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에너지 관련 기업]][[분류:중국의 중앙국유기업]][[분류:홍콩증권거래소상장법인]][[분류:뉴욕증권거래소상장법인]]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정유업계 뉴 세븐 시스터즈)] ||<-3> {{{+1 {{{#000 '''페트로차이나'''}}}[br]'''{{{-1 {{{#00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br]'''{{{-1 {{{#000 '''PetroChina Company Limited'''}}}}}}[br]'''{{{-1 {{{#000 '''중국석유천연기고분유한공사'''}}}}}}''' || ||<-3> [[파일:페트로차이나 로고.svg|width=200]] || ||<-2> {{{#gold '''국가'''}}}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국]] || ||<-2> {{{#gold '''설립일'''}}} || [[1999년]] [[11월 5일]] || ||<-2> {{{#gold '''본사'''}}}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둥청구(베이징시)|둥청구]][br]둥즈먼다제9호 || ||<-2> {{{#gold '''대표자'''}}} || 다이후량(戴厚良)[* 모기업인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의 CEO이기도 하다.] || ||<-2> {{{#gold '''업종'''}}} || 석유 및 가스업 || ||<-2> {{{#gold '''모토'''}}} || '''奉献能源 创造和谐'''[br]{{{-2 (에너지를 봉헌하여 화합을 창조한다)}}} || ||<-2> {{{#gold '''매출액'''}}} || $3,495억 9,426만 ^^(2019)^^ || ||<-2> {{{#gold '''시가총액'''}}} || '''약 152조 11억원''' || ||<-2> {{{#gold '''상장여부'''}}} || 상장 || ||<-2> {{{#gold '''상장시장'''}}} || [[NYSE]][br][[상하이증권거래소|SSE]][br][[홍콩증권거래소|HKEX]] || ||<-2> {{{#gold '''상장코드'''}}} || [[https://www.nyse.com/quote/XNYS:PTR|NYS: PTR]][br][[http://english.sse.com.cn/markets/equities/list/overview/?COMPANY_CODE=601857&STOCK_CODE=601857|SSE: 601857]][br][[https://www.hkex.com.hk/Market-Data/Securities-Prices/Equities/Equities-Quote?sym=857&sc_lang=en|HKEX: 857]] || ||<-2> {{{#gold '''직원 수'''}}} || 663,847명^^(2020)^^ || ||<-2> {{{#gold '''법인등록번호'''}}} || 110102710925462 || ||<-2> {{{#gold '''사회신용코드'''}}} || 91110000710925462X || ||<-2> {{{#gold '''주요 주주'''}}}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 86.35%[br][[홍콩]]대리인유한공사: 11.38% || ||<-2> {{{#gold '''링크'''}}} || [[http://www.petrochina.com.cn/|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석유채출 전문 공기업. == 상세 == 중국에서 가장 거대한 석유기업이다. 2019년 기준 연간실적 3,495억 달러의 매출을 내는, 국제적으로도 상당히 거대한 기업이기도 하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국제적으로도 유명한 석유기업인 [[로열 더치 쉘]]의 매출액이 약 3,500억 달러다. 그러니까 셸보다 한 끗 차이 밑에 있는 기업이라는 소리. 사실 당연한 것이 이 회사는 중국 국무원 산하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 소속의 공기업이고 중국 내부의 석유 및 가스자원을 사실상 독점하는 수준에 있으며 중국의 막대한 석유, 가스 수요로 이득을 챙길 수 있는 위치에 있으니 애초에 저 매출이 안 나오는게 더 이상하기는 하다. 다만 산유국들의 정유사들은 외화를 벌어들이는 수출기업이라는것이 특징이라면 페트로차이나는 외화를 유출시키는(...) 기업이라는 차이는 있다. 어쩔수없는것이 중국내 석유 생산량은 500만 배럴인데 반해 수입량은 1500만 배럴에 달한다. 실제로 페트로차이나는 이런 [[꽌시]]를 악용한 중국 내 독점과 이를 이용한 독자적 유가조정 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일으켜서 중국 내외로 욕을 오지게 먹는 기업이기도 하다. 물론 이 기업은 중국의 공기업 답게 저 문제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 역사 == [[1999년]] [[11월 5일]], [[화베이유전지구]] 개발을 위해 설립된 회사이다. 이후 [[2000년]]에 [[뉴욕증권거래소]]와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고, [[시노펙]][* 페트로차이나와 함께 중국에서 상당한 힘을 가진 자원회사이다.]이 개발중이었던 [[수단 공화국|수단]]의 유전을 받아서 개발하면서 회사가 국제적으로 커지기 시작한다. [[2007년]], [[보하이 만]]에 묻혀있던 난바오유전(南堡油田)을 개발하였으나 예상외로 석유가 많이 없어서 [[2013년]]에 석유채굴이 중단된다. [[2007년]]에 얼마안가 국제기구의 조사를 받았는데, 그 이유는 [[수단 공화국|수단]]의 독재자인 [[오마르 알바시르]]를 뒤에서 지원, [[다르푸르 학살]] 등의 만행을 뒤에서 밀어줬다는 것. 물론 당시 중국은 이제 막 뜨던 시기였고 아직 국제적 인식이 나쁜 편도 아니었기에 유야무야 넘어가는데 성공하였다. 이후 [[2009년]], [[엑슨모빌]]과 함께 [[호주]] 서부 고르곤 유전의 500억 달러규모 가스계약을 맺는다. 참고로 당시 호주는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서--사실 지금이 제일 나쁜 상황이지만-- 그야말로 중국과 관계가 파탄나다시피 한 상황이었는데, 저 계약 한 방에 관련 문제가 다 뒤로 넘어가게 된다. 동년에 페트로차이나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부 [[카라마이시]]의 두산즈구(独山子区)에 석유정제소를 설치하는데, 이 규모가 연간 1천만 톤의 [[석유]]와 1백만 톤의 [[에틸렌]]을 정제할 수 있는, 중국 최대의 정제소였다. 사실 저 지역에 정제소를 설치한 이유가 있는데, 바로 [[카자흐스탄]]의 석유를 노린 중국 정부의 야심을 표출해낸 것.[* 물론 지금은 [[일대일로]]와 위구르의 한화정책으로도 아주 잘 써먹는다. 다만 당시에는 아직 [[시진핑]]이 무명이었던 시기였기에 당시에는 저 의도로 개발된 것은 아니었다.] [[2011년]], [[캐나다]]에 자회사를 세우고 캐나다 서부 더버네이 층의 셰일가스를 추출하는 사업을 시작한다. 당시 세일가스 사업은 페트로차이나가 추진한 최대의 가스사업이었다. [[2016년]]에는 [[네팔]]에 파이프라인을 연결하였고, [[2019년]]에는 [[로열 더치 쉘]]과 함께 호주 퀸즐랜드에 합작투자를 하기도 하였다. == 비판 == 페트로차이나는 중국의 유전을 사실상 독점하다시피 하는 기업이다. 이는 상술한 대로 중국 내부에서 자원을 이용한 횡포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그래서 중국은 산유국 치고 기름값이 싸지 않다. 또한 중국 내의 석유 수요가 엄청나기 때문에 해외 자원개발에도 나서는데 이 와중에 [[수단 공화국|수단]]의 독재자인 [[오마르 알 바시르]]를 뒤에서 지원하였다는 의혹이 있고, 시작부터 이 의도는 아니었지만 사실상 카라마이 정제공장 덕에 [[일대일로]]에도 일조하고 있는 기업이 되었다. 다만 중국이 석유수입국이기 때문에 유가가 상승하면 중국 전체경제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화웨이]]마냥 대놓고 타국에 스파이짓이나 하면서 국제적 사고를 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모기업은 [[이란]]을 뒤에서 지원해 준다는 의혹이 있어서 [[미국]]한테 찍힌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