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정수론)] [목차] == 개요 == {{{+1 Fermat's little Theorem, FlT[* l은 L의 소문자이다. 대문자로 쓴 FLT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뜻한다.] · Fermat의 [[小]][[定]][[理]]}}} >'''페르마의 소정리'''(Fermat's little Theorem) >---- >[math(p)]가 소수이면, 모든 정수 [math(a)]에 대해 [math(a^p\equiv a\left({\rm mod}\ p\right))] 이다. >혹은 >[math(p)]가 소수이고 [math(a)]가 [math(p)]의 배수가 아니면, [math(a^{p-1}\equiv 1\left({\rm mod}\ p\right))] 이다. 위 두 정리는 동치인 정리이다. 페르마의 소정리, 혹은 페르마의 작은 정리라고도 불리는 이 정리는 [[피에르 드 페르마]]가 알아낸 정리로서, [[정수론]]의 가장 기본이 되는 동시에 [[KMO]]를 응시하는 학생들 모두가 아는 4대 정리 중 하나다. [* 나머지는 [[오일러의 정리]],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윌슨의 정리]].] 역시 페르마답게 증명은 하지 않고 편지를 통해 이 정리에 대해 발표했지만, 그 사실 발견 자체가 놀라운 일이므로 페르마의 소정리라고 부른다. 한 마디로 임의의 소수 [math(p)]와 서로소인 한 수의 [math((p-1))]승을 [math(p)]로 나눈 나머지는 '''무조건''' [math(1)]이라는 정리. 눈으로 보이는 간결성만큼 효과도 매우 강력한 정리이다. 정수론에서 별 되도 않는 자명한 명제를 증명한답시고 붙잡고 있다고 '착각하던' 사람들도 [[합동식]] 개념을 접하는 동시에 4대 기본 정수론 정리들을 접하는 즉시 정수론에 대한 호기심이 급증한다고들 한다. [math(64^{70})]을 [math(71)]로 나눈 나머지는 [math(1)]이라는 것을 순식간에 알 수 있다. 더 나아가서 [math(64)]의 [math(70)]의 배수 거듭제곱을 [math(71)]로 나눈 나머지를 쉽게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th(64^{70000000})]을 [math(71)]로 나누면 나머지가 [math(1)]이라는 엄청난 결론을 낼 수 있다. '''이 정리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 증명 == === [[수학적 귀납법]]과 [[이항정리]]를 사용한 증명 === 먼저, 페르마의 소정리는 다음과 동치이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p\text{가 소수라면, }n^p\equiv n\pmod{p})]}}} [math(n=0)]일 경우는 자명하다. [[이항정리]]에 의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left(n+1\right)^p=n^p+1+\sum^{p-1}_{n=1}{p\choose n})]}}} 여기서, [math(0어떤 수 [math(n)]이 적당한 [math(a)]에 대해서 [math(a^n\not\equiv a\left({\rm mod}\ n\right))] 이면, [math(n)]은 합성수이다. 페르마의 소정리를 이용하면, 어떤 수가 소수인지를 확실하게 판정해 줄 수는 없지만, 저 조건을 만족하면 합성수임은 판정할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카마이클 수 때문에 소수 판정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소수 후보를 추려 내고, 이 후보들을 다른 소수 판정법을 이용하여 소수 판정을 하는데 사용하는 식으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 페르마 유사소수 === >어떤 합성수 [math(n)]이 어떤 [math(a)]에 대해서 [math(a^{n-1}\equiv 1\pmod{n})]이면, [math(n)]을 페르마 유사소수(Fermat pseudoprime)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유사소수는 이것 말고도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82%AC%EC%86%8C%EC%88%98|여러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math(341)] 같은 수가 있는데, [math(341=11\times 31)]로 합성수 이지만, [math(2^{341-1}\equiv 1\pmod{341})]을 만족한다. 하지만, [math(a=3)]인 경우를 확인해 보면 [math(3^{341-1}\equiv 56\pmod{341})]로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math(341)]은 합성수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페르마 유사소수는 무한히 많다. === 카마이클 수 === 페르마 유사 소수 중에서도 특이한 케이스로, 모든 정수 [math(a)]에 대해 [math(a^p\equiv a\left({\rm mod}\ p\right))]임에도 불구하고 [math(p)]가 합성수인 수이다. 이를 절대 유사 소수(absolute pseudoprime) 또는 이를 연구한 수학자 로버트 카마이클의 이름을 따서 '''카마이클 수'''(Carmichael number)라고 부른다. 카마이클 수 [math(n)]은, [math(n)]과 서로소이며[* [math(n)]과 서로소가 아닐 경우 나머지가 [math(1)]이 나오지 않을 것임은 자명하므로 제외하는 것이다.] [math(n)]보다 작은 모든 [math(a)]에 대해서 [math(a^{n-1}\equiv 1\pmod{n})]를 만족한다. [[561|[math(561)]]][math((=3\times 11\times 17))], [math(1105)][math((=5\times 13\times 17))], [[1729|[math(1729)]]][math((=7\times 13\times 19))] 같은 수가 있다. [[http://oeis.org/A002997|목록 보기]] 카마이클 수는 페르마의 소정리를 이용한 소수 판정 방법의 절대적인 반례가 되기 때문에, 페르마의 소정리만으로는 소수 판정이 불가능하다. 처음에는 카마이클 수가 유한할 것으로 예상하여, 모든 카마이클 수의 목록을 정리하려고 시도하였다. 하지만, [[에르되시 팔]]은 카마이클 수가 무한히 많이 존재할 것이라고 예상하였고, 1994년 레드 알퍼드, 앤드루 그랜빌, 칼 포머런스가 이를 증명하였다. 중국의 택배기사인 위젠춘(33)이 카마이클 수를 증명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 냈다고 한다. 이 사람은 제대로된 고등 수학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한다. 중국판 [[굿 윌 헌팅]]이라고...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791170|관련기사]] [[분류:정수론]][[분류:피에르 드 페르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