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헝가리 국왕)] [include(틀:역대 보헤미아 국왕)] ---- ||<-2> '''로마왕[br]{{{+1 페르디난트 4세}}}[br]Ferdinand IV'''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280px-Frans_Luyckx_-_Ferdinand_IV,_King_of_the_Romans.jpg|width=100%]]}}} || || '''이름''' ||페르디난트 프란츠[br](Ferdinand Franz)|| || '''출생''' ||[[1633년]] [[9월 8일]][br][[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오스트리아)|빈]]|| || '''사망''' ||[[1654년]] [[7월 9일]] (향년 20세)[br][[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오스트리아)|빈]]|| ||<|6> '''재위''' ||<#E7E7E7>[[로마왕]]|| ||[[1653년]] [[5월 31일]] ~ [[1654년]] [[7월 9일]]|| ||<#E7E7E7>[[보헤미아 왕국]]의 국왕|| ||[[1646년]] ~ [[1654년]] [[7월 9일]]|| ||<#E7E7E7>[[헝가리 왕국]]의 국왕|| ||[[1647년]] [[6월 16일]] ~ [[1654년]] [[7월 9일]]|| || '''아버지''' ||[[페르디난트 3세]]|| || '''어머니''' ||[[스페인]]의 마리아 아나|| || '''형제''' ||마리아 아나, [[레오폴트 1세]]|| [목차] [clearfix] == 개요 == [[보헤미아 왕국|보헤미아]]의 왕(재위: 1646년~1654년) [[헝가리 왕국|헝가리]]와 [[크로아티아 왕국|크로아티아]]의 왕(재위: 1647년~1654년) [[신성 로마 제국]]의 [[독일왕]](재위: 1653년~1654년) == 생애 == 1633년 9월 8일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오스트리아)|빈]]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3세]]와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의 딸 마리아 아나의 장남으로 태어나 페르디난트 프란츠(Ferdinand Franz)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어린 나이부터 오스트리아 대공으로서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1646년 보헤미아 왕국의 국왕으로 선출되어 8월 5일 [[프라하]]에서 [[대관식]]을 치렀다. 페르디난트 3세는 맏아들인 그에게 [[테셴 공국]]도 수여하여 작위를 공유하였으며 후계자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하고자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왕국의 왕으로 선출시켰다. 1647년 6월 16일, [[브라티슬라바|프레스부르크]][* 현재 [[슬로바키아]]의 [[수도(행정구역)|수도]] [[브라티슬라바]].]에서 헝가리 국왕으로 대관식을 치렀다. [[프랑스 왕국]]이 [[독일왕]] 선출 제도를 바꾸려 시도하자 페르디난트 3세는 프랑스의 위신을 떨어트릴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해 맏아들을 독일왕으로 선출하여 차기 [[황제]] 후보자로 만들었다. 1653년 5월 31일 [[레겐스부르크]]에서 대관식을 치렀으나 이듬해 7월 9일 빈에서 [[천연두]]에 걸려 사망했다. 유해는 [[카푸친 교회]]에 안장되었으며 동생 레오폴트가 독일왕 [[레오폴트 1세]]로 선출되었다. 원래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4세]]의 딸이며 사촌인 [[마리아 테레사(스페인)|마리아 테레사]]와 결혼할 예정이었으나 때이른 죽음으로 무산되었고 마리아 테레사는 그녀의 다른 사촌인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와 결혼했다. [[분류:독일 국왕]][[분류:오스트리아 대공]][[분류:보헤미아 국왕]][[분류:헝가리 국왕]][[분류:크로아티아 국왕]][[분류:합스부르크 가문]][[분류:1633년 출생]][[분류:1654년 사망]][[분류:빈 출신 인물]][[분류:카푸친 교회 안장자]][[분류:천연두로 죽은 인물]][[분류:즉위하지 못한 계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