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원 삼성 블루윙즈/로스터/간략)]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_뮬리치44.pn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194996 70%, #194996 80%, #FFFFFF 80%, #FFFFFF 90%, #E71A0F 90%, #E71A0F);font-size: 0.95em" '''{{{#FFFFFF 수원 삼성 블루윙즈 No. 44}}}'''}}} || ||<-3> '''{{{#194996 {{{+1 페이살 물리치}}}[* [[세르보크로아트어]]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한 표기는 '페이살 물리치'이다.] [br] Фејсал Мулић | Fejsal Mulić}}}''' || ||<-2> {{{#FFFFFF '''K리그 등록명'''}}} ||'''뮬리치''' || ||<-2><|2> {{{#FFFFFF '''출생'''}}} ||[[1994년]] [[10월 3일]] ([age(1994-10-03)]세)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노비파자르 || ||<-2>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부모님 중 한명이 보스니아계이며, 뮬리치가 태어난 노비파자르는 보스니아계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2> {{{#FFFFFF '''신체'''}}} ||[[키(신체)|키]] 205cm[* 여담 참고], [[체중]] 84kg || ||<-2> {{{#FFFFFF '''포지션'''}}} ||[[중앙 공격수]] || ||<|2> {{{#FFFFFF '''소속'''}}} || {{{#FFFFFF '''유소년'''}}} ||[[FK 노비 파자르|FK 노비파자르 U-19]] || || {{{#FFFFFF '''선수'''}}} ||[[FK 노비 파자르]] (2012) [br] [[TSV 1860 뮌헨]] B (2013~2015) [br] [[TSV 1860 뮌헨]] (2015) [br] [[로얄 엑셀 무스크롱]] (2016~2017) [br] 하포엘 에이커 FC (2017) [br] [[하포엘 텔아비브 FC]] (2018~2019) [br] → {{{-1 브네이 예후다 텔아비브 FC (2019 / 임대)}}} [br] [[NŠ 무라]] (2019~2020) [br] [[FK 벨레즈 모스타르]] (2020~2021) [br] → '''{{{-1 [[성남 FC]] (2021 / 임대)}}}''' [br] [[성남 FC]] (2022)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 ) || ||<-2> {{{#FFFFFF '''국가대표'''}}}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3경기 1골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 U-21]] / 2015~2017)^^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FFF '''링크''' }}} ||[[https://instagram.com/mulicfejsal? 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FFFFFF '''종교'''}}} ||[[이슬람]]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성남 FC]]를 통해 [[K리그1]]에 데뷔했으며, 현재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으로 뛰고있다. 참고로 [[보그단 밀리치]]가 가지고 있던 K리그 역대 최장신 선수 기록을 경신한 선수다. == 선수 경력 == === K리그 이전 === [[파일:FejsalMulic.jpg|width=400]] 노비파자르 U-19 유스 출신으로 2013년 [[TSV 1860 뮌헨]]을 통해 처음 프로 무대에 발을 들였다. 2015년 중반까진 B팀 소속으로 [[레기오날리가]]에서 뛰며 36경기에 출전해 9골 4도움을 기록하고 A팀으로 승격되었는데, [[2. 분데스리가]]와 [[DFB 포칼]]을 비롯해 14경기에 뛰며 1골 2도움을 기록하고 [[벨기에]] 1부리그인 [[주필러 프로리그]]의 [[로얄 엑셀 무스크롱]]으로 이적, 17경기에 뛰며 1골을 기록했다. 이후 [[이스라엘]] 2부로 옮겨가 하포엘 에이커 FC 소속으로 17경기에 출전해 3골을 넣고 1부 리그인 [[이스라엘 리갓 하알]]의 [[하포엘 텔아비브]]로 이적해 도합 29경기 8골을 기록한다. 2019년부터는 같은 리그의 브네이 예후다 텔아비브 FC로 임대를 떠나 10경기 1골 1도움의 성적을 올렸고, 이후 [[슬로베니아 1. SNL]]을 거쳐 [[보스니아 프리미어리그]] 1부 리그 참가팀 FK 벨레주 모스타르 소속으로 21경기에 출전해 9골을 기록중이었다. === [[성남 FC]] === 2021년 1월 16일, 서호정 기자의 유튜브 라이브인 "썰호정"을 비롯한 여러 현지 기사들로 성남으로의 1년 선임대 후이적이 유력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성남 FC 팬이 보낸 "Welcome to Seongnam"이라는 디엠에 직접 고맙다고 답장하는 등, 한국행의 가능성이 큰 모양새다.[[https://www.fmnation.net/71566853|#]] 1월 17일자 기사[[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382/0000884913|#]]에 따르면 임대 후 완전이적 방식이며, 이미 구단, 선수간의 모든 협상이 마무리된 상태라고 한다. 그리고 1월 19일 전 소속팀인 FK 벨레주 모스타르 공식 SNS를 통해 오피셜이 났다.[[https://www.instagram.com/p/CKOp22pJ-LQ/|#]] 이후 1월 22일 에이전시의 인스타 스토리에 올라온 게시물을 보면, 한국에 입국해 2주간의 자가격리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https://www.fmnation.net/71954303|#]] 자가격리가 끝난이후인 2월 5일, 성남은 뮬리치의 영입을 공식발표했다.[[https://seongnamfc.com/news/notice-view.php?No=14885&keyfield=&keyword=&page=1&board_table=news&fbclid=IwAR3DJ9NFRSS7Q892L0baFZOPtXsJZJdTRYXlI9EPEdMgP__Fr93vZseM6Lg|#]] 발표 당일 성남의 전지훈련지인 [[기장군]]으로 이동하여 선수단에 합류하였다. 서호정 기자에 따르면 메디컬 테스트 과정에서 기록상 203cm라는 놀라운 피지컬을 보여주고 있다.[* 최단신은 대전 하나 시티즌의 [[에디뉴]]로 158cm][* 다음 기사에 따르면 205cm는 신발을 신은 상태로 잰거라 한다.][[https://www.sports-g.com/2OpVj|#]] ==== [[성남 FC/2021년|2021 시즌]] ==== 3월 1일 [[K리그1]] 1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상대 홈경기에 전반 30분경 교체투입되며 데뷔하였다. 프리킥을 도맡아서 차기도 하고, 워낙 장신이라 공중볼이란 공중볼은 다 따내는 비현실적인 모습에 관중들의 [[웃음벨]] 역할을 톡톡히 했는데, 어째 슛이나 헤딩 실력은 기대했던것만큼 보여주지 못해서 "잼리치"화 되는것이 아니냐는 농담도 나왔다.[* 오프더볼 움직임도 좋지 않았다는 평이 있다] 그래도 기술적인 면이나 스피드는 눈에 띄게 훌륭했고, 뮬리치가 공을 잡으면 관중들의 함성소리를 불러일으키는 모습도 나오는걸 보면 팬들의 기대치가 큰 듯 하다. 3월 7일 2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 상대 원정경기에 선발출장하여 위협적인 프리킥을 때리는 등 나름 분투했으나 결국 68분 경에 [[홍시후]]와 교체아웃 되었다. 팀은 한 명이 퇴장당한 악재 끝에 0:1 패배. 3월 10일 3라운드 [[FC 서울]] 상대 홈경기에서 교체출장하였고, 88분경 [[기성용]]의 핸드볼 파울로 얻어낸 페널티킥을 그대로 왼쪽으로 꽂아넣으며 자신의 데뷔골이자 팀의 올시즌 첫 골을 기록하였다. 이골로 성남은 홈에서 시즌 첫승을 거두었다. 3월 14일 4라운드 [[수원 FC]] 상대 원정경기에서는 성남이 0:1로 끌려가던 75분경 [[이시영(축구선수)|이시영]]의 크로스를 헤딩으로 집어넣으면서 동점골을 기록, 2경기 연속골을 넣게 되었다. [youtube(emLSI4RkDM0)] 4월 10일 리그 9라운드 광주전에는 멀티골을 넣으며 대활약했으나[* 두 골 모두 [[세르비아|같은 나라]] 출신인 [[알렉산다르 안드레예비치| 알렉스]]와의 경합에서 승리해 넣은 귀중한 골이었다.], 두번째 골을 넣고 너무 신이 난 나머지 [[상의탈의|상의를 벗어]] 경고를 받고 '''경고 누적으로[* 전반 29분 트래핑 중 김원식의 얼굴을 무릎으로 때려 첫 경고를 받았다. 위 영상에서 정확히 2:00에 반칙 장면이 나온다.] 퇴장당했다.''' 잠깐 기뻐하다가 아차 싶었는지(단 2.07초만에)[* 같이 뛰던 부쉬가 지적한 것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허리를 숙이고 괴로워하자, 심판도 어이없어 웃으면서 레드카드를 주는 게 포인트.[* 경기 끝나고 퇴장을 당해서 경기장 밖으로 나갔지만 이미 2골을 넣어 승리로 이끈 이상 인터뷰는 해야했기에 다시 들어와서 인터뷰를 하며 이날 예능의 정점을 찍었다. 또한 퇴장 이후 경기장 선수 출입구에서 안절부절못하는 표정으로 경기를 지켜보는 모습도 카메라에 잡혀 중계진을 폭소케 했다.] 이 장면은 외국 언론도 주목했을 정도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4110921774391O|#]] 그나마 팀이 두 골을 지키면서 2-0으로 승리했기에 망정이지, 축구 커뮤니티에서는 만약 무승부라도 됐다면 [[김남일]] 감독이 빠따를 들었을거란 농담도 나왔다.[* 라커룸에서 김남일 감독에게 킥을 한번 당해서 영상의 조회수가 100만이 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BH1xGPjaYI|#]]] 다만 퇴장과는 별개로 현재까지 9경기 4골의 괜찮은 활약을 보여줘서 팬들의 우려처럼 '잼리치'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 후 인터뷰에 따르면 뮬리치는 벨기에에서 뛸 때도 같은 사유로 경고 누적 퇴장을 당했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2022-2023 시즌 이탈리아 리그인 [[세리에 A]] 리그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났는데, [[AC 밀란]]과 [[스페치아 칼초]]와의 경기에서 1:1 동점 상황에서 AC밀란의 [[올리비에 지루]]가 극장 골을 기록하며 팀의 리드를 다시 되찾았는데 극장골에다가 원더골이라 기쁨을 주체하지 못한 나머지 경고를 한번 받았다는것을 잊고 상의탈의를 했다가 경고누적 퇴장을 당했다. 경기장을 나가며 눈물을 보이다가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에게 혼났다고 한다.] [[라마단]] 기간인 4월 12일부터 5월 12일간에 치뤄지는 경기에는 금식 계율 때문에 출전하지 못한다. 김 감독도 그냥 명단에서 제외할 생각이라고 한다. 하지만 4월 한달간 보여준 인상적인 활약 덕에 4월자 게토레이 G MOMENT AWARD에 선정되었다. 5월 22일의 리그 18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원정에서 복귀했고, 전반 37분에 시도한 낮게 깔아차는 중거리 슈팅이 골문을 가르며 자신의 귀환을 알렸다. 5월 29일 리그 19라운드 [[수원 FC]]와의 홈경기에서 멀티골을 만들어냈지만 팀은 2:3으로 패배하였다. 6월 6일의 리그 15라운드 순연경기 [[전북 현대 모터스]] 전에서 80분에 압도적인 스피드와 돌파력을 통해 원맨쇼로 추격골을 뽑아냈지만, 팀은 수적열세를 이기지 못하고 1:5로 패했다. 하지만 이 골로 본인의 시즌 8호골을 기록하며 [[성남 FC]]가 2018년 [[K리그2]] 2위로 승격한 이래 최다득점을 기록한 선수의 자리를 얻어냈다.[* 그 아래로는 7골의 [[나상호]], 5골의 [[에데르 루이스 리마 지소자|에델]]이 있다.] 현재 전반기가 끝난 시점에서 2021시즌에 [[K리그1]]에 새로 들어온 외인들 중 가장 성공적인 영입이라 봐도 무방하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스카우터들이 외국인 선수를 직접 만날 기회가 없어졌기 때문에 사실상 영상만 보고 뽑아야 하는 처지에 놓였는데, 이 때문에 [[타쉬]], [[자와다]], [[빅토르 안드라지 산투스|빅터]] 등의 실패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제일 뛰어난 활약을 보여줬다. 2021시즌 새로 [[K리그1]]에 들어온 외인들 중 뮬리치에 버금가는 활약상을 보이는 선수는 [[바코(축구선수)|바코]]나 [[델브리지]], [[알렉산다르 안드레예비치|알렉스]], [[루카스 힌터제어|힌터제어]], [[알렉스 그랜트|그랜트]] 정도를 제외하면 사실상 없다시피하다. 8월 7일의 리그 23라운드 [[포항 스틸러스]] 전에서 전반 9분 포항의 수비수 [[알렉스 그랜트]]의 수비실수를 놓치지 않고 마무리 하며 2개월만에 득점하며 시즌 9호골을 기록했다.[* 그랜트가 자기 진영에서 범한 트래핑 미스를 놓치지 않고 첫 슈팅으로 만들었고, 이를 [[강현무]]가 한번 펀칭해냈지만 재차 놓치지 않고 밀어넣으며 득점에 성공했다.] 그와 함께 소속팀 성남은 뮬리치가 멀티골 득점이후 퇴장을 당했던 9라운드 광주전 이후 무려 4개월만에 승리를 거두었다. 8월 14일 리그 25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전에서 88분 공간침투 패스를 받은이후 상대 수비수를 제끼고 강력한 터닝슛으로 역전골을 만들어냈고, 팀은 1:2 역전승과 2연승을 거두었다. 이 골로 본인의 득점 기록도, 팀 최다 공격 포인트도 두자릿수로 올라왔고, [[2016년]] [[티아고 알베스 살레스|티아고]] 이래 성남 최고의 외인 공격수가 되어가는 중이다. 개인 커리어 첫 한 시즌 두 자리수 득점이기도 하다. 9월 19일 리그 30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 원정에서 54분에 [[이중민]]과 교체투입되었고, 61분에 [[델브리지]]의 파울로 얻어낸 프리킥을 수비벽을 살짝 넘기는 예리한 슈팅으로 성공시키며 팀의 0:1 신승을 이끌었다. 인천 상대 3연패를 끊어낸 중요한 골이자, 성남 데뷔 이래 줄기차게 시도했던 프리킥으로 기록한 첫 골. 시즌 11호. 9월 22일 리그 31라운드 [[수원 FC]]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해 67분 경 상대의 실책성 플레이로 공을 따낸 [[서보민]]의 패스를 받아 선제골이자 본인의 시즌 12호 골을 득점했다. 팀은 후반 말미 집중력 부족으로 인해 3:1 패배. 9월 26일 리그 32라운드 [[강원 FC]]와의 경기에서 전반전이 끝나고 [[강재우]]와 교체되어 들어갔지만, 부족한 수비가담 때문인지 투입된 지 19분 만에 다시 [[정석화]]와 교체되었다. 팀은 2:0 승리. 마지막 38라운드 강원 원정에선 오랜만에 골을 기록했으나 팀은 더 추격하지 못하고 아쉽게 패배하면서 리그를 마감했다. 첫 시즌임에도 팀의 득점을 전담하는 좋은 활약으로 10월 25일 재계약 소식이 들려왔다.[[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477/0000325216|#]] 2021시즌의 성적을 인정받아 [[K리그 대상|2021 K리그1 베스트 11]] FW부문 후보중 1명으로 선정되었다. 2021시즌 성남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36경기 출전 13골. 2021년 12월 17일 성남은 뮬리치를 완전 영입했다. 이적료는 2021년 시즌 임대료까지 포함해 한화로 2.4억원 가량. ==== [[성남 FC/2022년|2022 시즌]] ==== K리그1 4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경기에서 66분경 교체로 투입되어 약 1분 후 얻은 프리킥 상황에서 상대 수비수의 머리 맞고 흐른 볼에 발을 갖다대며 본인의 시즌 첫 골이자 팀이 2:0으로 앞서는 골을 만들어냈다.[* 그것도 투입된 후 첫 터치가 바로 골이 되었다.][* 3라운드 대구vs김천전에서 고재현의 득점 장면의 구도와 완전히 똑같다.] 그러나 팀은 이후 내리 두 골을 실점하며 2:2 무승부를 거두었다. K리그1 7라운드 [[수원 FC]]와의 경기에서 전반 3분만에 선제득점했다. 최종 결과는 성남 FC의 4:3 승리. 하지만 그 이후, 본인이 득점을 기록하지 못하면서 팀은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또한 지난 시즌에 비해 부진하고 경기 영향력도 줄어들며 선발 명단에서 자주 제외됐고, [[김남일]] 감독이 인터뷰 중 용병 교체를 고려하고 있다는 말에서 뮬리치 방출설이 제기됐으나, 해프닝으로 일단락되며 구단에 잔류할 것으로 보인다. K리그1 17라운드 [[김천 상무 FC]]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했고, 전반 18분 김민혁의 슈팅이 골키퍼를 맞고 나온 것을 재차 밀어넣으며 선제골이자 리그 10라운드 만에 득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3분 후 팀은 [[조규성]]에게 동점골을 실점하며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7월 15일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한다는 단독보도가 나왔다. [[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477/0000371117|#]] 그러나 이후 협상에 실패해 성남에 잔류한다는 기사가 떴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13&aid=0000142924|#]] 8월 2일 26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원정경기에서 멀티골을 만들어내며 2:1 승리에 기여했다. 8월 28일 순연되었던 23라운드 [[수원 FC]]와의 홈경기에서 전반전 17분 PK선제골을 성공시키면서 팀의 2:1 역전승에 기여했다. 10월 9일 스플릿 B 두번째 경기인 [[김천 상무]]전에서 김민혁의 헤더 패스를 받아 선제골을 넣었으나 팀은 1:1 무승부에 그치면서 남은 결과와 상관없이 강등되고 말았다. 10월 16일 스폴릿 B 네번째 경기인 [[FC 서울]]전에서 페널티킥으로 시즌 8호골을 기록하였다. 이 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잔류를 확정지으려는 서울에게 고춧가루를 뿌렸다. 리그 최종전인 [[대구 FC]]전에서는 3:0으로 뒤지던 상황에서 팔라시오스의 첫골을 어시스트했고, 3:4로 뒤지던 상황에서는 동점골을 넣어 4:4 무승부에 기여했다. 비록 강등은 확정되었지만 마지막까지 투지를 보여준 인상깊은 플레이였다. 시즌 기록은 33경기 9골 1도움. 2월 3일, 오현규의 이적으로 대체자를 찾고있던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삼성]]으로 이적한다는 단독 기사가 떴다.[[https://v.daum.net/v/uInLBLKw7y|#]]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이미 짐을 쌌고 곧 메디컬 테스트 후에 수원 전지훈련에 참여할 예정이다. 수원이 오현규의 이적으로 약 40억이라는 거금을 얻었고 프런트가 최근 이어진 외국인 영입 실패를 반복하지 않고 공백을 완벽히 메울수 있는 선수를 찾는다는 등의 여럿 [[언플]]도 이어지자 팬들은 몇년만의 수준급 외국인 공격수가 오지 않을까 기대했지만 실제 기사로는 뮬리치 영입 소식이 나오자 실망이라는 여론이 나오는 등 반응이 갈리기도 했다. 한편으론 해외리그의 검증되지 않은 용병[* [[술레이만 크르피치|크르피치]], [[니콜라오 드미트루|니콜라오]], [[세바스티안 그로닝|그로닝]] 등이 있었다.]을 비싼 돈 주고 데려왔다가 또 실패를 맛 볼 바에는 차라리 K리그1에서 어느 정도 보여준 게 있는 뮬리치와 안병준으로 전반기를 치르고 차후 여름 이적시장에 추가 영입을 노려봐도 될 것 같다는 의견도 있다. 이후 보도에 따르면 수원은 리그에서 검증된 공격수를 원해 뮬리치와 함께 [[스테판 무고샤|무고사]], [[레오나르도(1997)|레오나르도]], [[김신욱]] 등을 우선 타겟으로 정했으나 무고사의 경우는 수원의 제안에 대한 답변을 하지 않았고[* 애초에 무고사는 인천 복귀 외에는 K리그 팀 이적은 선택지에 없다고 한다.][* 다만, 관계자들 썰에 의하면 무고사의 의사와 무관하게 빗셀고베 구단 측에서 거절했다는 얘기도 있다.] 레오나르도는 가격 차이로 무산되었으며, 김신욱은 수원이 무고사 딜을 진행하는 사이 이미 [[킷치 SC]] 이적을 확정지었다. 그렇게 자연스레 마지막에 남은 뮬리치를 선택했다고 한다. 수원에는 정교한 크로스가 장점인 [[이기제]], [[정승원]]이 있으므로 이들과 시너지 효과가 맞는다면 꽤 쏠쏠하게 쓸 수 있을거라 예상되고 있다.[* 저 둘은 머리뿐만이 아닌 발밑에 주는 크로스도 굉장히 좋은 편이지만 정승원의 크로스가 조금 높은 편이다.] 그리고 뮬리치의 이적이 확정되자 대다수의 반응은 거의 대부분이 골 넣고 상의탈의하지 말라고 할 정도였다. 조금 의아한 부분은 뮬리치가 영입되기 바로 전 외국인선수인 [[세바스티안 그로닝|그로닝]]이 최악의 활약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위닝멘탈리티로 인기가 많았기 때문에, 뮬리치를 대체자로 영입했을 때의 반응은 [[세바스티안 그로닝|그로닝]]보다는 훨씬 좋지 못했다.[* 그로닝은 외모와 팬들을 대하는 자세가 영입 당시부터 근본이 넘쳐났다는 평이었으며, 경기력도 초반에는 좋았다.][* 여기에 대체자로 먼저 거론된 레오나르도, 무고사의 기량과 전술 활용적인 가치가 뮬리치보다 훨씬 더 좋은 게 사실이라서, 뮬리치 영입에 실망한 팬들이 꽤 있었던 것도 큰 몫을 했으며, 실제로 수원이 무고사와 접촉했으나 본인이 거절한 것으로 나타났다.[[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0126|#]]] ====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3년|2023 시즌]] ==== 2023년 2월 7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공식 발표가 떴다. 계약 기간은 2년 보장에 1년 옵션 형태. 등번호는 좀 뜬금없이 44번을 달았다. 앞자리 번호와 공격수들이 선호하는 번호들 대부분이 다 차 버렸기 때문에[* 22번의 경우에는 현재 상무에 있는 권창훈이 하반기 전역 예정이며 당장 해외진출할 여건이 안될 경우엔 높은 확률로 수원으로의 복귀가 유력하기 때문에 비워둔듯 하다.] 44번을 달았다. 아마도 전 소속팀인 성남에서 8번을 달았었기에 4+4=8의 의미로 예상되고 있다. 우선 3라운드까지는 햄스트링 부상으로 인해 엔트리에서 아예 제외되었다, 하지만 [[이병근]] 감독의 말로는 5라운드부터 출전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생각보다 부상이 심한 듯 보인다. 5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 드디어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고, 후반 15분 [[안병준]]과 교체 투입되어 데뷔전을 치뤘다. 날카로운 헤더 슛을 보여주기도 했으나, 전반적으로 안병준과 별 다를바 없는 존재감을 보였다. 다만, 부상 복귀 후 시즌 첫 출장이었으며 [[호드리구 바사니|바사니]]가 탐욕을 부려서 기회가 없었던 걸 감안하면, 앞으로의 활약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6라운드 [[울산 현대]] 원정에서는 후반 시작과 동시에 [[안병준]]과 교체 투입되었다. 위협적인 포스트 플레이와 골대를 맞춘 날카로운 슈팅을 보여주며 경기의 흐름을 바꾸는 데 일조했으나, 헤더 능력이 다소 아쉬웠던 게 흠이었다.[* 물론 애초에 뮬리치는 헤더 능력이 약점으로 꼽히는 선수였고 대신 발밑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 때문에 이병근이 뮬리치를 대구 시절 [[에드가 실바|에드가]]처럼 활용한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 이날 팀은 1:2로 패했으나 뮬리치의 활약은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공교롭게 이 시기가 [[라마단]] 기간이었는데도 좋은 모습을 보여줘서, 라마단 끝난 뮬리치는 얼마나 대단할지 기대하는 시선들도 생겼다.] [[하나은행 FA컵]] 3R [[안산 그리너스 FC|안산]]과의 원정경기에서는 교체 투입될 예정이었다가 골키퍼 박지민의 부상으로 인해 양형모가 선택되며 투입되지 못했다. 이후 7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FC|제주]]와의 홈경기에서 선발출전했지만, 두 번의 1:1 기회를 허무하게 날리고 공중볼 경합에서 밀리는 모습을 자주 보이는 등 그다지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여주고 후반전 중반에 [[안병준]]과 교체되었다. 8라운드 [[슈퍼 매치]] [[FC 서울]]과의 경기에서는 3:0으로 뒤지는 와중 만회골이자 수원 데뷔골을 넣으며 팀이 영패를 면하는 데 기여했다. 허나 팀의 상황이 너무 나쁘다보니 안타깝게도 세레머니는 하지 못했다. 라마단 끝나자마자 득점한게 고무적인 부분이었다. 9라운드 포항전에서 교체 출전했으나 선제 실점 후 상대가 내려앉은 상황이라서 큰 활약은 없었다. 10라운드 대구전에서도 교체로 나왔으나 팀이 롱볼축구를 하면서 뮬리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고 본인도 부진했다. 11라운드 인천 원정에서는 명단에서 제외되었고 [[박희준(축구선수)|박희준]]과 [[안병준]]이 각각 45분 씩 뛰었다. 대신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에 출전했다. [[김병수(축구인)|김병수]] 감독의 부임 이후 가장 입지가 불안정한 외국인 선수로 언급되고 있고[* 김병수 감독의 전술은 공격수에게 전방압박과 폭넓은 활동량을 요구하는데, 하술할 뮬리치의 플레이스타일은 이런 점과 맞지 않는 부분이 많다.] 여름 이적시장 때 임대를 갈 거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아니나 다를까, 12라운드 전북전에서는 선발로 출전하였으나, 헤더 경합에 일절 참여하지 않는가 하면 트래핑 미스로 볼 소유권을 자주 잃어버리는 등 거의 워스트급 경기력을 보여주고 후반 시작과 함께 안병준과 교체되었다. 이 경기로 사실상 수원 팬들 상당수가 등을 돌렸는데,[* 경쟁자인 안병준이 리그에서 아직까지 득점이 없지만, 경기력만 보면 뮬리치보단 훨씬 낫고 무엇보다 플레이스타일이 김병수 감독의 전술과 부합하는 면이 많아서 동정 여론이 우세하다.] 심지어 일부는 계약 해지까지 언급할 정도다. 13라운드에서는 햄스트링 부상으로 결장했고[* 이 날 불투이스의 퇴장 징계와 바사니, 아코스티, 뮬리치의 부상으로 수원은 스쿼드에 외국인 없이 경기를 치렀다.] 이 날 안병준이 좋은 폼을 보여준데다 득점까지 하면서 뮬리치의 주전 경쟁은 험난해졌다. 별다른 반전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수원 선배이자 똑같이 김병수 체제에서 고전했던 [[우로시 제리치|제리치]]처럼 병수볼에 적응하지 못하고 여름에 다른 팀으로 떠날 것으로 보이며 현재 [[충남 아산 FC]] 임대 루머가 있다.[* 병수볼에서 공격수는 넒은 활동폭과 수비 가담을 많이 요구받는다.] 19라운드 [[슈퍼매치]]에서는 후반 종료 5분여를 남기고 교체 투입되었는데, 역시나 이전과 같이 무색무취에 가까운 모습을 보였다. 다만, 5분 동안 뭘 하는 건 힘든 데다가 경기 종료 직전에 [[이종성(축구선수)|이종성]]의 침투 패스를 받아 결정적인 슈팅을 날린 것은 그나마 인상적이었다.[* 코스 자체는 골대 좌측 상단 구석으로 향했지만, 상대 수비의 발에 맞고 굴절되는 바람에 [[백종범]] 정면으로 향하고 말았다.][* 참고로 이후의 세컨볼을 서울 수비가 걷어낸 것이 문전으로 쇄도하던 [[고명석]]의 머리를 맞고 들어갈 뻔 했지만, 이것이 다시 골대를 맞고 튀어나와 득점이 무산되었다. 수원이 얼마나 운이 없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었다.] 현재까지의 모습은 본인 잘못이라기보단 전술 문제로 볼 수 있다. 뮬리치는 키는 크지만 헤더슛이 대단히 약하며[* 갖다 맞추는 것조차 헤맬 정도로 헤더를 못 한다.] 발기술과 빠른 주력으로 인한 고속 드리블, 강력한 슈팅으로 승부를 보는 공격수인데 지금 수원의 메인 전술은 롱볼이다. 더군다나 윙어들은 줄부상에 [[이기제]] 또한 올해는 작년만 못해서 그 크로스조차 할 수 있는 선수도 거의 없다보니 당연히 고립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잘못이 없는건 아닌데 냉정히 말해 발기술로만 놓고 보면 1부 수준이 전혀 아니며 그렇다고 피지컬이 상대를 찍어누를 수준조차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신체 스펙 자체는 상당히 우수하나, 뮬리치가 몸싸움을 즐겨하는 스타일이 아니고 본인도 몸을 쓰는 요령 자체를 모르다보니 상대와의 볼경합에서 계속 밀리고 있는 것이다.] 한 마디로 좋게 말해 계륵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실력과는 별개로 부상으로 인해 많이 나오지도 못하고 있다. 때문에 수원은 졸지에 여름 이적시장 전까지 안병준 원톱으로 버텨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나마 박희준이 또 있긴 하나, 사실상 U22 자리를 이상민, 손호준, 김주찬 등에게 내준 상황이라 출전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21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과의 원정경기에서 후반전 시작 이전 [[명준재]]와 교체 투입되며 복귀전을 치렀고, 2:1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아코스티의 패스를 받아 이창근을 가볍게 뚫어 시즌 2호골이자 동점골을 만들어냈다. 또한 교체로 들어온 [[고무열]]하고 좋은 연계를 보여주었다. 그동안 머리 위로 크로스만 올렸던 지난 날과는 달리 김병수 감독이 뮬리치의 장점인 슈팅 능력을 어느 정도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고무적인 부분이었다. 22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에선 [[하창래]]의 퇴장으로 얻어낸 프리킥을 본인이 직접 집어넣으며 선제골이자 2경기 연속골을 기록했으나, 팀은 이내 동점골을 허용하며 또 승리하지 못했다. 23라운드 [[울산 현대]]와의 홈경기에서 2대0으로 달아나는 추가골을 넣으며 3경기 연속 골을 기록했고 팀의 23시즌 리그 첫 홈경기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이렇듯 한때 김병수 감독 체제에서 전력외로 분류되나 싶었지만 어느새 살아나며 수원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골을 적당히 넣어서 그렇지 안병준, 아코스티와 마찬가지로 골운이 지독하게 없는 축에 속하며, 슈퍼매치에서는 수 차례 날카로운 슈팅을 날렸지만 최철원에게 죄다 막히고 골대를 한 끗 차이로 빗겨간 데다가 광주전에서는 회심의 프리킥이 크로스바를 강타했다. 36라운드 [[수원 더비]]에서는 교체로 들어와 수비진의 헤딩 실수를 기회를 틈타서 환상적인 발리 패스로 [[김주찬(축구선수)|김주찬]]의 골을 돕는 활약을 보였고 이에 힘입어 팀도 3:2 역전승을 거두었다. 38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는 [[수원 더비]]에서 결승골을 합작한 김주찬과 함께 교체출전하며 승리를 노렸으나 의욕만 앞서고 전방압박에 소홀하고 공중볼에 약하다는 단점만 노출한 채 몇 번의 기회를 날려먹었고 그 결과 [[수원 삼성]]이 결국 K리그 12위로 다이렉트 강등을 당하며, 전 소속팀인 [[성남 FC]]에 이어 지금의 소속팀인 수원삼성에서도 또 다시 강등을 겪는 불명예를 얻게 되었다.--강등전도사-- == 플레이 스타일 == 피지컬을 바탕으로 한 힘이 강점이다. 크고 아름다운 신장 때문에 헤더나 포스트플레이가 강점인 선수이라고 착각할 수 있지만, 높이를 이용한 플레이보다는 발밑을 이용한 플레이를 즐긴다. 205cm의 거구를 가졌지만 체격 조건에 비해 헤더나 피지컬적으로 버텨주는 플레이 능력은 좋지 않다. 그리고 생각보다 공을 머리에 정교하게 맞추는걸 어려워하여, 자신보다 키가 더 작은 선수에게도 공중볼 점유를 뺏기는 경우도 많이 보여준다. 반면 발이 최고 시속 35km [[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24066492|#]]로 무척 빠르고 발밑으로 하는 플레이에 강점이 있는 빅맨 스타일의 축구 선수로는 매우 독특한 유형을 가진 선수이다. 해외 유명 선수 중에서도 딱히 비슷하다고 할만한 스타일이 없을 정도. 현재 K리그에서 가장 키가 큰 선수(205cm)로 헤더에 유리한 신체조건을 가졌지만 헤더 능력 자체는 부족하여, 파워풀하거나 정교한 헤더보다는 단순 큰 키를 이용해 머리에 맞추는 헤더를 많이 보여준다. 발밑의 경우 양발을 잘 쓰며 어느 정도 정확한 슈팅 능력을 갖고 있어 세트피스 상황 시에는 직접 프리킥 득점도 가능하다. 심지어 2미터 넘는 신장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주력으로 최종수비와의 1대1 경합을 이기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유명한 골 넣고 퇴장당한 경기에서 뮬리치는 세르비아 국대 수비수 알렉스를 스피드로 여러차례 털어버리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심지어 뮬리치가 알렉스보다 15cm 가량 더 크다.][* 울산전에서는 국가대표 출신인 [[김기희]]를 치달로 제쳐버리기도 했다.] 또한 코너킥 상황시 상대팀 골키퍼 앞에 서서 상대팀 골키퍼의 시야와 행동을 제약하는 임무 역시 잘 수행할 수 있다. 단, 2021년 후반부에는 발밑 기술이 안 통하고 문전에서 공을 잡으면 무조건 슈팅을 하면서도 문전으로 올라온 크로스나 코너킥을 머리로 받는데는 실패해서 오랫동안 무득점이었다. 2022 시즌은 2월에 시작하고 잠깐 본국으로 돌아간 뮬리치가 얼마나 자신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지, 라마단 기간에는 어떻게 될는지가 관건이다.[* 단 운동선수의 경우 몸 관리를 해야 하므로 라마단 기간을 암묵적으로 눈감아주는 경우가 많으며 그 외에도 미성년자, 임산부, 환자 등은 라마단을 크게 안 지켜도 예외인 만큼 라마단 자체는 생각보다 빡빡하지 않기에 이걸로 컨디션 관리가 안 될일은 없다.] 결국 2022년에 완전 영입에 걸맞지 않게 부진한 지표를 보이며(슈팅 1위 등 공격 가담은 활발했다) 성남의 2부 재추락을 막지 못했고 시즌 중에도 이미 이적설이 나오다 수원으로 옮겼다. 또한, 체격조건과 별개로 활동량이 다소 부족한 편이라서 현대 축구에서 요하는 전방압박을 이행하기 힘들다. 이러한 이유로 선발로 출전할 시 상대의 빌드업을 방해하는 저지선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점유율 싸움에서 밀리고 시작해야 한다는 리스크도 안고 있다.[* 김병수 감독도 이를 알고 있는지, 뮬리치를 후반 교체자원으로만 활용하고 있다.] == 여담 == * 키가 무려 '''203cm'''로, [[보그단 밀리치]]의 202cm를 깨는 '''K리그 최장신 선수'''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심지어 서호정 기자의 취재내용으로는 메디컬 테스트 결과 실제 키는 프로필상 키인 203cm보다 '''2cm 더''' 컸다고 한다.][* 다음 기사에 따르면 205cm는 신발을 신지 않은 맨발 상태로 잰거라고 한다.][[https://www.sports-g.com/2OpVj|#]] 게다가 몸무게도 100kg를 넘어가는 거구에, 머리도 [[스킨헤드]]라 첫인상이 [[동유럽]] [[마피아]] 같다는 말도 있으나, 이런 선입견과는 반대로 성격도 좋아 팀에 잘 적응하고 있다고 한다.[[https://www.sports-g.com/2OpVj|#]] 성남 시절 팀 내에서 제일 친했던 선수는 부쉬로 보인다.[* 같은 포지션에, [[동유럽]] 출신이라는 것 때문인지 둘이 [[영어]]로 이야기하는 장면이 카메라에 많이 잡힌다. 둘이 같이 거리를 지나다니다 팬과 인증샷을 찍기도 했다. 단, 부쉬는 2021 시즌 출장이 매우 적었고, 시즌이 끝나자마자 유럽으로 복귀했다.] * 세르비아 출신이지만 부모님이 보스니아 계열이라 [[무슬림]]이라고 한다. * 독일 [[TSV 1860 뮌헨]] 시절 [[인천 유나이티드]] 소속의 [[스테판 무고샤]]와 한솥밥을 먹었다. 둘이 찍었던 사진을 SNS에 많이 올린 것으로 보아 서로 친한 듯 하다. [[https://www.instagram.com/p/9Od74YD8A8/?igshid=14nqhahgwhazc|#]] * 과거 [[수원 FC]]와 [[포항 스틸러스]]에서 뛰었던 [[블라단 아지치]]와 얼굴이 닮았는데 둘다 플레이 스타일이 파이터형이다. * 수원이 2023시즌에 뮬리치를 영입하자, [[제리치|3시즌 연속으로]] [[엘비스 사리치|~리치 선수]]를 영입했다는 드립이 나오고 있다. * [[무슬림]]이다 보니 [[라마단]] 기간에는 해가 뜬 후부터 해질 때까지 금식한다. 김남일 감독은 이것 때문에 고민이 많다고 말한 적이 있다. 거기에 미드필더 [[이스칸데로프]]도 무슬림이기 때문에 선수 가용에 제약이 되긴 했다. 물론 이런 걸 알고 영입하긴 했지만, 라마단이 대개 시즌 중반 순위 다툼이 치열할 무렵에 있어 뮬리치 의존도가 너무 높은 성남으로선 큰 문제였다. 그리고 이걸 2023년부터는 수원이 겪게 되었으며, 수원시에도 모스크나 예배소가 있기에 그나마 다행일지도 모른다.[* 수원역, 경희대, 매탄동쪽에 모스크 혹은 예배소가 있다.] * [[풋볼 매니저]]에서의 성능이 괜찮은 선수다. 키가 크다보니 몸싸움도 잘하며, 현실에서 약점인 헤더도 곧잘 하는 편이라 전술만 잘 짜주면 리그를 씹어먹는다.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수비형 미드필더]] [[암라바트]]와 닮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원 삼성 블루윙즈/로스터)] [[분류:1994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세르비아의 축구선수]][[분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계 세르비아인]][[분류:외국인 선수(축구)]][[분류:공격수]][[분류:스트라이커]][[분류:FK 노비 파자르/은퇴, 이적]][[분류:TSV 1860 뮌헨/은퇴, 이적]][[분류:로얄 엑셀 무스크롱/은퇴, 이적]][[분류:하포엘 텔아비브 FC/은퇴, 이적]][[분류:브네이 예후다 텔아비브 FC/은퇴, 이적]][[분류:FK 벨레즈 모스타르/은퇴, 이적]][[분류:성남 FC/은퇴, 이적]][[분류:재한 세르비아인]][[분류:인터넷 밈/운동선수/대한민국]][[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