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방장관[br]{{{+1 페르디난트 차틀로시}}}[br]Ferdinand Čatloš'''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rdinand_Čatloš.jpg|width=100%]]}}} || ||<|2> '''출생''' ||[[1895년]] [[10월 17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리토프스키 페테르|센트페테르]] || ||<|2> '''사망''' ||[[1972년]] [[8월 31일]] (향년 76세)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체코슬로바키아 SR]]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슬로바키아 SR]] [[마르틴]] || || '''국적''' || || || '''학력''' || || || '''직업''' ||군인 || || '''최종 계급''' ||[[중장]] || || '''참전''' ||[[제1차 세계 대전]][br][[러시아 내전]][br][[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슬로바키아]]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슬로바키아 국방장관을 지냈다. == 생애 == 1895년 10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고등학교 시절 슬로바키아 민족운동에 참여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제67보병연대에 징집되었다. 약 2개월간 장교 과정을 수료한 후 생도 후보로 동부전선에 배치되었으며 1915년 8월 러시아군 진영에 항복했다. 1917년 여름 소위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에 입대해 독일군과 싸웠다. 1920년 귀국 후 체코슬로바키아군에 입대해 여러 직책을 역임했고 1938년 슬로바키아 자치정부의 군사내각부 장관에 임명되어 [[슬로바키아군]] 건군을 준비했다. 국방장관 역임 시기 군 내 친독 성향 장교들을 숙청하였고 소련에 배치된 [[슬로바키아 원정군]]의 전력을 대부분 귀국시켰다. 또한 1944년 [[아우구스틴 말라르]] 장군과 쿠데타를 계획해 [[소련군]]에 방어선을 개방하고 자유 선거를 실시할 것을 계획했으나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당일에는 형식상으로 봉기군을 비난했으나 얼마안되어 봉기군 지지 성명을 냈고, 대통령궁에 구금되었다. 봉기 개시 4일만인 9월 2일 대통령궁을 탈출해 봉기군과 접촉, 봉기군 합류의사를 냈으나 봉기군 측에 의해 거부되었고 9월 13일 체포되어 [[소련]]으로 이송되었다. 종전 후 1947년 1월 [[체코슬로바키아]]로 인도되어 징역 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1948년 풀려났다. 석방된 후에는 마르틴으로 이사해 석재 공업기사, [[회계사]]로 일하면서 말년을 보냈고 1972년 사망했다. == 참고 문헌 == * [[https://www.vhu.sk/general-i-triedy-ferdinand-catlos/|슬로바키아 군사사연구소]] [[분류:1895년 출생]][[분류:1972년 사망]][[분류:즐린 주 출신 인물]][[분류:체코슬로바키아의 군인]][[분류:슬로바키아의 군인]][[분류:슬로바키아의 정치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