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핀란드 총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80c1f6 페테리 오르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핀란드 의회의장)] ---- [include(틀:총리 및 수상 일람)]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0%, #fff 20%, #fff 80%, #ececec)" '''[[핀란드 총리|{{{#80c1f6 핀란드 제47대 총리}}}]][br]{{{+1 안티 페테리 오르포}}}[br]Antti Petteri Orp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etteri-Orpo-01_(cropped).jpg|width=100%]]}}} || ||<|2> '''출생''' ||[[1969년]] [[11월 3일]] ([age(1969-11-03)]세) || ||[[사타쿤타]] 쾨윌리외 || ||<|2> '''재임기간''' ||제47대 [[핀란드 총리|총리]] || ||[[2023년]] [[6월 20일]] ~ [[현직]] || || '''링크''' ||[[https://www.petteriorpo.f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m.facebook.com/OrpoPetteri|[[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etteriOrpo, 크기=20)] | [[https://instagram.com/petteriorpo?igshid=MzRlODBiNWFlZ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니나 카니아이넨오르포 || || '''자녀''' ||2명 || || '''학력''' ||투르쿠 대학교 ,,([[정치학]] / [[석사]]),, || || '''종교''' ||[[개신교]]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 || '''신체''' ||175cm || || '''정당''' ||[include(틀:국민연합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핀란드]]의 제47대 [[핀란드 총리|총리]]. == 생애 == 1969년 사타쿤타의 쾨윌리외에서 태어났다. 징병제 국가의 특성상 젊을 때 예비군 장교로 입대하여 대위까지 복무하기도 했다. [[2007년 핀란드 의회 총선거]]에서 처음으로 의원에 당선되어 현재는 핀란드 의회의 5선 의원이다. [[핀란드 중앙당|중앙당]] 소속 유하 시필레 총리가 이끄는 내각에서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농림부 장관, 2015년부터 2016년까지 내무부 장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2016년부터 국민연합당의 대표로 재임 중이며, [[2023년 핀란드 의회 총선거]]에서 국민연합당이 원내 제1당으로 올라섬에 따라 차기 총리가 될 가능성이 높은 인물이다. 선거 이후인 [[4월 12일]], 원내 1당 대표 자격으로 투표를 통해 제41대 [[핀란드 의회]]의장으로 취임했다. 차기 정부 구성까지 임시로 직을 맡게 된다.[[https://yle.fi/a/74-20027012|#]] [[6월 15일]], 총선 후 두달만에 강경우파 핀인당을 포함한 3개 정당과 함께 우파 연정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연정은 유엔 난민기구를 통한 합법적 난민 수용 규모를 현행 연간 1,050명에서 500명으로 절반 이상 감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30617005900098?section=international/all|#]] [[6월 20일]], [[국민연합당]]-[[핀인당]]-[[기독교민주당(핀란드)|기독교민주당]]-[[핀란드 스웨덴인당]]의 4당 내각을 구성하고 인준을 받아 총리로 취임했다. 대신 후임 의회의장은 [[핀인당]]의 [[유시 할라아호]] 전 대표가 맡게 되었다. 그러나 내각 구성이 끝나자마자 [[핀인당]] 소속의 빌헬름 윤닐라(Vilhelm Junnila) 경제부 장관이 '''[[네오나치]]'''임이 밝혀지면서 얼마 못가 장관이 사임하는 불상사를 겪었는데[[https://www.bbc.com/news/world-europe-66066910|#]], 후임 경제부 장관으로 취임한 [[핀인당]] 소속 빌레 뤼드만(Wille Rydman) 장관 역시 '''인종차별 및 스토킹 성범죄''' 혐의에 걸리면서 내각에 대한 통제력이 벌써부터 의심받는 형국이 되었다.[[https://www.euronews.com/2023/07/28/even-if-i-bred-with-a-pitch-black-nigerian-negro-finnish-government-minister-in-new-racism|#]] 뒤이어 핀인당 소속 리카 푸라(Riikka Purra) 부총리까지 과거 인터넷에 [[이슬람공포증|이슬람 혐오]] 발언을 수차례 게재했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문제가 되었다. 처음에는 푸라 부총리가 사과를 거부했지만, 아예 [[사울리 니니스퇴]] 대통령이 나서서 경고하자 어쩔수 없이 사과했다. 하지만 그 사과내용이 [[4과문]]에 가깝고 오르포 총리가 해당 게시물들이 여성권 옹호를 위한 내용이었다는 말도 안되는 변명을 하고 있는지라 얼마나 진심이 담긴 내용이었을지는 뻔히 알 수 있는 일이다. 덕분에 정권 시작부터 극우 정부, 인종차별 정부라는 오명 속에 지지율이 23.6%로 폭락했고(반대 61.7%)[[https://www.maaseuduntulevaisuus.fi/uutiset/cc1b0d68-c232-45d4-8350-73b5b00775b9|#]], 정권 붕괴 문제까지 언급되자 일단 8월 31일에 내각 명의로 차별과 인종차별에 맞서기 위한 새로운 조치를 취하겠다고 선언했다. [각주] [[분류:1969년 출생]][[분류:핀란드 총리]][[분류:핀란드 의회의장]][[분류:당 대표]][[분류:사타쿤타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