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eso}}} [목차] == 개요 == 주로 [[스페인]] 및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나라에서 쓰이는 화폐 단위이다. [[라틴어]]로 무게를 재는 것을 의미하는 pendere에서 따와 중량을 의미하는 [[스페인어]] peso에서 유래했다. 일반적인 보조단위는 1/100단위인 센타보(centavo)인데 1/100을 뜻하는 ciento avos의 줄임말이다. 딱히 대표격으로 정해진 페소화는 없으나, 지역에 따라 [[필리핀 페소]], [[멕시코 페소]], [[칠레 페소]]를 꼽기도 한다. 스페인은 '작은 페소'라는 뜻의 [[스페인 페세타|페세타]]를 쓰다 [[유로]]로 바꾸었다. == 페소계 통화 == 2023년 현재 페소를 사용하는 나라는 아래와 같다. * [[도미니카 페소]] ([[도미니카 공화국]]) * [[멕시코 페소]] * [[아르헨티나 페소]] * [[우루과이 페소]] * [[칠레 페소]] * [[쿠바 페소]] * [[콜롬비아 페소]] * [[필리핀 페소]] * [[사하라 페세타]] === 폐지된 통화 === * [[스페인 페세타]]: [[유로]]로 교체. * 과테말라 페소: [[과테말라 케찰]]로 교체. * 베네수엘라 페소: [[베네수엘라 볼리바르]]로 교체. * [[기니비사우 페수]]: [[CFA 프랑/서아프리카]]로 교체. * [[볼리비아 페소]]: [[볼리비아 볼리비아노]]로 교체. * 에콰도르 페소: [[에콰도르 수크레]]로 교체했으나 다시 폐기하고 [[미국 달러]]를 사용한다. * 엘살바도르 페소: [[엘살바도르 콜론]]으로 교체했으나 다시 폐기하고 [[미국 달러]]를 사용하며 이젠 [[비트코인]](…)도 사용한다. * 온두라스 페소: [[온두라스 렘피라]]로 교체. * 코스타리카 페소: [[코스타리카 콜론]]으로 교체. * 파라과이 페소: [[파라과이 과라니]]로 교체. * 페루 페소: [[페루 솔]]로 교체. [[분류: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