던 모습이 꼽히는데 적극적인 소통 행보로 전임 대통령 시절 실추된 대통령의 이미지를 재구축하고 있다는 평가.[[https://www.irozhlas.cz/zpravy-domov/prezident-petr-pavel-100-dni-prazsky-hrad-zahranicni-politika-kontroverze_2306171614_aur?_gl=1*xbvpk2*_up*MQ..*_ga*MTI0NDA4NzcwMi4xNjg3MDcxNzQ5*_ga_PHLY4J7WBV*MTY4NzA3MTc0Ny4xLjAuMTY4NzA3MTc0Ny4wLjAuMA..|##]] == 기타 == * [[체코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를 할 줄 안다.[* 출처는 [[https://en.m.wikipedia.org/wiki/Petr_Pavel|영어 위키백과]]]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 및 총통 일람)] [include(틀:역대 체코군 총참모장)] [[분류:체코 대통령]][[분류:1961년 출생]][[분류:플젠 주 출신 인물]][[분류:체코의 군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